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논용수

Search Result 2,403,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tudy on the Analysis of Actual costs and Maintenance costs for Elemental Classification hierarchy (부위별 분류 체계를 통한 공사비 및 유지관리비 분석 - 교육 시설물을 중심으로 -)

  • Kang, Hyun-Wook;Kim, Yong-Su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1 no.1
    • /
    • pp.142-150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aintenance costs and estimation of elemental costs for educational buildings. The adapted research method selected four school buildings in seoul region as BTL projects. On the basis of the selected case, the study suggested a model to establish a system for each parts and estimate analyzed construction costs and maintenance costs according to that system.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study proposed a partial construction costs analysis table and maintenance costs table and analyzed proper construction costs and maintenances co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ratio followed by calculation of partial construction costs of the four school buildings are as followings. The total construction costs is analysed 6,666million won and each part of average rations is structure 47.15%, exterior of building 8.34%, interior of building 23.37%, electricity & fire fighting facility 5.74%, water supply & healthy facility 4.27%, heating & water supply facility 5.25%, landscape 1.36%, civil engineering works 4.51%. 2)The average ratio followed by analysis of partial maintenance costs of the four school buildings are as followings. The total maintenance costs is analysed 4,309 million won and each part of average ratio is exterior of building 11.02%, interior of building 41.81%, electricity & fire fighting facility 14.81%, water supply & healthy facility 11.22%, heating & water supply facility 12.76%, landscape 5.75%, civil engineering works 2.63%.

An Evaluation Method of Water Supply Reliability for a Dam by Firm Yield Analysis (보장 공급량 분석에 의한 댐의 물 공급 안전도 평가기법 연구)

  • Lee, Sang-Ho;Kang, Tae-U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9 no.5 s.166
    • /
    • pp.467-478
    • /
    • 2006
  • Water supply reliability for a dam is defined with a concept of probabilistic reliability. An evaluation procedure of the water supply reliability is shown with an analysis of long term firm yield reliability. The water supply reliabilities of Soyanggang Dam and Chungju Dam were evaluated. To evaluate the water supply reliability, forty one sets of monthly runoff series were generated by SAMS-2000. HEC-5 model was applied to the reservoir simulation to compute the firm yield from a monthly data of time series. The water supply reliability of the firm yield from the design runoff data of Soyanggang Dam is evaluated by 80.5 % for a planning period of 50 years. The water supply reliability of the firm yield from the historic runoff after the dam construction is evaluated by 53.7 %. The firm yield from the design runoff is 1.491 billion $m^3$/yr and the firm yield from the historic runoff is 1.585 billion $m^3$/yr. If the target draft Is 1.585 billion $m^3$/yr, additional water of 0.094 billion $m^3$ could be supplied every year with its risk. From the similar procedures, the firm yield from the design runoff of Chungju Dam is evaluated 3.377 billion $m^3$/yr and the firm yield from the historic runoff is 2.960 billion $m^3$/yr. If the target draft is 3.377 billion $m^3$/yr, water supply insufficiency occurs for all the sets of time series generated. It may result from overestimation of the spring runoff used for design. The procedure shown can be a more objective method to evaluate water supply reliability of a dam.

Streamflow Estimation using Coupled Stochastic and Neural Networks Model in the Parallel Reservoir Groups (추계학적모형과 신경망모형을 연계한 병렬저수지군의 유입량산정)

  • Kim, Sung-W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6 no.2
    • /
    • pp.195-209
    • /
    • 2003
  • Spatial-Stochastic Neural Networks Model(SSNNM) is used to estimate long-term streamflow in the parallel reservoir groups. SSNNM employs two kinds of backpropagation algorithms, based on LMBP and BFGS-QNBP separately. SSNNM has three layers, input, hidden, and output layer, in the structure and network configuration consists of 8-8-2 nodes one by one. Nodes in input layer are composed of streamflow, precipitation, pan evaporation, and temperature with the monthly average values collected from Andong and Imha reservoir. But some temporal differences apparently exist in their time series. For the SSNNM training procedure, the training sets in input layer are generated by the PARMA(1,1) stochastic model and they covers insufficient time series. Generated data series are used to train SSNNM and the model parameters, optimal connection weights and biases, are estimated during training procedure. They are applied to evaluate model validation using observed data sets. In this study, the new approaches give outstanding results by the comparison of statistical analysis and hydrographs in the model validation. SSNNM will help to manage and control water distribution and give basic data to develop long-term coupled operation system in parallel reservoir groups of the Upper Nakdong River.

