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녹지대

Search Result 14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Growing Characteristics of Shrub in the Planting Strip of Street, Busan City, Korea (부산시 가로녹지대 관목의 생육특성 및 뿌리발달 연구)

  • Hong, Suk-Hwan;Yang, Soon-Ja;Choi, Song-Hyun;Baek, Jae-Bong;Lee, Soo-Do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6 no.2
    • /
    • pp.257-263
    • /
    • 2012
  • Securing sufficient planting strip for street shrubs has a limitation. So many different shrubs which have been planted in the streets looks consider its visual aspect rather than growth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we compared with the growth condition of planted shrubs and construction condition of its planting strip. $Photinia$ $glabra$, $Euonymus$ $japonicus$, $Camelia$ $sasanqua$, $Nandina$ $domestica$, $Abelia$ $grandiflora$ were selected in the Busan City, Korea. The planting strips width were 0.5~0.9m which is not relatively different by each species. Species which have narrow growth character of root hair in the natural bed ($Nandina$ $domestica$, $Abelia$ $grandiflora$) have a good growth condition in the street planting strip, oppositely shrubs which have wide growth character of root hair ($Photinia$ $glabra$, $Euonymus$ $japonicus$, $Camelia$ $sasanqua$) have a relatively bad growth condition. Hereupon, there have a necessity which should be select the different shrub species for the planting strip of the street.

The Effect of Urban Road Vegetation on a Decrease of Road Surface Temperature (도시도로 녹지의 도로 표면온도 져감 효과에 관한 연구)

  • Cha, Hye-Jin;Lim, Ji-Hy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9 no.3
    • /
    • pp.107-116
    • /
    • 2011
  • One of the major factors which increase urban temperature is roads. This paper i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urban roadside vegetation on the road surface temperature. For this, surface temperature was measured at 18 spots using the thermal imaging camera in terms of road components including use of roadside land use, roadway, sidewalk, roadside vegetation and vegetation median barrier. The size of the roadside vegetation and related urban road characteristics were also measured. In terms of the effect of roadside vegetation on a decrease in road surface temperature, the roadside land use as a green area or open spac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size of vegetation median barrier and the size of roadside vegetation. Besides road surroundings, an increase in the green zone such as roadside vegetation and median strip vegeta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lowering road surface temperature. Therefore, a good solution for reducing urban heat island effects would be to increase the area of roadside vegetation and green areas along roads.

Comparison of Bird Communities at Urban Forests and Streetscapes in Daegu City (대구시 도시숲과 가로경관의 조류군집 비교)

  • Park Chnn-Ryul;Choi Myoung-Sub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9 no.4
    • /
    • pp.367-374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rehend the breeding bird community of thirteen urban forests ranged in size from $0.63{\~}37.0$ ha and compare the species richness of streetscapes such as wooded streets, street trees, and green patches. In urban forests, among thirty-one species observed, two species of Pica pica and Parus major were observed in all study areas, but five species of Phoenicuros auroreus, Pericrocotus divaricatus, Eurystomus orientalis, Emberiza elegans, and Cettia squameiceps were observed only one areas. Number of species was high at urban forests of Manchon, Bonri and Chimsan parks distributed in peripheral area of city, that was low at urban forests Jungri, Igoksaengsu and Sinam parks located in the center area of city. We observed the nests at wooded streets and green patches, did not find at street trees. Number of species and density were significantly high at wooded streets than at street trees. Number of species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area of forests, and srecies richness of bush-nesting guild was low. As the area of urban forests increase, species richness of bush-nesting and -foraging guild showed the relative low rate of increase than other nesting guild. Our results indicate that bush-nesting and -foraging guild of birds was not being provided with their good habitat at urban forests in Daegu city Among streetscapes, birds preferred to u9e the wooded streets and green patch as habitat and pathway in urban ecosystem.

Studies on a Plan for Afforestation at Tong-ri Beach Resort(II) -Analyses of Crown Amounts and Soil Properties in the Disaster-damage Prevention Forests of Pinus thunbergii PARL., the Valuation on Soil Properties for Planting and Planning for Afforestation- (통리(桶里) 해수욕장(海水浴場) 녹지대(綠地帶) 조성(造成)에 관(關)한 연구(硏究)(II) -곰솔 해안방재림(海岸防災林)의 수관량(樹冠量) 및 토양분석(土壤分析), 식재기반평가(植栽基盤評價) 및 녹지대계획(綠地帶計劃)-)

