• Title/Summary/Keyword: 농약 흡착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19초

토양농약계(土壤農藥系)에 대(對)한 분배법칙(分配法則)의 적용(適用) (Application of the Distribution Law to Soil-Pesticide Systems)

  • 신영오;존H. 베이커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4
    • /
    • 1974
  • 농약(農藥)이 토양(土壤)에 흡착(吸着)되는 현상(現象)을 이론적(理論的)으로 구명(究明)하기 위(爲)해 물리화학(物理化學)에서 쓰여온 분배법칙(分配法則)을 적용(適用)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토양(土壤)에 흡착(吸着)되는 농약(農藥)의 양(量)은 토양수분(土壤水分) 함량(含量)과 역비례(逆比例) 관계(關係)에 있다. 2) 토양수분함량(土壤水分含量)이 같은 경우 농약(農藥)의 흡착량(吸着量)은 분배율(分配率)(Kd)과 비례(比例)한다. 3) 분배율(分配率)이 큰 토양(土壤)일수록 토양수분(土壤水分)이 흡착(吸着)에 미치는 영향(影響)이 적다.

  • PDF

인공강우에 의한 alachlor, ethalfluralin, ethoprophos 및 pendimethalin의 토양표면 유출 (Runoff and Erosion of Alachlor, Ethalfluralin, Ethoprophos and Pendimethalin by Rainfall Simulation)

  • 김찬섭;임양빈;이영득;오병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06-315
    • /
    • 2006
  • 강우에 의한 경사지 토양으로부터의 농약 유출양상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농약의 특성, 환경적 요인 및 영농방법 등의 영향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토양흡착실험과 인공강우유출실험을 수행하였다. 흡착실험을 수행하여 농약의 이동 가능성과 이동형태를 파악하고 인공강우시설을 이용한 유출실험으로 강우양상 및 경사도의 영향 정도를 파악하여 농약의 표면유출에 의한 유실 수준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각 농약의 Freundlich 흡착계수 K는 ethoprophos $1.2{\sim}2.2$, alachlor $1.5{\sim}2.6$, ethalfluralin $56{\sim}94$ 및 pendimethalin $104{\sim}189$ 순이었다. 일반적인 흡착실험 방법인 용액에 존재하는 농약을 토양에 흡착시키는 방법보다 농약을 토양에 혼화처리한 후 탈착시키는 방법에서 흡착계수 값이 높았고, Freundlich 등온흡착식의 직선성을 나타내는 1/n 값은 탈착방법의 경우 $0.96{\sim}1.02$이었고 흡착방법의 경우는 $0.87{\sim}1.02$로 나타나 탈착방법에 의한 흡착계수 측정방법이 물질의 처리농도에 의하여 영향을 적게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국 SSLRC의 이동성 분류기준으로 판단하면 alachlor와 ethoprophos는 moderately mobile$(75{\leq}Koc<500)$ 등급에 해당하였으며, ethalfluralin 및 pendimethalin은 Koc 4000을 초과하여 non-mobile 등급에 속하였다. 인공강우 처리구의 유출수 및 유실토양에 의한 농약 유실율은 각각 alachlor $1.0{\sim}6.4%$$0.3{\sim}1.2%,\;ethalfluralin\;1.0{\sim}2.5%$$1.7{\sim}10.1%,\;pendimethalin\;1.3{\sim}2.9%$$3.8{\sim}10.8%,\;ethoprophos\;0.6{\sim}2.7%$$0.1{\sim}0.3%$이었다. 인공강우실험 후 공약의 토심별 분포를 살펴 본 결과 alachlor와 ethopropho는 토심 $10{\sim}15cm$까지 이동하였고, ethalfluralin과 pendimethalin는 대부분 토심 5 cm 이내에 잔류하였다. 경사도 30%의 경우가 10%에 비하여 각 농약의 유실량이 $0.2{\sim}1.9$ 배 증가하였는데 유출수에 의한 농약의 유실량 차이는 유출수 중 농도 차이로 판단되며, 유실토양에 의한 농약 유실량 차이는 토양 유실량과 관계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농약의 강우에 의한 유실은 복잡하게 작용하는 많은 환경적 요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만 정교하게 구성된 환경 시나리오에 의하여 예측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Fenamiphos Sulfoxide 농약(農藥)의 토양중(土壤中) 흡착측정법(吸着測定法) 개발(開發) (Development of Sorption Measurement Method for Fenamiphos Sulfoxide in Soil)