A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Water Temperature by Juam Regulation Dam Outflow in Downstream and Suncheon Bay (주암조절지댐 방류수에 따른 하천 및 순천만 일대 수온변화 조사분석)

  • Lee, Hyeon No;Jung, Kwan Sue;Cheon, Geun Ho;Hur, Young Tec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8 no.6
    • /
    • pp.501-509
    • /
    • 2015
  • Lately multipurpose dam is required to consider various interests such as quality, ecological environment as well as flood control, water supply, hydropower generation, etc.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water temperature in the areas where there are social conflicts due to cold water outflow. In this study, we monitored water temperature of Juam regulation dam, downstream river, Suncheon bay in a long term period and performed comparative analysis on a change of water temperature in downstream river and Suncheon bay by using three-dimensional numerical mode (EFDC) considering various external factors such as water outflow amount. The result of monitoring and numerical modelling indicates that effects of cold water outflow takes place from april to september. Also effects of the low temperature discharge of dam was complicatedly alter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outflow time and amount, weather and tide level conditions etc.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basic data for establishing improvement of dam operation plan to minimize negative effects of dam's cold temperature water outflow to downstream river and coastal area.

Riverbank Filtration Well Development for Water Source Heat Pumps (시설원예 히트펌프 냉난방용 강변여과수 개발)

  • Cho, Yong;Lee, Nam-Young;Park, Jin-Hoon;Moon, Jong-P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996-2000
    • /
    • 2010
  • 국내 시설원예 면적은 2005년 기준 52,022ha에 달하고 있으며 약 23%에 해당하는 12,000ha는 겨울철에 난방기를 가동하여 원예작물을 생산하고 있다. 농업용 난방기의 보급은 가온재배 면적의 증가와 더불어 급신장하고 있어 농업용 면세유 중 경유 공급액 약 9,260억원 중 62%에 해당하는 1,350,000톤이 시설원예 난방에 사용된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지속적인 유가 상승으로 시설재배 농가의 경영이 악화되고 있어 최근 히트펌프를 이용한 냉난방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시설원예 냉난방에 사용되는 히트펌프의 열원은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나 강변에 위치하고 있는 시설원예단지의 경우 연 중 풍부한 유량과 안정적인 수온을 얻을 수 있는 강변여과수는 매우 매력적인 열원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범지역으로 남강댐 하류에 위치하고 있는 진주지역의 시설원예단지와 낙동강 유역의 구미지역 시설원예단지의 두 곳에 대하여 1일 $1,000m^3$의 강변여과수 개발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육안 및 현장여건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고 인근 지하수 사용현황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진주지역의 경우 일부 농가에서 지하수를 사용하고 있었으나 1일 8~10시간 취수에 최대 취수량은 약 $120m^3$ 정도였다. 반면, 구미지역의 경우 1999년 구미첨단원예농단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양액재배에 농업용수를 공급할 목적으로 지하수 개발이 실시되었으며 최근 인근 국화축제를 개최하는 지역에서 신규로 지하수를 개발하여 사용 중이었다. 전기비저항 탐사를 실시한 결과 진주지역은 지하 약 6~17m 지점에 대수층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구미지역은 지하 약 10~20m 지점에 대수층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지만 지하 20m 지점부터는 대수층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두 지역에 각각 두 공을 시추하여 조사한 결과, 구미지역의 경우 수면높이가 지하 약 10m이고 각각 2.5m와 4.6m의 모래자갈층을 형성하고 있어 $1,000m^3$/일의 취수량 개발이 원활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진주지역은 수면높이가 지하 약 3m이고 각각 3.5m와 6.5m의 모래자갈층을 형성하고 있어 $1,000m^3$/일의 취수량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현장 시추조사 및 기존관정 조사결과, 구미지역에 비하여 진주지역이 지하수 물량 확보가 상대적으로 용이하고 신규 굴착 가능지점이 다수 분포하고 있어 연구지점으로 활용하는데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진주지역에 여과수열원 확보를 위해 2곳의 양수관정을 설치하고 히트펌프를 이용하여 시설원예의 냉난방을 실시할 예정이다.

