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농약 흡착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초

휴믹 물질 존재 시 흑탄의 농약 흡착 능 변화 연구

  • 이선화;김우항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151-15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휴믹 물질의 존재 시 흑탄의 주입량에 따른 농약 성분별 흡착 제거율 변화를 살펴보았다. 농약 성분과 휴믹산 을 주입 시 흑탄의 흡착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흑탄 주입량을 1g, 3g, 5g, 7g 달리하여 농약 성분의 제거율 변화를 살펴본 결과 흑탄 1g, 흑탄 7g, 휴믹 산불 주입 시 농약성분 만을 주입하였을 때 보다 각각 18$\sim$67%, 7$\sim$10% 낮은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휴믹산 10mg/L, 50mg/L을 주입하여 휴믹산의 주입농도 증가 시 흡착 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휴믹산 농도를 늘릴수록 흡착되지 않고 남아있는 농약성분 농도가 높아졌다. 농약성분 제거를 위한 흡착제로의 흑탄의사용은 3 가지 농약성분 (Butachlor, Fenitrothion, Diazinon)에 대해 높은 제거율을 보였으며, 자연수 속에 녹아있는 휴믹물질 중 하나인 휴믹산에 의한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여진다.

  • PDF

숯을 이용한 농약 제거에 관한 연구

  • 이선화;김우항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181-183
    • /
    • 2008
  • 본 연구는 회분식과 연속식으로 나누어 숯의 농약 흡착 능력을 평가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농약은 Simazine, Diazinon, Fenitrothion, Butachlor, Malathion이다. 회분식 실험 결과에 따르면, 흑탄과 백탄 양을 0.1g, 1g, 10g, 50g씩 증가시킬수록 농약 성분의 제거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흑탄이 백탄 보다 농약 성분을 잘 제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g 주입시 흑탄은 백탄보다 Malathion을 약 15%, Rutachlor을 약 19%, Fenitrothion을 약 25%씩 제거율이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흡착이 잘된다고 판단된다. 반면에 회분식에서 Diazinon의 제거율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나. 연속식 실험에서도 흑탄이 백탄보다 더 높은 제거율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흑탄 칼럼에서는 흡착 시간$(21\sim31hr)$에서 농약 성분의 평균 제거율을 비교해 본 결과, Simazine은 90%, Fenitrothion은 82%, Butachlor은 81%로 나타났으며, 특히 Diazinon의 제거율은 55%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흡착이 잘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농약류 (1,2-dichlorobenzene, hexachlorocyclohexane)의 토양 흡착 특성 규명

  • 정현정;이민희;도원홍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338-341
    • /
    • 2003
  • 유기염소계 농약 중 대표적인 살충제 $\delta$-BHC(hexachlorocyclohexane)와 1, 2-DCB (1, 2-dichlorobenzene)에 대한 논, 밭 토양 및 풍화 토에 흡착 배치실험을 통하여 토양 특성과 유기오염물간의 흡착 관계를 규명하였다. 13개의 토양시료에 대하여 pH, CEC, 유기물 함량, 비표면적, 입도분석, 원소조성분석을 통하여 토양의 물리ㆍ화학적 특징이 토양 흡착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유기염소계 농약의 흡착량을 Freundlich isotherm으로 나타내어 흡착분배계수(K$_{d}$)를 산출하였다. $\delta$-BHC는 유기물 함량이 높은 soil-4$_{d}$에서 가장 높은 $K_{d}$ 값을 보였으며, 1,2-DCB의 경우 CEC, 비표면적이 가장 낮은 soil-5에서 낮은 $K_{d}$ 값을 보여 토양 내 유기물 함량과 비표면적이 유기오염물 흡착량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하수슬러지의 토양개량재 적용시 유기인계 농약의 흡착 능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sorption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s Applying Sewage Sludge to Soil Amendment)

  • 임은진;이재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9권1호
    • /
    • pp.95-103
    • /
    • 2004
  • 본 연구는 하수슬러지를 토양개량재로 적용에 따른 세 가지 유기인계 농약 Diazinon, Fenitrothion, Chlorpyrifos의 흡착특성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유기인계 농약 흡착시험 결과, 농약 흡착 등온식은 Freundlich 식이 잘 맞았다. Freundlich 상수 중 하나인 N은 모든 농약에서 1에 가까운 수치를 보였으나, 유기물 함량이 증가할수록 Freundlich 상수값인 N 값은 감소하였다. 또한 Freundlich식에서 흡착능을 나타내는 K값은 농약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감소할수록 증가하였으며, 토양에 슬러지를 첨가한 시료에서는(Soil-Sludge) 토양내 유기물 함량의 증가로 농약 흡착량은 슬러지가 첨가되지 않은 시료(A-Soil)에 비해 2∼4배 정도 증가하였다. 토양층을 모사한 토양 컬럼에서 농약의 용출 특성은 물에 대한 용해도가 큰 농약일수록 용출 비율은 증가하였다. 또한 토양에 슬러지가 첨가됨에 따라 토양내 유기물 함량 증가하면 토양에서 농약 흡착량이 증가되어 농약이 토양하층으로 침투가 억제, 농약의 용탈 정도가 감소하였다.