  • 김선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6-123
    • /
    • 1991
  • Fenamiphos sulfoxide(f. sulfoxide) 농얍(農藥)의 토양중(土壤中) 흡착측정(吸着測定)에서 적합한 농약용액(農藥溶液)에 대한 토양시료(土壤試料) 비율(比率)과 흡착평형시간(吸着平衡時間)을 결정(決定)하기 위한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하였다. 시험(試驗)에 사용(使用)한 토양(土壤)은 미국(美國) Hawaii의 Wahiawa 토양(土壤)(3개(個) 토층시험(土層試料))과 California의 Salinas 토양(土壤)(2개(個) 토양시료(土層試料))이었다. 시험(試驗)에 사용(使用)한 농약용액(農藥溶液)대 토양시료비율(土壤試料比率)은 2 : 1과 5 : 1등 2수준이었으며, 흡착평형시간(吸着平衡時間)은 4, 12, 24, 48시간등 4수준이었다. 농약용액(農藥溶液)대토양시료비율(土壤試料比率) 2 : 1에서는 완전한 혼합(混合)이 어려웠으며, 5 : 1이 흡착력(吸着力)이 낮은 Wahiawa 토양(土壤)의 심토(深土)에서 흡착률(吸着率)이 낮아 바람직하지는 못했으나, 혼합(混合)을 고려(考慮)하면 권장되는 비율(比率)이었다. 흡착(吸着)은 4시간(時間)에는 Apparent 평형(平衡)에 도달하고 24시간까지는 서서히 증가하였다. 그후 48시간 까지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Sulfoxide 화합물(化合物)이 흡착력이 큰 Sulfone 형태(形態)로 변화(變化)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24시간(時間)의 흡착평형(吸着平衡) 시간(時間)이, 이보다 짧은 시간(時間)에서 불완전한 흡착(吸着)과 이보다 긴 시간(時間)에서 형태변화(形態變化)에 의한 과다흡착(過多吸着)을 고려(考慮)하여,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흡착에 의한 농약 성분별 제거율의 변화

  • 이선화;김우항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314-31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백탄과 흑탄에서 농약의 제거 능력을 비교하였고, 연속 실험을 통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농약의 제거율 변화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농약은 Simazine, Diazinon, Fenitrothion, Butachlor, Malathion이다. 회분식 실험 결과에 따르면, 흑탄과 백탄 양을 0.1g, 1g, 10g, 50g씩 증가시킬수록 각 농약 성분의 제거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농약성분에 따른 제거율을 보면, Malathion과 Butachlor는 혹탄에서 상대적으로 잘 제거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Diazinon은 흑탄의 회분식 실험, 연속식 실험 모두 상대적으로 낮은 제거율을 보였다.

  • PDF

아산만 해역의 유기인계농약 분포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organophosphorous pesticides in Asan Bay, Korea)

  • 최진영;양동범;주효정;김경태;홍기훈;신경훈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76-186
    • /
    • 2006
  • 아산만 해역의 유기인계농약 분포특성을 2004년 6월부터 2005년 8월까지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28가지의 유기인계 농약이 아산만에서 검출되었다. IBP는 표층수에서 가장 빈번하게 다량으로 검출되었다(최대 $6,343.7ng\;l^{-1}$). DDVP, diazionon, ethoprophos, methidathion도 비교적 높은 농도로 표층수에서 검출되었으며 최대 검출 농도는 조사기간 중 매달 $100ng\;l^{-1}$ 이상이었다. Malathion, mevinphos, phorate, chlorfenvinphos도 비교적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다. 많은 유기인계 농약들이 여름에 많이 사용되어지기 때문에 해양환경에서 겨울보다 여름에 더 빈번히 검출되었다. 해수 중 유기인계 농약의 농도는 만 입구에서 외만으로 갈수록 감소하여 이 농약들이 해양환경 중에서 분해, 희석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아산만에서 측정된 diazinon 농도는 해양수질 환경기준인 $20,000ng\;l^{-1}$을 넘지 않았다. 표층수에서 검출된 malathion, parathion의 농도는 각각 해양수질 환경기준인 $250,000ng\;l^{-1}$$60,000ng\;l^{-1}$를 넘지 않았다. DDVP, phorate, stirofos, EPN, azinphos-methyl, IBP 는 다른 유기인계 농약보다 부유입자에 잘 흡착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아산만에서 채취한 시료에서 계산된 유기인계 농약의 부유입자에 대한 흡착계수($K_d-particle$)는 보고되어진 토양에의 흡착계수($K_d-soil$)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제초제 paraquat의 토양중 흡.탈착 특성 (Characteristics of adsorption-desorption of herbicide paraquat in soils)