  • Cho, Hi D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77 no.3
    • /
    • pp.303-314
    • /
    • 1988
  • Tong-ri beach has not enough vegetation to be enjoyed by the sea bathers and to be satisfied with preventing the disaster-damages, but mixed forest near the beach can work its funtions and the old forest of Pirus thunbergii $P_{ARL}$. near the beach do a Little. Therefore it is very urgent to plant more trees near the beach for bathers and disaster-damage preven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planning an afforestation, with reporting upon the crown amounts and soil properties of disaster-damage prevention forests of P. thunbergii $P_{ARL}$. planted on the coast sand dunes in 1970 and 1976, and with reporting upon the valuation on soil properties of the lands near the beach in order to set the afforestation site.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In disaster-damage prevention forests, crown surface area and crown volume became increasingly greater in proportion to the height. To D.B.H., crown volume also became increasingly greater in proportion, but crown surface area was directly proportional. 2. In comparison to sail characteristics of sand dune, those of the forests were in large quantity in OM, T-N and avail. $SiO_2$, and almost in the same in avail. $P_2O_5$, but in small quantity in exchangeable canons : K, Ca, Mg and Na. 3. EC, Cl and pH were in small value in the forest soils, but CEC was in large value in those soils. 4. Above facts showed that the forests fulfill their functions for preventing disaster-damages and improve their soil properties. 5. The forests have naturally been thinned up to 34% in 17 years and 39% in 11 years, and one can easily pass through the forest(planted in 1970), because of its sufficient clear-length(2.71m) and its space to pass. 6. A plan for afforestation was oracle nut after judging several sites by the evaluation on the soil properties and considering the best relaxation and the prevention of the various disaster-damages upon which were reported in the last issue. 7. Afforestation should be kept for maintaining its appropriate density for best relaxation and disaster-damage prevention.

  • PDF

Evaluating the Imbalance of Green Space and Establishing its Management Zone Using Spatial Analysis - Focused on the Use of Green Space - (공간분석을 활용한 녹지의 불균형 평가 및 관리권역 설정 - 녹지의 이용적 측면을 중심으로 -)

  • Lee, Woo-Sung;Jung, Sung-Gw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5 no.2
    • /
    • pp.126-13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mbalance of green space using various spatial analysis methods and to establish the management zone for green space with service supply in the aspect of its use in Daegu. The total green space of Daegu is 48,936.1ha which is the second among 7 metropolitan cities of Korea. According to the imbalance analysis of green space, the Gini's coefficient based on the area was not high, on the other hand, the Gini's coefficient based on the population was high by above 0.6. According to an evaluation of service supply of green space in Dalseo-gu, the area within about 100m around large green space was supplied with green spaces of above $25m^2$/pop. On the other hand, the area such as Sangin, Jukjeon, and Yongsan was not almost supplied with green space. Finally, 'Rich zone', 'Fair zone', 'Poor zone', and Broken zone' could be established based on the service supply for the management direction of green space.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selecting the construction priority of new green spaces.