  • PDF

Problem Analysis and Improvements Plans for PF ABCP of Apartment Housing Development Projects (공동주택 PF ABCP의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Kim, Soo-Yeol;Hwang, Uk-Sun;Kim, Yong-Su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2 no.2
    • /
    • pp.133-14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parties involved in the issuance of apartment housing development projects. The adapted research method selected four apartment housing development as PF ABCP projects. This study carried out the case about participant institution of PF ABCP funding project including developer, constructor, financial institution so as to draw problems by participant institution. On the basis of the selected case, this thesis proposes methods for involved parties to negotiate and work out problems of the PF ABC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Launching long-term project financing should be developed, including operating funds and strengthen the ABS and ABCP issuance of credit assessment procedures, combined with the simplicity of the instruments. 2) The Low-risk contract for the construction of simple managerial focus should be the construction, financial institutions essentially dependent on project financing feasibility verification purpose loans to prevent the division a true story, the development should be of interest to be preserved. The proposed included, among other, partial guarantee based on the construction plan financial institutions' share-based investment, and the supplement of legal issues.

A study on the Feasibility Analysis factor Model for Housing Development Projects (주택개발사업의 사업성분석인자 모델에 관한 연구;사업성 분석인자의 중요도 분석 및 타당성 검증을 증심으로)

  • Hong, Yeong-Geon;Kim, Young-Ai;Kim, Y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7.11a
    • /
    • pp.249-254
    • /
    • 2007
  • The main bodies of housing markets of today need to carry out a systematic and objective feasibility analysis even from the step of planning in order to succeed in a diverse and complex market environment.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understand this housing market environment and propose a necessary model for the feasibility analysis of hosing business. In this vei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tract an actual and practical feasibility analysis factor and its importance for housing market, and then present and apply a feasibility analysis factor model to an on-site example, in order to verify the model's validity. For this, the investigator interviewed with and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of experts in housing development project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First, the feasibility analysis factor, derived in this study, could provide a ground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subject projects in the planning of development through an analysis index. Second, when feasibility is under the level of carrying out the projects, it is possible to reexamine the projects through extracting analysis factors of which points are under the standard and via a feedback process for improvable analysis factors. Therefore, the result of applying the feasibility analysis model of this study to actual housing development projects analytically shows that the model could provide a practical evaluation criterion to the person in charge of project development through an analysis index.

  • PDF

Hydrological Assessment of Different Phase of ENSO through Estimation of Integrated Risk Index: A Case Study of the Han River basin (통합위험지수 산정을 통한 서로 다른 ENSO의 수문학적 영향 평가: 한강유역을 중심으로)