  • 이석준;김병하;김장억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70-78
    • /
    • 1998
  • 토양에 살포된 양이온성 농약인 paraquat가 점토광물, 유기물 및 토양 시료에서의 흡착량, 흡착 특성, 흡착 형태 및 탈착간의 상호관계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점토광물에 의한 paraquat의 흡착 시간은 유기물 및 토양 시료에 비하여 빠르게 나타났다. 팽창형 점토광물인 montmorillonite에 의한 흡착은 총흡착량 뿐만 아니라 CEC에 대한 흡착 비율에서도 다른 흡착제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Humic acid와 fulvic acid는 점토광물인 kaolinite와 토양 시료보다도 많은 양의 paraquat을 흡착하였다. 토양 시료에 의한 흡착은 CEC의 약 21% 정도로 점토광물에 비하여 25-50%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Paraquat의 흡착 형태별 분포 시험에서 점토광물 및 토양 시료에서는 tightly bound type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humic acid및 fulvic acid에서는 loosely bound type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유기물을 제거한 토양 시료의 paraquat 흡착량은 유기물을 제거하지 않은 토양의 85.1-95.5% 정도이며, unbound 및 loosely bound type의 비율이 감소한 반면 tightly bound type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용액중에 경쟁 양이온이 공존하는 경우, paraquat의 흡착은 유기물에서 약 35%정도 감소하였으나 montmorillonite에서는 감소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경쟁 양이온의 종류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흡착제가 양이온으로 포화되어 있는 경우 paraquat의 흡착은 유기물에서 75% 정도, 토양 시료에서 65% 정도 감소하였으나 montmorillonite에서는 약 30% 정도만이 감소하였다. 흡착 형태에 따른 paraquat의 탈착 시험에서 tightly bound type은 흡착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pH 조절, 초음파처리, 양이온의 첨가에 의하여서는 탈착되지 않았다. Loosely bound type의 paraquat는 흡착제의 종류 및 탈착방법에 따라 탈착율이 다르게 나타났으나, 양이온 첨가나 pH조절과 같은 화학적 변화 또는 초음파처리와 같은 물리적 충격에 의하여 탈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국내등록농약의 용탈 가능성 평가 (Assessment of Leaching Potential for Pesticides Registered in Korea)

  • 김찬섭;이희동;임양빈;김정한;임건재;오병렬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72-278
    • /
    • 2006
  • 국내 등록농약 중 용탈 가능성이 있는 농약을 발굴할 목적으로 토양잔류반감기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이동성을 결정하는 결정적인 변수인 흡착성적을 수집하여, 용탈 가능성 평가수단인 groundwater ubiquity score(GUS)값을 산출하여 국내 등록농약의 용탈 가능성 순위를 결정하였다. 용탈성 평가 대상 농약 성분 382성분 중 297성분의 국내 토양잔류성적을 정리 평가하였다. 논토양과 밭토양 각각 107성분 및 244성분에 대한 국내잔류성적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의 농약 DB자료 등에서 조사한 농약성분별 유기탄소기준흡착계수(Koc) 성적은 미국 오레곤 주립대학 DB에서 148성분이었고, PSD 및 Pesticide Manual을 포함하는 영국/스웨덴 DB자료에서 276성분으로 공통성분을 제하면 317성분에 해당하였다. 국내외 토양잔류 반감기와 외국 DB자료의 Koc값을 이용하여 산출한 GUS에 의하여 313 국내등록 농약성분의 용탈성 구분이 가능하였으며, 용탈 가능성이 매우 높은 농약성분이 18종, 그 다음으로 용탈 가능성이 높은 농약성분이 44종이었다.

