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농도평균

검색결과 3,451건 처리시간 0.031초

안정상태에서 외부의 산소공급에 따른 혈중산소포화도, 심박동율, 피부전도도의 변화 (Changes of $SPO_2$, heart rate and GSR at resting state due to oxygen administration)

  • 정순철;이현정;민병찬;김승철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1-73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안정 상태에서 일반 공기 중에 산소 농도(21%) 환경에 비해 외부에서 고 농도(35%)의 산소 공급이 혈중 산소 포화도(SPO2), 심박동율(Heart rate), 피부전도도(Galvanic skin response)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35%의 고농도 산소를 2L/min의 양으로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는 산소 공급 장치를 이용하였고, 뇌 질병이 없는 5명의 대학생들이 피험자로 참여하였다. 21%의 비해 35% 산소 농도에서 모든 실험 참여자의 3분 동안의 평균 심박동율은 감소하였고 평균 혈중 산소 포화도는 증가하였다. 그러나 피부전도도는 차이가 없었다.

  • PDF

소아환자에서 경비 캐눌라를 이용한 세보플루란 흡입 진정 (Sevoflurane Sedation Using a Nasal Cannula in Pediatric Patients)

  • 지상은;김종수;김종빈;김승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94-200
    • /
    • 2013
  • 본 연구는 단국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2012년 1월부터 2012년 5월까지 내원한 환자 중 세보플루란을 이용한 깊은 진정으로 치과치료를 받은 환자 총 14명의 마취기록지를 분석하여 적정 수준의 진정을 얻기 위한 유효한 세보플루란의 농도를 측정하고 진정 과정 중의 호흡 및 심혈관계 평가를 통해 안정성을 평가해 보고자 함에 있다. 심박수(Heart rate)는 평균 101.4회/분(76.4~135.4회/분)을 보였다. 혈압(Blood pressure)은 수축기혈압은 평균 96.9 mmHg(84.2~109.2 mmHg), 이완기혈압은 평균 50.5 mmHg(34.0~62.0 mmHg)를 보였다. 호흡수(Respiration rate)는 평균 24.4회/분(15.0~36.7회/분)을 보였다. 산소포화도($SpO_2$)는 평균 99.4%(97.5~100.0%)를 보였다. 호기말 이산화탄소 농도(end tidal $CO_2$ volume; $ETCO_2$)는 평균 27.8 mmHg(16.4~38.0 mmHg)를 보였다. 호기말 세보플루란 농도(end tidal sevoflurane volume)는 평균 1.9 vol%(1.0~3.4 vol%)를 보였다.

분무열분해 공정에 의한 폐액의 재활용 및 나노 분말 제조 기술 (Technology of the Recycling of Waste Solution and Fabrication of Nano-Sized Powder by Spray Pyrolysis Process)

  • 유재근;박시현;방신영;한정수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81-28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분무열분해 공정에 의해 폐산용액으로부터 평균입도 100nm 이하의 나노 분말을 제조하였다. 용액 내의 Fe 성분의 농도가 20 g/$\iota$로부터 200 g/$\iota$로 증가됨에 따라 생성된 분말의 입도는 30 nm로부터 60 nm 까지 점점 증가하는 반면 입도분포는 더욱 불규칙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용액 내의 농도 증가에 따라 $NiFe_2O_4$ 상의 생성비율이 현저히 증가하고 있었으며, 입자들의 비표면적은 현저히 감소하였다. 공기압력이 $1 kg/cm^2$까지는 분말의 평균입도는 80$\~$100 nm로 공기압력의 증가에 따라 분말들의 평균입도는 현저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생성된 상들의 비율의 현저한 변화도 나타나지 않았다. 공기압력이 $3kg/cm^2$로 증가하는 경우에는 평균입도가 약 70 nm로 감소하였으며 $NiFe_2O_4$의 생성비율도 감소하였다.

  • PDF

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의 혼합 관련 미국의 정책과 실제 적용 (U.S. Policy and Current Practices for Blending Low-Level Radioactive Waste for Disposal)

