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놀이문화

Search Result 31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Research on the Costume for the Folk Festivals of Chilseok-dong (칠석동 민속축제복식에 관한 연구)

  • Kim, Eun-J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7 no.12
    • /
    • pp.1397-1404
    • /
    • 2003
  • 2002년 월드컵 전야제에서는 한국문화를 소개해 세계인의 환호를 받았는데 그 중에는 칠석동 민속축제인 고싸움놀이가 펼쳐졌다. 칠석동 민속축제는 일반 서민복식의 전통복 형태를 보여주는 복식(服飾)을 실제 착용하고 축제를 행하고 있으므로, 점차 사라져 가는 전통복식을 놀이문화를 통해 직접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가치를 갖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화 시대에 우리 전통문화에 대한 정체성 확립을 위해 시대적 변화에 따라 변해 가는 민속복식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칠석동 고싸움놀이를 중심으로 시대적 흐름을 통한 고싸움놀이의 전수과정에서 형성되어 온 민속축제복식의 구성과 특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광주지역인 광산구 칠석동 마을을 중심으로 자료조사와 현장조사를 병행하였다. 자료조사는 민속에 관련된 전공서적과 무형문화재 조사보고서, 행사팜플렛 등을 참고하였고, 현장조사는 고싸움 축제에 참가하여 복식 전반에 대한사진촬영과 마을축제 참여하는 마을사람들을 중심으로 축제복식에 관한 면담조사를 하였다. 칠석동 고싸움 축제복식은 행사가 진행되는 내용에 따라 크게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본격적인 고싸움이 시작되기 전날 밤에 당산나무에 제를 지내는 당산제 복식, 마을의 평안과 고싸움의 흥을 돋우기 위한 농악복식, 고싸움이 시작되기 전에 아낙네들이 손과 손을 맞잡고 둥글게 돌며 화합을 다짐하는 강강수월래 복식, 한해 풍년을 기원하는 고싸움복식이 있다. 칠석동 고싸움 축제복식의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면에서는 농경제의(農耕祭衣)와 안택축원(安宅祝願的)을 기원하는 민속놀이축제복식으로 일상생활에 착용하는 복식을 이용한 농경 의례복의 다(多)기능성이 강조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색상은 우리조상의 백의(白衣)의 상징인 일상복인 백색 위에 오방색을 사용하여 화려하고도 강렬한 원색의 색상조화가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형태면에서는 양쪽어깨와 허리선의 면 분할이나 비례를 통해 허리부분의 동작에 따른 유동적인 선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평면구성의 단조로움은 흔들리는 몸동작에 따른 고름의 율동미와 축제복식의 착장 방법에 따른 한국복식의 형태미를 보여주었다.

Research Study on Korean Seasonal Customs Culture Experience Education Contents for International Students (외국인 유학생대상 한국세시풍속문화 체험교육콘텐츠 연구)

  • Lee, Ri-Kyung;Ju, Young-A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77-378
    • /
    • 2017
  •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대상 한국세시풍속문화 체험교육콘텐츠 개발의 필요성을 제고하여 한국문화교육 실시에 필요한 실용적인 체험교육콘텐츠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한국세시풍속문화 체험교육콘텐츠는 계절별로 나누었으며. 콘텐츠별 분류는 의례, 음식, 놀이, 예술, 축제 등의 다섯 분류로 나누었다. 콘텐츠의 분류는 오덕(五德)의 의미를 담아 의례에는 예(禮), 음식에는 의(義), 놀이에는 지(智), 예술에는 인(仁), 축제에는 신(信) 등으로 재조직하여 분류하였고, 그에 맞추어 교육콘텐츠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한국세시풍속문화 체험교육콘텐츠가 실용적으로 확산되기를 기대한다.

  • PDF

콘텐츠라인 / 서울 국제미디어아트 비엔날레

  • Gwon, Gyeong-Hui
    • Digital Contents
    • /
    • no.1 s.140
    • /
    • pp.100-101
    • /
    • 2005
  • 세계적인 미디어 예술 축제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서울 국제 미디어아트 비엔날레(미디어 시티 서울 2004)의 막이 올랐다. 올해로 3회를 맞은 이 비엔날레의 주제는 '게임,놀이' 15일 개막해 오는 2월 6일 까지 40여일 동안 서울시립미술과 전관과 서울시 일대에서 펼쳐진다. 이번 비엔날레에서는 우리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게임과 놀이의 각종 게임과 유희에 담긴 사회문화적 메세지들을 총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자리다.

  • PDF

PR페이지 - 성우애드검(주) 출판브랜드 개미똥구멍의 첫 작품 '좀 놀아본 캠핑'

  • Jo, Gap-Jun
    • 프린팅코리아
    • /
    • v.14 no.6
    • /
    • pp.93-93
    • /
    • 2014
  • 우리가 잊고 있던 놀이의 기억을 끄집어내 재창조한 '좀 놀아본 캠핑'은 1년간 캠핑장에서 가족이 함께 놀아본 77가지 놀이를 보기만 해도 행복함이 전해지는 화보같은 사진으로 담아내 읽는 즐거움을 더해준다. (주)성우애드컴의 이민성 대표이사가 지난 4월 런칭한 출판브랜드 개미똥구멍을 통해 선보인 첫 작품이다.

  • PDF

A Study on the Meaning of Robot Play Experience of 5-Year-Old Children: Focused on free play and structured group activities (만 5세 유아의 로봇 놀이 경험의 의미연구: 자유놀이와 구조적 집단활동을 중심으로)

  • Lee, Hyo Ju;Nam, Ki Wo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6
    • /
    • pp.41-48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robot play in the free play time of 5-year-old children in daycare centers with the experience of 5-year-old children in the structural group activities of teachers. To this end, a total of 32 children (15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7 in the comparative group) aged 5 were conducted for 1 hour three times a week for 10 weeks. Robots were supported as toys in the classroom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hildren in the comparative group freely experienced robot exploration and play during free play time, and children in the comparative group learned the robot's functions and performed structural group activities based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national-level curriculu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the use of robots in free play showed a significant effect in creativity and fluency of children, and a significant effect in expression of pleasure in playabil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robots are meaningful as play material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hich aims for infant-led free play, and that it is worth studying the robot experiences of children in these free situation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