인공강우와 콩재배 포장 라이시메타를 이용한 diazinon과 metolachlor의 유출량 평가 (Runoff of Diazinon and Metolachlor by Rainfall Simulation and from Soybean Field Lysimeter)

  • 김찬섭;이병무;박병준;정필균;최주현;류갑희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79-288
    • /
    • 2006
  • 강우에 의한 경사지 토양으로부터의 농약 유출양상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환경적 요인 및 영농방법등의 영향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토양흡착실험과 인공강우유출실험 및 콩 재배 lysimeter 포장에서 유출 실험을 수행하였다. 흡착실험을 수행하여 농약의 이동 가능성과 이동형태를 파악하고, 인공강우시설을 이용한 유출실험으로 강우양상 및 경사도의 영향 정도를 살펴보고, 콩 재배 경사지 포장에 설치된 lysimeter 실험을 수행하여 작물 재배에 따른 농약의 유실 양상 차이를 파악하여 농약의 표면유출에 의한 유실 수준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두 농약의 Freundlich 흡착계수 K는 diazinon은 $4.0{\sim}5.5$이었고 metolachlor는 $1.6{\sim}2.0$이었다. Freundlich 등온흡착식의 직선성을 나타내는 1/n 값은 탈착방법의 경우 $0.96{\sim}1.02$이었고 흡착방법의 경우는 $0.87{\sim}1.02$이었다. 영국 SSLRC의 이동성 분류기준으로 판단하면 diazinon과 metolachlor는 moderately mobile ($75{\leq}Koc$ <500) 등급에 해당하였다. 인공강우 처리구의 유출수 및 유실토양에 의한 농약 유실률은 각각 diazinon $0.1{\sim}0.6%$$0.1{\sim}0.2%$, metolachlor $0.5{\sim}1.0%$$0.1{\sim}0.7%$ 이었고, 경사도 30%의 경우가 10%에 비하여 농약 유실량이 $0.2{\sim}1.9$ 배 많았다. 인공강우실험 후 농약의 토심별 분포를 살펴 본 결과 diazinon은 토심 $5{\sim}10$ cm까지 이동하였고 metolachlor는 토심 $10{\sim}15$ cm까지 이동하였다. Lysimeter 포장유출실험 결과 경사도 및 경사장별 나지구의 유실량은 diazinon $0.23{\sim}0.50%$, metolachlor $1.0{\sim}3.1%$ 수준이었으며, 인공강우실험의 유실률에 비하여 $1/3{\sim}2.5$ 배 수준으로 나타났다. 콩재배구의 유실률은 나지구의 유실률에 비하여 평균적으로 $21{\sim}75%$ 정도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유출수 중 농약성분의 최고농도는 콩재배구 및 나지구 각각 diazinon $1{\sim}9{\mu}g\;L^{-1}$$3{\sim}16{\mu}g\;L^{-1}$, metolachlor $7{\sim}31{\mu}g\;L^{-1}$$5{\sim}40{\mu}g\;L^{-1}$ 수준으로 작물 재배 여부에 따른 유출수 중 농도의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 중 농약의 동태 (Behavior of Pesticides in Soil)

  • 이규승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03-307
    • /
    • 2010
  • 총설은 1996년 "농업생태계에 대한 잔류농약의 영향평가"라는 총설 이후 국내에서 발표된 토양 중에서의 농약의 동태에 관한 연구 보문을 요약 정리한 것이다. 내용은 농약의 지표면 유출, 농약의 토양 중 흡착 및 탈착, 농약의 토양 중 용탈, 농약의 토양 종 분해는 미생물에 의한 분해와 비생물학적 분해로 나누어 검토하였고, 농약의 토양 종에서의 행적 및 토양 중 잔류와 잔류 분석법 등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