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논 토양

Search Result 5,050,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Soil Dehydrogenase Activity and Microbial Biomass C in Croplands of JeJu Province (제주지역 농경지 이용유형별 토양 탈수소효소활성과 미생물체량)

  • Joa, Jae-Ho;Moon, Kyung-Hwan;Choi, Kyung-San;Kim, Seong-Cheol;Koh, Sang-Wook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6 no.2
    • /
    • pp.122-128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soil dehydrogenase activity and microbial biomass C with soil type and land use in cropland of JeJu region. Soil chemical properties, dehydrogenase activity, and microbial biomass C were analyzed after sampling from upland (50 sites), orchard (50 sites), paddy (30 sites), horticultural facility (30 sites) in March. Average pH values was at 6.3 in upland soil, however soil chemical properties showed a large spatial variations in both orchard and horticultural facility soil. The Zn and Cu contents increased by the continuous application of pig manure compost in some citrus orchard soil. Soil dehydrogenase activity and microbial biomass C were higher in non-volcanic ash than in volcanic ash soil regardless of land use type. Soil dehydrogenase activity was two to four times higher in upland than in the others. It was at 38.7 ug TPF $24^{h-1}g^{-1}$ in non-volcanic ash of upland soil. Microbial biomass C content was very high in horticultural facility soil and it showed at 216.8 $mg\;kg^{-1}$ in non-volcanic ash. Soil dehydrogenase activ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rganic matter ($r^2$=0.59), Zn ($r^2$=0.65), and Cu ($r^2$=0.66) in non-volcanic ash horticultural facility soil.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r^2$=0.57) between soil organic matter and dehydrogenase activity in volcanic ash upland soil.

Analysis of Soil Moisture Monitoring at a Hillslope in Forested Watershed (산림유역 사면에서의 토양수분 시계열 관측 분석)

  • Jang, Eunse;Gwak, Yong Seok;Lee, Jung Hun;Lee, Yeun Gil;Jung, Sung Won;Kim, Sang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90-490
    • /
    • 2015
  • 산림 사면에서의 토양층 수문반응은 물순환을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수분자료를 이용하여 토양수분의 계절적, 공간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설마리의 설마천 유역 내에 위치한 범륜사사면과 충청북도 음성군의 청미천 유역내의 수레의산사면이다. 정밀측량을 통해 획득한 수치고도모형(Digital Elevation Model, DEM)을 이용하여 관측지점들을 각각 선정하였다. 대상사면에 토양층별 토양수분의 분포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각 지점별 10, 30, 60cm에서 토양수분량 측정시스템(Time Domain Reflectometry, TDR)방식의 토양수분측정장비(miniTRASE)를 설치하여 2시간 간격으로 2014년 3월부터 12월까지 토양수분을 측정하였다. 각 지점별 사면에서 획득된 토양수분 시계열자료는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분포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지점별 토양수분량의 통계분석(평균, 표준편차, 변동계수)를 수행하였다. 설마천유역의 범륜사사면에서는 2014년도에 특히 강우량이 적어 토양수분의 평균과 표준편차의 월별 변화에서는 기저토양수분 값을 주로 유지하고 강우에 대한 변동성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청미천유역의 수레의산 사면에서는 시간적 토양수분변화는 계절적 강우분포 패턴에 따라 반응이 나타났다. 청미천유역의 토양수분자료를 이용하여 토양수분의 계절적, 공간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 지표근처 토양층(10, 30cm)와 저층(60cm)에서의 공간적 변화특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는 저층(60cm)에서의 지표하 흐름, 기반암 존재의 영향차이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고, 사면의 위치에 따라 토양수분의 안정화 정도가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Soil Moisture Retrieval of Mountainous Area on Korean Peninsula using Sentinel-1 Data (Sentinel-1 자료를 이용한 한반도 산지에서의 토양수분 복원 연구)

