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약중독

Search Result 94,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농약방제복 착용율 개선을 위한 조사연구

  • 유경숙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4.05a
    • /
    • pp.57-57
    • /
    • 2004
  • 대부분의 농약은 인간에게 해를 미치는 화학물질로 구성되어 있어서 반복 노출된 살포자는 다양한 종류의 상해를 받게 된다. 많은 연구결과들에 의하면 농약살포자가 농약에 노출되는 이유로 방제복의 미착용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적지 않은 농민이 경미하든 심각하든 간에 농약중독으로 추정되는 자각증상을 경험한 바가 있다고 답하고 있다. (중략)

  • PDF

현재 농약 잔류허용치 미달 만성중독 염려할바 안된다

  • 정영호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2 no.11
    • /
    • pp.4-10
    • /
    • 1981
  • 현대 농업에서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벼의 경우 26.8$\%$의 수량감소를 면치 못하고 있으며, 재배관리가 양호한 사과밭에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사과를 재배한 결과 약 40$\%$의 수량 감소를 보였을 뿐 아니라 시장에서 상품으로서의 불합격율이 80$\%$에 달하였다.

  • PDF

농약토막상식 - 농약 안전살포법 - 맞바람 살포는 등지는 살포법의 10배 - 일반의류착용, 방제복보다 4배나 많아

  • 한국농약공업협회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2 no.7
    • /
    • pp.94-95
    • /
    • 1981
  • 국내 농약의 소비는 최근들어 해마다 증가양상을 보여 농업에서 농약의 일반화는 농약의 중독 및 식품의 오염, 자연생태의 파괴등 자연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많은 우려의 대상이 되어가고 있다. 그동안 농약사용에서 야기되는 각종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행정$cdot$지도계통에서 많은 노력을 해왔으나 아직까지 농약을 소홀히 다루는 경향이 많아 농촌진흥청 시험결과를 소개한다.

  • PDF

Symptom Prevalence and Work-related Risk Factors of Acute Pesticide Poisoning among Korean Farmers in Gyeong-gi Province (경기 일부지역 농업인의 급성농약중독 증상 유병률 및 직업성 위험요인)

  • Lee, Hyang Seok;Lee, Ji Hoon;Roh, Soo Yong;Kim, Ho Gil;Lee, Kyung Jun;Nam-gung, Sun Ju;Kwon, Soon Chan;Lee, Soo Jin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40 no.4
    • /
    • pp.228-239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symptom prevalence of acute pesticide poisoning among farmers in Gyeong-gi province and to investigate the occupational risk factors. Methods: The subjects were 663 farmers using pesticide directly or indirectly and the survey was performed during 2013. 7. 11 - 2014. 8. 27.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21.0. Results: The prevalence of acute pesticide poisoning was 6.63% and dizziness was the most common symptom. Acute pesticide poisoning was related with 'days of pesticide use per year', 'lifetime pesticide application days', 'the number of pesticide mixture' and 'type of farming'.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manage and educate the pesticide poisoning-vulnerable group more systematically. Afterward additional study is needed to investigate the farming safety behavior and delicate amount of pesticide exposure.

The Relationship between Pesticide Exposure and Central Nervous System Symptoms (농약 노출과 중추신경 증상과의 관련성)

  • Kwon, Young-Jun;Kang, Tae-Sun;Kim, Kyung-Ran;Lee, Kyung-Sook;Ju, Young-Su;Song, Jae-Chul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29 no.2
    • /
    • pp.265-285
    • /
    • 2004
  • Objectives: The acute toxic effects of pesticide are well known. Concern has also been expressed that long-term exposure may result in damage to the central nervous syste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hypothesis that central nervous system symptoms might occur due to pesticide exposure. Methods: In a cross-sectional study, first, cumulative exposure index (CEI) was estimated. Neurologic symptoms (Q-16 questionnaire) for 541 farmers (exposed to pesticides) were compared with 119 non-exposed persons in spraying season nine rural areas in Korea. Results: The pesticides poisoning rates for last 3 months were 67.2% for orchard farmers, 55.3%for dry field farmers, and 20.5% for husbandry farmers, respectively,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Compared with non-exposure group, exposure groups (especially, orchard farmers) reported significantly more neurologic symptoms and had a higher overall neurological symptoms score (p<0.001). Factors related to the positive neurological symptoms (answers "yes" to six or more of Q-16 questionnaire) adjusted for age, sex, education level, smoking and alcohol drinking were type of farming (OR 3.08, 95% CI 1.50-6.30 in orchard farmers vs non-exposure group), CEI (OR 2.75, 95% CI 1.12-6.78 in Q3 vs Q1), past poisoning (OR 1.97, 95% CI 1.21-3.20 vs normal), current mild poisoning (OR 3.03, 9500 CI 1.47-6.22 vs normal) and current moderate poisoning (OR 6.34, 95% CI 3.03-13.25 vs normal), respectively.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long-term exposure to pesticides appears to be associated with subtle change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 PDF

농약잔류허용기준? 안전사용기준?

  • Kim, Jeong-Han
    • Life and Agrochemicals
    • /
    • v.26 no.10 s.213
    • /
    • pp.22-24
    • /
    • 2005
  • “시중 채소류 잔류농약 범벅”신문이나 TV에 자주 등장하는 낯익은(?) 제목이다. 그리고는“조사대상 농산물 중 OO% 허용기준치초과. 최고 OO배에 달해, 사용이 금지된 농약도 나와, 잔류농약은 식품과 함께 일생동안 섭취되기 때문에 만성중독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같은 내용이 그 뒤를 잇는다. “일생동안 섭취”문제는 이미 지난 10월호에서“1일 섭취허용량” 을 다루었기 때문에 이해가 된다. 하지만 식생활을 하면서 농약 섭취가 1일섭취허용량 이하로 되도록 하려면 식품에 농약이 어느 정도까지 있어야 안전한가?”가 의문이다. 그 허용기준이 농산물(식품) 중“농약잔류허용기준”이다. 이는 보통“기준치, 허용치, 허용기준, 허용기준치, 잔류허용기준”등으로 불리우고 있다.

  • PDF

농약사용의 경제성과 효율적 병충해방제 - 방제비 비적기$\cdot$고농도살포로 증가

  • 강정일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7 no.4
    • /
    • pp.2-6
    • /
    • 1986
  • 농업생산에 있어서 가장 큰 감수요인 중의 하나는 병충해이다. 한 해의 농사는 병해충과 어떻게 잘 싸웠느냐에 따라 풍흉이 결정될 정도이다. 이러한 병해충을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농약의 사용은 현대농업에 있어서 필요불가결한 수단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농약도 일종의 독약이기 때문에 사용에 따른 부작용이 발생한다. 즉 농약에 의한 직$\cdot$간접중독, 환경오염, 생태계파괴, 천적감소 등이 그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농약사용의 경제성, 농민의 농약사용실태와 문제점 등을 살펴보고 효율적인 병충해방제를 위한 방안 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