  • 데이빗 케슬;김창락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35-243
    • /
    • 2016
  • 우리나라를 포함한 많은 국가들에서 향후 원전 해체로 저준위폐기물이 대량으로 발생할 전망이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의 저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 관련 규제 기준을 분석하고, 특히 원자력발전소의 운영 및 해체를 포함하는 전주기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처분 옵션을 확장하는 방안으로 사용되고 있는 저준위방사성폐기물의 블랜딩에 대해 검토하였다. 2007년 미국 NRC는 미국 저준위폐기물 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전략분석 결과, 방사선위험도와 성능평가에 기반한 새로운 저준위폐기물 관리 규제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는데, 특히 방사성핵종 농도가 다른 폐기물의 블랜딩을 처분에 대한 옵션을 다양화할 수 있는 안전한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NRC는 블랜딩을 처분에 적합하도록 방사성핵종의 농도가 다른 저준위폐기물을 비교적 균일하게 혼합(mixing)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2015년 2월 농도 평균과 포장에 대한 NRC BTP의 개정판으로 공표된 블랜딩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요건을 분석하였고 국내 해체폐기물에 대한 적용 방안도 예시하였다. 대량으로 발생할 해체폐기물에 대해 블랜딩과 농도평균을 적용하면 처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이오쉴드 콘크리트에 대한 농도평균 적용에 대해 예시하였다.

제주도 고산지역의 라돈 배경농도 실시간 모니터링 (Real-time monitoring of radon background level at Gosan site, Jeju Island)

  • 강창희;김원형;허철구;강동훈
    • 분석과학
    • /
    • 제25권1호
    • /
    • pp.7-13
    • /
    • 2012
  • 제주도 고산지역에서 라돈($^{222}Rn$)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대기 중의 배경농도 수준을 확인하였다. 고산지역의 라돈 농도는 평균 2831 $mBq/m^3$ (0.077 pCi/L)로 우리나라 실내 평균농도보다는 19.5배 낮은 배경농도 수준을 나타내었다. 계절별로는 봄, 여름, 가을, 겨울에 각각 2657, 2071, 3249, 3384 $mBq/m^3$ 농도를 보여 겨울에 높고 여름에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월별로는 10월에 가장 높고 7월에 가장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일간 농도는 오전 7시에 하루 중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고, 오후 2~3시경에 가장 낮은 농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역궤적 분석 결과, 라돈 농도는 기류의 유입경로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아시아대륙으로부터 제주도로 이동했을 때 농도가 높고 북태평양으로부터 기류가 유입될 때 훨씬 더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주암호의 계절별 용존가스상 수은의 변화 및 특성

  • 박종성;오세희;신미연;이승묵;조경덕
    • 한국환경보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보건학회 2005년도 가을학술대회
    • /
    • pp.138-142
    • /
    • 2005
  • DGM은 상온에서 휘발성을 가지는 수은의 독특한 화학적 성질 때문에 쉽게 대기로 방출될 수 있고, 대기 중으로의 DGM 방출은 수체 내 수은의 유일한 제거 기작일 뿐만 아니라, 고정상으로 존재하던 수은이 다시 이동상의 수은으로 변화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본 연구는 2005년 8월과 10월에 주암호를 대상으로 실시간 자동분석 장치(Tekran 2537A)를 이용하여 DGM 농도변화를 관찰하였다. 전반적인 주암호(n=23)의 여름철 평균 BGM 농도는 110 ${\pm}$ 21 pg $L^{-1}$으로 기존에 발표된 국외 호수에서의 DGM 농도보다 약 3배정도 높았다. 강우에 따른(강우량 : 0.4 mm) DGM 농도 변화는 비가오기 전 89 pg $L^{-1}$ 에서 비온 뒤 89 pg $L^{-1}$ 으로 약 9%가 증가했다. 그러나 가을철 평균 DGM 농도(n=21)는 20 ${\pm}$ 0.4pg $L^{-1}$ 로 여름철보다 약 5.5배 감소했고, 비가 내리는 날씨에서의 DGM 농도는 13.7 pg $L^{-1}$ 로 맑은 날 같은 시간에 비해(32 pg $L^{-1}$) 약 58% 감소했다.

  • PDF

고산에서 측정한 TSP 농도 특성: 통계적 해석 (Characteristics of TSP Concentrations Measured at Gosan: Statistical Analysis)

  • 박민하;김용표;강창희;김원형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3-100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세가지 통계적 기법을 적용하여 고산에서 측정한 TSP (Total Suspended Particle) 농도 특성을 해석하였다. 우선 황사와 비황사시의 평균농도를 비교하는 t-검정의 기본가정을 점검하였다. 모집단을 정규분포화 하기 위해 당량농도를 Log 변환하였고 이로써 1992~1999년 봄철 황사시 평균농도가 비황사시 평균농도보다 높은 이온 성분은 NH$_4$$^{+}$ 뿐임을 확인하였다. 통계적 검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기본 가정을 확인하는 것은 중요한 과정이다. 또한 봄철에 집중되어 있는 TSP측정기간이 평균값에 미치게 될 영향을 제거하기 위해 측정일수를 유사하게 맞추었다. 측정일수를 맞추어 산정한 평균값과 측정일수가 다른대로 산정한 평균값을 비교해본 결과, 기간별 측정일수가 다름은 평균값에 영향을 미치나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비모수 통계기법을 이용해 nss-SO$_4$$^{2-}$ NO$_3$$^{-}$ 과 S/N 비의 경향성을 분석해본 결과, nss-SO$_4$$^{2-}$ 의 경우 통계적으로 그 경향성은 나타나지 않고 NO$_3$$^{-}$만이 증가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따라서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인 S/N 비는 NO$_3$$^{-}$ 에 의한 감소의 경향을 나타냄을 통계 적으로 확인하였다.