  • Cho, Seongkeun;Choi, Min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02-102
    • /
    • 2019
  • 토양수분은 수문 및 기상 현상의 주요 요인으로 가뭄, 홍수 및 범람과 같은 자연 재해와 관련이 깊은 인자이다. 이러한 토양수분의 관측 기술 중 위성 데이터를 활용한 원격탐사 기술은 광범위한 지역의 관측이 용이하고 지점이 아닌 공간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점을 지니고 있어 토양수분의 관측에 유리하다. 특히 높은 해상도의 위성기반 토양수분 데이터는 토양수분의 변동성이 큰 지역의 수문, 기상학적 현상을 보다 자세히 분석할 수 있게 해주며 가뭄 및 범람과 같은 수자원 관련 재해를 정확하게 분석하는데 요구된다. 이로 인해 최근 Sentinel-1 위성에서 운용중인 Synthetic Aperture Radar(SAR) 데이터를 이용한 매우 높은 공간해상도(10m~1km)를 지니고 있는 토양수분데이터 생산에 관한 연구가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Sentinel-1 위성을 이용한 토양수분 데이터 복원에 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파주 감악산 설마천 유역에서의 Sentinel-1 위성의 SAR 데이터를 이용한 고해상도 토양수분 데이터를 복원하고자 한다. 파주 설마천 유역은 감악산 일대로 경사가 심하고 식생이 두터운 산악지형이다. SAR를 이용하여 산지에서 신뢰성 있는 토양수분 자료를 복원하기 위해서는 가장 큰 오차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경사와 식생을 고려하여야 한다. 먼저 표면 경사의 영향의 경우 SAR 센서의 레이더 입사각과 수치 표고 모델을 이용하여 고려하고자 한다. 다음 과정으로 표면 경사가 고려된 Sentinel-1 데이터의 후방산란계수와 Landsat-8 데이터 및 지점 토양수분 데이터를 이용하여 식생에 따른 후방산란계수의 거동을 Water Cloud Model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Water Cloud Model은 토양위의 식생의 수분이 후방산란계수에 혼동을 주는 구름과 같이 작용한다고 가정하고 식생수분을 후방산란계수와 레이더 입사각 및 식생지수를 통해 계산하는 모델이며 이를 이용하여 토양수분 복원에 있어 식생의 영향을 제거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식생과 표면 경사를 고려하여 복원된 토양수분 데이터를 설마천 유역의 지점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고 다른 위성기반 토양수분 데이터 및 강우 데이터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한반도 산지에서의 SAR 데이터를 이용한 토양수분 복원 기술의 기초가 마련될 것이며 이를 통해 산지가 대부분인 한반도의 토양수분 거동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 이후에는 연구결과분석을 통한 산지에서의 고해상도 토양수분 복원 알고리즘을 분석, 보완하고 한반도에서의 SAR 기반 토양수분 데이터의 정확도를 높이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Relationship of Topography and Microbial Community from Paddy Soils in Gyeongnam Province (경남지역 논 토양 지형과 미생물 군집의 관계)

  • Lee, Young-Han;Ahn, Byung-Koo;Sonn, Yeon-Kyu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4 no.6
    • /
    • pp.1158-1163
    • /
    • 2011
  •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soil microbial communities by fatty acid methyl ester (FAME) method in paddy soils at 20 sites in Gyeongnam Province. The soil microbial biomass carbon content of fan and valley $1,266mg\;kg^{-1}$ was higher than alluvial plain $578mg\;kg^{-1}$ (p<0.05). In addition, The dehydrogenase activity of fan and valley $204{\mu}g\;TPF\;g^{-1}\;24h^{-1}$ was higher than alluvial plain $93{\mu}g\;TPF\;g^{-1}\;24h^{-1}$ (p<0.05). The communities of total bacteria and Gram-negative bacteria in the fan and valley paddy soil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alluvial plain paddy soils (p<0.05). Total bacteria communities should be considered as a potential responsible factor for the obvious microbial community differentiation that was observed between the fan and valley and alluvial plain in paddy soils.

Response of Soil Microbial Communities to Applications of Green Manures in Paddy at an Early Rice-Growing Stage (녹비 시용이 초기 논 토양 미생물군집에 미치는 영향)

  • Kim, Eun-Seok;Lee, Young-Han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4 no.2
    • /
    • pp.221-227
    • /
    • 2011
  • Applications of green manures generally improve the soil quality in rice paddy in part through restructuring of soil microbial communities. To determine how different green manures affect soil microbial communities during the early stages of rice growth, fatty acid methyl ester (FAME) profiles were used to the effects of different management practices: 1) conventional farming (CF), 2) no-treatment (NT), 3) Chinese milk vetch (CMV), 4) green barley (GB), and 5) triticale in paddy field. With applications of green manures, soil organic matte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F, while soil Na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with CF (p<0.05). Total soil microbial biomass of CMV was higher (p<0.05) than NF by approximately 31%. The highest ratio of monounsaturated fatty acid to saturated fatty acid was found in the GB plot, followed by CMV and triticale compared with CF (p<0.05), possibly indicating that microbial stress was less in GB and CMV plots. Populations of Gram-negative bacteria and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lso were significantly higher green manures than CF (p<0.05). Our findings suggest that GB should be considered as optimum green manure for enhancing soil microbial community at an early growing stage in paddy field.