  • Yoon, Sun-Kwon;Kim, Jong-Suk;Lee, Joo-Heon;Moon,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82-98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중 소규모 유역의 수문학적 위험도 분석을 위하여 한강유역을 대상으로 통합위험지수(IRI: Integrated Risk Index)를 산정하였으며, El Ni$\tilde{n}$o-Southern Oscillation (ENSO)에 의한 대규모 대기순환 패턴의 변화가 한강 유역의 통합위험지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ENSO자료는 전통적인 El Ni$\tilde{n}$o에 해당하는 Cold-tongue (CT) El Ni$\tilde{n}$o와 중앙태평양 부근의 이상적인 해수면 온도 상승에 의한 Warm-pool (WP) El Ni$\tilde{n}$o, 그리고 해수면 온도가 이상적으로 낮게 관측되는 La Ni$\tilde{n}$a 기간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기간 중 가장 강한 ENSO가 발생한 해(CT El Ni$\tilde{n}$o, 1998; WP El Ni$\tilde{n}$o, 2005; La Ni$\tilde{n}$a, 2000)를 대상으로 통합위험지수를 산정하였다. 통합위험지수는 수문학적 요인(Hydrologic Components), 사회 경제적 요인(Socio-Economic Components)과 생태적 요인(Ecological Components)으로 구분하였고, 엔트로피(entropy) 기법을 통하여 각 인자와 요인별 가중치를 적용하였다. 중권역별 통합위험지수의 평가는 5개의 계급구간(Very High, High, Medium, Low, Very Low)으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 CT El Ni$\tilde{n}$o해의 유역평균 IRI 값은 0.58, WP El Ni$\tilde{n}$o해의 IRI 값은 0.57로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나, La Ni$\tilde{n}$a해에는 IRI 값이 0.41로 낮게 나타났다. CT와 WP El Ni$\tilde{n}$o해에는 한강 서쪽일부 중권역에서 통합위험지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La Ni$\tilde{n}$a해에는 한강 중 동부 대부분 유역에서 낮게 분석되었다. 향후 유역별 통합위험지수 산정과 더불어 서로 다른 형태의 ENSO에 따른 수자원 변동 예측이 이루어진다면, 수자원의 효율적인 관리와 안정적인 용수공급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유역별 수자원의 취약성 평가 및 위험도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 PDF

A Fundamental Comparison and Enhancement of Simulation and Optimization Modeling Approach for Multiple Reservoir Operation (댐군 연계운영에서 시뮬레이션 기법과 최적화 모형 활용기법의 원론적 비교 및 개선방법에 대한 연구)

  • Kong, Jeong-Taek;Kim, Jae-Hee;Kim, Sheung-Kow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18-118
    • /
    • 2012
  • 수자원의 효율적 이용 및 관리는 심화되고 있는 기후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발생가능한 물위기에 대비하기 위한 필수조건이다. 그 중 가장 핵심이 되는 요소는 댐에 저수된 물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것, 즉 댐 건설목적에 따라 시간 및 공간별로 적절하게 할당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Kim, 1998). 그러나 단일 댐의 운영과는 달리 수계내 댐군의 연계 운영은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이다. 연계된 댐들간 저수 상황을 고려하여 유역내 시 공간적인 용수 수요의 지속적인 충족을 위하여 유입량 예측의 정확성을 높이도록 하고, 상류 댐에 최대한 저류하도록 하며, 여수로 방류 같은 불필요한 방류를 최소화 하고, 서로 상충되는 목표를 갖고 있지만, 홍수용량 및 발전수위를 최대로 확보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처럼 댐 운영을 위한 실제 상황은 단일 목적에 의한 최적화와는 달리 여러 상충되는 목적 및 구성 요소들간의 타협, 조정을 필요로 한다. 댐군의 연계운영 문제는 1960년대 초부터 현재까지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어 온 분야 중 하나이나 문제의 복잡성과 어려움으로 인해 아직까지도 최선의 방안을 제시하기 어려운 문제이다(ReVelle, 2000). 이를 위한 방법은 시뮬레이션 모형 활용기법과 최적화 모형 활용기법으로 대별할 수 있으며 각 방법의 서로 다른 구조적 특성과 장단점으로 인하여 이원화된 체계로 사용되는 것이 현재의 국내 실정이다. 대부분의 실무에서는 이해도도 쉽고, 비교적 결과를 빨리 도출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기반의 모형을 활용하며 대표적으로 HEC-5, K-ModSim, HEC-ResSim 등이 활용되어왔다. 반면, 학계에서는 DP, MIP, SLP, SDP 등 최적화기법을 댐운영에 활용 할 것을 제안하고 있지만, 활용에 대한 거부감이 남아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과 최적화기법의 원론적 비교를 통해 각 방법의 장단점과 한계점을 분석하고, 왜 이원화된 사용체계로 되었는지에 대한 고찰과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시뮬레이션모형의 장점과 최적화기법의 장점을 결합한 모형을 제안한다. 국내에는 Kim and Park(1998)이 시뮬레이션 기반의 최적화 모형 CoMOM(Coordinated Multi-Reservoir Operating Model)을 개발하였으며, 이후 21C프론티어 연구사업(2001-2011)에서 모형의 보완수정 검증을 통해 실무 활용도를 높여 왔다. 본 연구를 통하여 거부감의 원천을 추적해 보고, 타당한 이유가 있는지 대한 것을 심층 분석해보고, CoMOM모형과 시뮬레이션 모형, 다른 최적화 기법들과의 원론적 비교를 통해 각 방법들의 효율적인 활용방안과 최적화모형의 구체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Discharge and Water Quality change of Doam Reservoir by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따른 도암댐유역의 유출 및 수질변화 분석)