마산만 해양방류 혼합구역에서의 하수농도 분포 변화 (Concentration Changes of Wastewater Effluent Discharge in the Mixing Bone of Masan Sea Outfall)

  • 강시환;유승협;김상익;오병철;박광순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5-24
    • /
    • 2001
  • Huang 등[1996]이 제안한 해양방류 혼합구역에 대한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마산만 해양방류 해역의 혼합구역에서 주변해수의 흐름과 밀도성층의 변화에 따른 혼합 희석에 의한 수중방류하수의 농도변화분포를 산정하였다. 방류해역에서 5월 중순부터 8월 중순까지 3개월 동안 연속 관측된 조류의 매 시간별 유향과 유속변화에 따른 혼합구역에서의 하수농도분포를 계산하고, 마산만 해수유동에 있어 가장 큰 요소인 조류의 변화를 고려하여 15일 간격으로 방류하수의 평균된 농도분포를 구하였다. 이 결과에 의하면 조류의 유속이 상대적으로 강했던 기간동안에는 혼합구역에서의 평균농도는 매우 낮았고, 유속이 약했던 기간에는 낮은 희석률로 인해 평균농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관측된 조류의 주 방향으로 인해 혼합구역이 방류해역의 서측 해안까지 확장됨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방류해역에서 조사된 퇴적물의 오염도 분포결과와도 잘 일치되었다.

  • PDF

아크릴아미드의 역상 현탁중합 (Inverse Suspension Polymerization of Acrylamide)

  • 이기상;송봉근;이동주
    • 폴리머
    • /
    • 제25권4호
    • /
    • pp.460-467
    • /
    • 2001
  • Sorbitan ester(Span)와 2,2'-azobis(2-methyl propionamidine) dihydrochloride(AIBA)를 각각 입자안정제와 개시제로 사용하여 cyclohexane 분산매에서 acrylamide (AM)의 역상 현탁중합을 다양한 중합 조건하에서 수행하여 생성되는 poly(acrylamide)(PAM) 현탁입자의 입자경, 평균분자량, 수용화도 등을 조사하였다. 일반적으로 PAM 현탁입자경은 입자안정제의 농도, 진탕속도, 수용상 성분 중 물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또는 개시제의 농도, 중합 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PAM 현탁중합체의 평균분자량은 단량체의 농도, 입자안정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또는 개시제의 농도, 중합 온도, 수용상 성분중 물의 농도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PAM 현탁입자는 구슬형의 약 2 ~ 50 ${\mu}$m 범위의 입자경과 약 800 ~ 1200만의 중량평균분자량을 나타내었다.

  • PDF

2006 ~ 2008년 황사기간 중 천안시 대기 입자의 특성 변화 (Changes in aerosol characteristics during 2006 ~ 2008 Asian dust events in Cheonan, Korea)

  • 오세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1642-1647
    • /
    • 2009
  • 황사기간 중 천안시 대기 입자의 특성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Cascade Impactor를 장착한 High Volume Air Sampler를 이용하여 대기 시료를 채취하여, 대기 입자의 입경별 질량농도 및 이온, 금속 성분의 농도를 황사기간과 비황사기간에 비교 측정하였다. 황사기간 중 일평균 TSP, PM10, PM2.5 평균 농도가 각각 214.9, 160.3, 95.9${\mu}\;g/m^3$으로, 비황사기간에 비해 각각 평균 3.08, 2.58, 1.95배 증가하였으며, 최대 농도는 TSP, PM10, PM2.5가 각각 850.1, 534.4, 233.3${\mu}\;g/m^3$으로, 비황사기간에 비해 각각 12.19, 8.60, 4.76배까지 증가하였다. 황사기간 중 농도의 증가는 미세입자보다는 조대입자에서 현저하였으며, 미세입자와 조대입자 모두 수용성 이온성분의 증가는 미미한 반면, 토양의 주요 구성 성분인 Fe, Al, Ti의 증가가 뚜렷이 관측되어, 토양구성 금속성분이 황사기간 중 입자 농도 증가의 주요원인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