Determination of Soil Nitrogen Supplying Capacity Using Pepsin Digestibility (Pepsin 분해방법을 이용한 토양의 질소 공급력 결정)

  • Kim, Yoo-Hak;Kim, Sun-Kwan;Zhang, Yong-Sun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8 no.5
    • /
    • pp.253-258
    • /
    • 2005
  •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a nitrogen supplying capacity (NSC) of soil for sustainable agriculture. NSC has been decided by directly detecting N mineralization potential (NMP) and inorganic nitrogen or by indirectly approximating from organic matter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 NMP is best method for NSC but it takes long period. A study was conducted to find a short-term incubation method using pepsin through 1) determining NMP of 3 upland and 3 paddy soils, 2) establishing analytical condition of pepsin digestion by comparing to NMP, 3) validating with relations to N requirements for maximum yield of rice. NMPs of 6 soils were ranges from $63mg\;N\;kg^{-1}$ to $156mg\;N\;kg^{-1}$. The pepsin digestion method of soil nitrogen was established by determining amino nitrogen from digesting 5 g of soil for 30 minutes by 0.02% pepsin. This method was so highly correlated with a maximum rate of nitrogen fertilizer that it could be used for determining NSC in paddy soil.

복합영농구상하고 땅심돋아야 할 때 =논토양의 효율적 이용과 관리대책=

  • 엄기태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6 no.11
    • /
    • pp.52-62
    • /
    • 1985
  • 우리나라의 논면적은 132만 정보로써 전 경지면적의 60.7$\%$에 해당되며 우리국민의 주식인 쌀을 생산하는 터전이다. 벼를 씨뿌린 후 수확하기까지는 약6개월이 소요되지만 본답에 이앙하고부터는 4개월이면 충분히 벼를 수확할 수 있기 때문에 나머지 8개월동안 논토양을 어떻게 이용하느냐에 따라서 농가경제는 물론 국가의 식량생산에도 큰 영향을 주게된다. 또한 단위면적당 벼 수량을 높이기 위하여는 토양조건을 벼가 자라는데 부족함이 없도록 만들어 주어야 되는데, 비료나 농약 등은 벼가 자라는 기간에 뿌릴 수 있지만 논을 깊이 갈이한다거나 배수시설 등은 벼 생육기간에는 작업이 불가능하므로 벼를 수확한 후에 계획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제 여러 가지 어려운 여건속에서도 연속 5년간 대풍을 이룬 논토양을 농한기동안 어떻게 이용하고 어떻게 관리해야 되는가에 대하여 소개하기로 하겠다.

  • PDF

The Necessity of Verifying Soil Erosion on Computing, Sediment Yield using SATEEC system (SATEEC모형을 이용한 유사량 산정시 토양유실량 검증의 필요성)

  • Woo, Won-Hee;Choi, Jae-Wan;Lee, Ji-Won;Kum, Dong-Hyuk;Kang, Hyun-Woo;Lim, Kyo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35-335
    • /
    • 2011
  • 토양유실은 농업환경지표를 비롯한 국제 규범에서 농업에 의한 환경오염의 핵심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토양유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USLE를 기반으로 한 SATEEC모형을 사용하여 토양유실량 및 유사량을 산정하였다. SATEEC모형은 USLE입력자료와 DEM을 이용하여 산정된 토양유실량 과 GA-SDR모듈을 통해 산정된 유달률(Sediment Delivery Ratio, SDR)을 통하여 최종유출구에서의 유사량을 산정한다. 많은 연구자들은 최종유출구에서의 유사량을 실측유사량과 비교하여 비슷하게 모의되면 유역의 특성을 잘 반영한다고 판단하므로 SATEEC모형의 단점인 토양유실량이 과하게 산정되는 문제점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하지만 SATEEC 모형의 결과값인 유사량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토양유실량 검증을 통한 정확한 입력자료 구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개의 토양유실량 시나리오를 만들어 이에 따른 SATEEC 모형의 유사량을 비교/평가하고, 이를 이용하여 토양유실량의 검증이 필요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토양유실량 시나리오는 총 4개로써, 시나리오 1은 SATEEC모형을 이용하여 산정된 토양유실량이며, 시나리오2~4는 ArcGIS를 사용하여 기존의 토양유실량 값에 ${\pm}0.25$의 범위를 주어 새롭게 산정된 토양유실량으로 SATEEC모형을 이용한 유사량 산정시 입력자료로 활용하였다. 그 결과 SATEEC모형을 이용하여 산정된 토양유실량은 시나리오별로 차이를 보였다. 또한 SATEEC GA-SDR모듈을 통해 예측된 토양유실량 값과 실측유사량을 이용하여 유달률을 산정하였으며 유달률도 토양유실량 시나리오별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SATEEC모형을 이용하여 최종유출구에서의 유사량 산정 결과 토양유실량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유사량은 거의 비슷한 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최종유출구에서의 모의된 예측 유사량이 실측유사량과 비교 시 R2=0.688, EI=0.643 정도로 실측유사량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SATEEC모형을 이용하여 유사량 산정시 먼저 문헌을 통한 토양유실량 검증이 필요하리라 판단되며, 문헌을 통해 토양유실량 검증 후 정확한 입력자료를 구축하여 유역에서의 유사량 저감을 위한 최적관리 기법 분석에 사용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를 구축해야 할 것이라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