N-methlycarbamate 계(系) 살충제의 토양중(土壤中) 흡착(吸着) (The Adsorption of N-methylcarbamate Insecticides on Soils)

  • 김장억;홍종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8권3호
    • /
    • pp.124-130
    • /
    • 1985
  • 두가지 성질(性質)이 다른 토양(土壤)과 이들에 과산화수소(過酸化水素)를 처리(處理)하여 유기물(有機物)을 분해(分解)시킨 후 N-methylcarbamte 계(系) 농약(農藥)과의 흡착실험(吸着實驗)을 습식진탕법으로 행(行)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다. N-methylacrbamate계(系) 농약(農藥)은 12시간(時間)의 진탕으로 평충농도(平衝濃度)에 도달(到達)하였다. 또한 토성별(土性別)로는 sandy clay가 sandy loam보다 N-methylcarbamate계농약(系農藥)을 더 많이 흡착(吸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을 달리했을 때 N-methylcarbamate계농약(系農藥)의 흡착(吸着)은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에 상당한 영향(影響)이 있음이 나타났다. N-methylcarbamate계(系) 농약(農藥)의 흡착현상(吸着現象)은 Freundlich 정온흡착방정식(定溫吸着方程式)에 잘 부합(符合)되었다. 토양(土壤) pH를 변화(變化)시켰을 때 N-methlycarbamate계(系) 농약(農藥)의 흡착량(吸着量)에는 변화(變化)가 없었으며 이는 토양표면(土壤表面)에 hydrophobic한 부분(部分)에 물리적(物理的)으로 Vander waals 힘에 의(依)해서 흡착(吸着)되는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흡착제에 의한 잔류농약 제거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moval Effect of Residual Pesticide on Adsorbent)

  • 안중혁;김준범;권영두;전충;박광하
    • 공업화학
    • /
    • 제18권6호
    • /
    • pp.537-544
    • /
    • 2007
  • 본 연구는 흡착제를 이용하여 잔류농약의 흡착특성을 살펴보았다. 흡착제는 $bauxsol^{TM}$과 맥반석을 사용하였다. 잔류농약의 분석은 GC/NPD와 $GC/{\mu}ECD$로 분석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농약은 ${\alpha}$-endosulfan, ${\beta}$-endosulfan, pendimethalin, chlorpyrifos-methyl, fenitrothion이고 회수율은 97% 이상으로 나타났다. $Bauxsol^{TM}$과 맥반석 흡착제의 흡착율은 endosulfan, chlorpyrifosmethyl, pendimethalin, fenitrothion의 내림차순으로 나타났고, 상대적으로 유기염소계 농약이 다른 농약에 비해 높은 제거율을 보여주었다. $Bauxsol^{TM}$은 농약의 화학적 분해와 물리흡착이 동시에 발생하였고, 맥반석은 물리흡착만이 발생하였다. 흡착제 용출액의 높은 pH와 농약구조의 염소이온은 화학적 분해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흡착제의 물리흡착은 광물의 많은 다공성에 의해 농약 제거율을 높여 주었다. 흡착제는 골프장의 연못 등 수질에 잔류농약제거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농약의 토양흡착성과 간이선발모형을 이용한 용탈 잠재성 평가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Organophosphorus and Carbamate Pesticides in Four Soils and the Evaluation for Their Leaching Potential Using Two Screening Models)

  • 김찬섭;박병준;임양빈;류갑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41-349
    • /
    • 2005
  • 유기인계 농약 5종 및 카바메이트계 농약 4종의 토양에 대한 흡착계수를 구하여 이동성을 구분하고, 흡착계수와 토양 반감기를 이용하여 토양 중에서의 농약의 용탈 잠재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비이온성 농약인 유기인계 살충제 chlorpyrifos-methyl, diazinon, fenitrothion, isazofos, parathion과 카바메이트계 살충제 fenobucarb(BPMC)와 metolcarb 및 카바메이트게 제초제 dimepiperate와 molinate를 대상농약으로 하였고, 논, 밭, 산림토양 및 제주도 화산회토를 시험토양으로 흡착실험을 수행하였다. 유기탄소기준흡착계수(Koc)에 의한 이동성 분류체계에 의하면 metolcarb, molinate, 및 fenobucarb는 mobile, isazofos를 포함하는 6종 농약은 토양에 따라 moderately mobile 또는 slightly mobile 등급에 속하였다. 그리고 Koc와 토양 중에서의 반감기를 기준으로 지수화한 Groundwater Ubiquity Score(GUS) index 방법과 Koc와 분해상수 및 토양환경조건의 영향을 고려하는 흡착/분해 표준지수 방법을 이용한 용탈잠재성은 metolcarb, fenobucarb 및 molinate는 용탈 가능성이 있고 isazofos, dimepiperate 및 diazinon은 약간의 용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fenitrothion, parathion 및 chlorpyrifos-methyl은 용탈 가능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흡착/분해 표준지수 방법을 변형하여 Koc값 대신에 Kd값으로 평가하면 유기물 함량이 높은 제주토양에서는 유기물 함량이 낫은 다른 토양에 비하여 농악의 용탈잠재성이 낮은 것으로 나하나 농약의 흡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토양 유기물이 용탈 잠재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흡착력(吸着力)이 낮은 토양(土壤)에서의 농약흡착(農藥吸着) 측정법(測定法) 개발(開發) (Improvement of Pesticide Sorption Measurement Method for Soils with Low Sorption)