  • Kim, Jung-Min;Kim, Young-Do;Kang, Bo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08-908
    • /
    • 2012
  • 국내 기후 특성상 하절기에 집중되는 강우로 인해 댐의 건설을 홍수조절, 용수확보 및 전력생산 등의 목적에 있어서 불가피하다. 이와 같은 저수지와 하류하천은 댐 수문 개폐에 따라 흐름변화로 인하여 수체의 거동 및 수질 변화가 발생하며, 일반적인 하천과는 다른 특성을 지니게 된다. 또한 수심이 깊은 저수지의 경우에는 흐름방향과 더불어 수심 방향의 특성도 중요하며, 수리 및 수질 모형의 연계를 통한 3차원적인 해석을 필요로 한다. 유역 내 지상 또는 대기에서 발생한 모든 오염물질은 강우에 의해 하천과 호수와 같은 수체로 유입되며, 강우가 발생했을 때 유역의 토지피복 상태와 수리, 지형, 강우강도, 토양의 특성에 의해 하천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농도와 부하특성이 달라진다. 비점오염물질의 축적이 가능한 호수나 저수지에서는 비점오염원의 유입이 더 큰 문제가 되며, 유량이 극히 미미한 하천의 경우에는 강우초기에 일시에 집중적으로 유입되는 초기 오염 부하량이 문제가 된다. 강우유출수의 하천 유입은 강우 현상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므로 그 제어가 쉽지 않다. 이러므로 이를 총괄하는 유역통합관리기술이 필요로 하며, 기존의 유역통합관리기술은 댐 상류유역을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댐 상류유역과 저수지, 하류하천으로 구분되어 연구되어 왔다. 또한 각각의 모형이 개별적으로 적용되어 통합적인 평가시스템이 표준화되지 않은 관계로 댐 상하류 모니터링 자료가 연계된 실무 적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하천 수리 수문학적 역학구조를 이해하고 그 특성에 적합하게 평가할 수 있는 표준화된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또한 효과적인 유역통합관리를 위해서는 하천의 현재 뿐만 아니라 장래에 대한 예측부분도 포함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댐 유역에서의 유출과 수질 변화를 모의하고 이를 이용하여 저수지 내에서의 오염물질 거동에 대해서 해석하였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유역, 저수지 및 하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고해상도 지역기후전망 모의자료를 이용하여 수문학적 스케일로 통계적 상세화한 후 지역별 상세수문시나리오를 생산하여 미래 예측에 활용하였다.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상세화를 통한 상세지역의 기후를 예측하고, 예측된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유역모델을 모의하여 미래의 유출 및 수질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기술 개발로 인해 저수지의 운영에 도움을 주고, 주수지의 치수증대 사업 등 유출의 변화에 따른 하류하천 변화를 파악할 수 있고, 기후변화에 따른 하류하천에 대한 홍수기 때 치수, 이수 및 방재에 대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