기기냉각수 최저온도와 정지냉각계통 유량조절밸브 개도에 관한 설계분석

  • 김도현;이중섭;오종필;오광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10a
    • /
    • pp.444-449
    • /
    • 1995
  • 한국형 표준 원자력발전소의 정지냉각운전시 최대냉각율은 75$^{\circ}$F/hr(41.7$^{\circ}C$/hr)로 기술사양서에 규정되어 있다. 정지냉각운전 냉각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2가지 중요한 변수는 정지냉각계통 열교환기를 지나는 원자로냉각재 유량과 기기냉각수의 온도다. 이중 열교환기를 지나는 원자로냉각재 유량은 butterfly형 정지냉각계통 유량조절밸브의 개도에 의하여 조절되는데 개도에 따른 throttle 능력이 중요한 인자다. 또 기기냉각수의 온도는 해수온도의 변화에 따라 편차가 발생하므로 유량조절밸브의 개도와 기기냉각수 온도의 상관관계에 따라 냉각능력이 달라진다. 본 논문에서는 현 울진 3&4호기 정지냉각계통 열 교환기 및 조절밸브 둥의 설비를 기준으로 기술사양서 상의 냉각율 75$^{\circ}$F/hr(41.7$^{\circ}C$/hr) 유지가 가능한 최저 기기냉각수의 온도를 찾아보았고, 아울러 기기냉각수의 온도와 조절밸브의 개도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현재의 울진 3&4호기 조절밸브를 최저개도로 조절할 때 약 57$^{\circ}$F(13.9$^{\circ}C$)의 기기냉각수가 공급되어도 냉각율 제한치를 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최저조절가능 유량이 약 2000 gpm(7570 l/min)일 경우에는 낮은 기기냉각수가 공급될 경우 최대냉각율을 초과하므로 한 train을 정지시키고 한 train만으로 운전할 것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최저 약 56.5$^{\circ}$F(13.6$^{\circ}C$)의 기기냉각수가 공급되어야 한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는 향후 기기설계사양서나 운전지침서 등에 반영되어 실제 발전소 설계 및 운전절차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공감대의 형성이 요구된다. 질적 측면에서는 공원 녹지의 기능성의 회복이라는 측면과 시대에 부합되는 새로운 기능 및 가치의 부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공원의 매력, 공원의 시설기능 증진, 녹지의 질의 향상 및 녹지 가치의 증진에 대한 다양한 시책이 요구된다. 구성적 측면에서는 공원녹지의 개별적 존재보다는 공원 녹지를 상호간 유기적인 계통을 확보하여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도시 속의 산재된 고립된 섬으로서의 공원 녹지가 아닌 시민생활에 늘 가까이 있는 생활 속의 공원녹지로 재편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책의 의제는 양적 측면에서 보전(CONSERVATION)과 창출(CREATION), 질적 측면에서 쇄신(RENOVATION)과 복구(RESTORATION), 그리고 구성적 측면에서 공원 녹지의 연결(CONNECTION)과 시민 참여에 의한 운동(MOVEMENT)이라는 정책 개념의 구현을 통해 가능하다. 이러한 정책 개념과 의제를 가지고 서울시 공원 녹지 정책을 구체화시키기 위해서 푸르름의 새로운 탄생이라는 기치 아래 풍요로운 서울, 사랑 받는 공원, 생활 속의 녹지의 3대 목표, 공원 녹지의 보전, 잠재 공원 녹지의 창출, 공원의 활성화, 녹지의 복구, 경관 보전 및 복구,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 도시 녹화의 7대 과제를 설정하고 미시설 공원 녹지 집행, 개발 사업시 공원 녹지의 확보, 환경 녹지의 총량 보호 관리, 도시 소공원 개발, 역사 문화 공원 조성, 하천 공간 복원, 공원 시설 기능 개선, 이용 프로그램 개발, 공원 관리 개선, 환경 피해 녹지의 회복, 도시 환경 림 조성, 녹지 기능 증진, 도시 자연 경관 보전, 공원 녹지체계 구성, 공원 녹지 공급 균형, 주변 환경 녹화, 가로 녹화의 17개 시책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정책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서는 기존의 관주도의 일방적인 공원 녹지 행정이 아닌 시민의 참여를 통한 시민이 함께 하는 정 책 사업의 추진이 요구되며, 특히 민간 부문의