  • 김선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24-129
    • /
    • 1991
  • Batch 측정법(測定法)은 농약(農藥)의 토양중(土壤中) 흡착량(吸着量) 측정(測定)에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方法)이다. 이 Batch 측정법(測定法)은 토양용액중(土壤溶液中)의 농약농도변화(農藥濃度變化)로부터 간접적으로 흡착량(吸着量)을 측정(測定)하기 때문에 흡착력(吸着力)이 낮은 토양(土壤)에서는 용액중(溶液中)의 농도변화(濃度變化)가 작아 흡착측정(吸着測定)이 어렵거나 불가능(不可能)하다. 본(本) 시험(試驗)에서는 용액중(溶液中)의 농약(農藥)의 농도(濃度)를 측정(測定)함과 동시(同時)에 토양(土壤)에 흡착(吸着)된 농약(農藥)을 직접 추출하여 흡착량(吸着量)을 측정(測定)하는 방법(方法)을 설정(設定)하고 Mass balance 방법(方法)이라고 이름하였다. 용액중(溶液中) 농도(濃度) 및 토양에 흡착(吸着)된 농약(農藥)을 직접 추출하여 흡착량(吸着量)을 측정(測定)하는데 일정한 임의의 측정오차(測定誤差)를 설정(設定)하고 Batch 방법(方法)과 Mass balance 방법(方法)을 비교(比較)한 가설시험결과(假設試驗結果) Mass balance 방법(方法)이 측정오차(測定誤差)를 크게 줄일수 있을 것으로 판단(判斷)되었다. 이 가설시험(假設試驗)을 Wahiawa 토양(土壤) 0-20cm, 40-60cm, 100-120cm와 Salinas 토양(土壤) 0-15cm, 115-130cm 깊이에서 얻는 5개(個) 토양시료(土壤試料)에서 실증(實證)한 결과(結果) Mass balance방법(方法)은 모든 토양(土壤)에서 측정요차(測定誤差)를 경감(輕減) 시킬수 있었으며, 특(特)히 흡착력(吸着力)이 낮은 Wahiawa 토양(土壤) 100-120cm의 토양(土壤)에서 측정오차(測定誤差)를 크게 줄일 수 있었다.

  • PDF

Butachlor, ethoprophos, iprobenfos, isoprothiolane 및 procymidone의 토양흡착성에 따른 용탈 잠재성 평가 (Leaching potential of butachlor, ethoprophos, iprobenfos, isoprothiolane and procymidone in soils as affected by adsorption characteristics)

  • 김찬섭;이병무;임양빈;최주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309-319
    • /
    • 2002
  • 주요 농약 5종의 토양에 대한 흡착계수를 구하여 이동성을 구분하고, 흡착계수와 토양 반감기를 이용하여 토양 중에서의 농약의 용탈 잠재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비이온성 농약인 토양살충제 ethoprophos, 원예용 살균제 procymidone, 도열병약 iprobenfos와 isoprothiolane 및 수도용 제초제 butachlor를 대상농약으로 선정하였고 토지이용 형태에 따라 논, 밭 및 산림토양으로 구분, 3종의 토양을 대상으로 흡착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토양에 대한 Freundlich 흡착계수(K)는 ethoprophos $0.35{\sim}0.95$, iprobenfos $0.98{\sim}2.2$, procymidone $1.2{\sim}4.3$, isoprothiolane $1.5{\sim}3.5$, butachlor $7.9{\sim}19$ 범위이었고, Koc에 의한 이동성 분류체계에 의하면 ethoprophos는 mobile, iprobenfos, isoprothiolane 및 procymidone은 moderately mobile, 그리고 butachlor는 slightly mobile 등급에 속하였다. 또한 유기물에 대한 흡착계수(Koc)와 토양 중에서의 반감기를 기준으로 지수화한 Groundwater Ubiquity Score (GUS) index 방법과 Koc와 분해상수 및 토양환경조건의 영향을 고려하는 흡착/분해 표준지수 방법을 이용하여 용탈잠재성을 평가하였다. 두 평가방법에 의하여 isoprothiolane과 iprobenfos은 중간 정도의 용탈 가능성이 있고 ethoprophos가 약간의 용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utachlor와 procymidone은 용탈 가능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상대적으로 유기물 함량이 높은 양토에서는 유기물 함량이 낮은 식양초에 비하여 농약의 용탈잠재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노약의 흡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토양 유기물이 용탈 잠재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