  • PDF

POLICY PLAN FOR PARKS AND GREENERIES IN SEOUL

  • Lee, Sa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Professional Engineer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5.12b
    • /
    • pp.30-48
    • /
    • 1995
  • 서울시는 국가의 수도로서 이제 6n년의 역사를 맞이하였다. 뛰어난 산수와 자연 경관을 가진 서울시의 자연은 근세이후 도시의 발전에 따른 점차적으로 훼손되어 왔으며, 특히 1960년대 이후의 도시성장기에 시행된 개발 위주의 도시 정책은 공원 녹지의 잠식을 가속화시켜 본래의 자연은 양적, 질적 측면에 많은 피해가 발생되었다. 또한 도시 정책의 부분으로서 공원 녹지 정책은 개발 위주의 도시 정책에 밀려 제기능을 발휘 할 수 없었으며, 정책에 있어서도 목표와 미래 방향에 대한 뚜렷한 비전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현재 공원 녹지와 관련된 정책 환경을 볼 때, 각종의 도시개발 사업, 지방 자치제 시행에 따를 도시의 난 개발은 부족한 공원녹지를 더욱 잠식하는 위협요소가 되고 있으며, 토지수요에 대한 공급의 한계 상황에 직면해 있는 시점에서 개발론자 들은 공원 녹지를 개발의 주요대상으로 인식하는 자세를 견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지구 환경의 문제의 대두, 환경에 대한 시민의 관심, 정책 집행자들의 환경 보전과 관리의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있어 서울시의 공원 녹지의 미래 전망을 밝게 해주는 긍정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2000년대를 바라본 현시점에서 도시의 기간 요소로서 공원 녹지는 단지 존재만의 가치가 아니라 적정한 기능을 부여하고 이용의 활성화를 통한 공원 녹지의 새로운 탄생이 요구되고 있다. 이것은 공원 녹지정책 측면에서 공원 녹지의 양적 측면에서의 풍요로움과 질적 측면에서의 기능성의 회복과 도시 구성적 측면에서의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의 구성이라는 3가지의 정책 이슈를 제기한다. 양적 측면에서 녹의 풍요로움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공급 지표 위주의 정책보다는 공원 녹지의 총량적인 관리 체제를 통한 전 도시적 차원의 공원녹지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며, 공원 녹지로서 잠재 가치를 가지고 있는 새로운 유형의 공원 녹지의 조성과 각종 개발사업에 대한 공원 녹지의 잠식 방지를 위한 명확한 사회적인 공감대의 형성이 요구된다. 질적 측면에서는 공원 녹지의 기능성의 회복이라는 측면과 시대에 부합되는 새로운 기능 및 가치의 부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공원의 매력, 공원의 시설기능 증진, 녹지의 질의 향상 및 녹지 가치의 증진에 대한 다양한 시책이 요구된다. 구성적 측면에서는 공원녹지의 개별적 존재보다는 공원 녹지를 상호간 유기적인 계통을 확보하여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도시 속의 산재된 고립된 섬으로서의 공원 녹지가 아닌 시민생활에 늘 가까이 있는 생활 속의 공원녹지로 재편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책의 의제는 양적 측면에서 보전(CONSERVATION)과 창출(CREATION), 질적 측면에서 쇄신(RENOVATION)과 복구(RESTORATION), 그리고 구성적 측면에서 공원 녹지의 연결(CONNECTION)과 시민 참여에 의한 운동(MOVEMENT)이라는 정책 개념의 구현을 통해 가능하다. 이러한 정책 개념과 의제를 가지고 서울시 공원 녹지 정책을 구체화시키기 위해서 푸르름의 새로운 탄생이라는 기치 아래 풍요로운 서울, 사랑 받는 공원, 생활 속의 녹지의 3대 목표, 공원 녹지의 보전, 잠재 공원 녹지의 창출, 공원의 활성화, 녹지의 복구, 경관 보전 및 복구,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 도시 녹화의 7대 과제를 설정하고 미시설 공원 녹지 집행, 개발 사업시 공원 녹지의 확보, 환경 녹지의 총량 보호 관리, 도시 소공원 개발, 역사 문화 공원 조성, 하천 공간 복원, 공원 시설 기능 개선, 이용 프로그램 개발, 공원 관리 개선, 환경 피해 녹지의 회복, 도시 환경 림 조성, 녹지 기능 증진, 도시 자연 경관 보전, 공원 녹지체계 구성, 공원 녹지 공급 균형, 주변 환경 녹화, 가로 녹화의 17개 시책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정책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서는 기존의 관주도의 일방적인 공원 녹지 행정이 아닌 시민의 참여를 통한 시민이 함께 하는 정 책 사업의 추진이 요구되며, 특히 민간 부문의 적극적 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방안이 동시 에 강구되어야 한다. 또한 공공에서는 정 책 집행을 위한 조직과 행정의 개편, 예산의 확보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현재 서울시는 지방자치제 시행에 따라 시 행정에 있어 많은 변화가 예고되고 있으며, 공원 녹지는 새로운 환경 변화에 부합되는 적절한 도시요소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서울시 하천 복개의 금지, 하천공간의 복원에 대한 움직임, 환경 녹지 복구를 위한 사업의 시행, 민간부문의 환경 운동의 활성화 등 바람직 한 현상이 전개되고 있어, 공원 녹지는 미래의 도시 관리 에 있어 주요 관심사가 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Location of Urban Parks for Green-Network Revitalization - Based on Downtown of Busan - (도시공원 입지특성에 따른 그린네트워크 활성화 연구 - 부산광역시 도심권을 대상으로 -)

  • Kim, Sung-Hwan;Lee, Gyu-Hong;Park, Sung-Bum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8 no.2
    • /
    • pp.75-93
    • /
    • 2010
  • Seen topographically, Busan is a city that is coastal and hilly. In the city, most parks have been formed around mountain areas that are not so useful. They also are unbalanced in location among different regions of the 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how to manage urban parks towards green network promotion.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first analyzed physic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urban parks located within the main living spheres of Busan. Then, the researcher examined interactive relations between those parks and downtown areas surrounding them to classify types of the parks. In association, the researcher classified the entire of the city into inland and coastal regions. And the researcher examined mountainous and hilly urban parks that were 150 to 300 meters above sea level in the former region and 100 to 150 meters above sea level in the latter.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above examination found that parks of Busan feature physically penetrating and overlapping with downtown areas of the city. How well the green zones of Busan in form of urban park are inter-connective and influential to each other heavily depends on shapes and functions that the downtown areas of the city have. In this study, urban parks of Busan were grouped according to their types and then analyzed. Based on results of the analysis, the researcher tried to find how to increase the utility of another urban parks that are expected to be formed and how to promote so-called the green network that integrates greens. Considering findings of the study, the researcher would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In case of forming an urban park in a gently sloped green zone which is easily accessible and noticeable, it's important that the park should include a stream to which another green zone is converged or, if the park is located near a costal area, contribute to promote urban functions and openness. While, in a high-altitude green zone, it's more effective to form so-called the green way that consists of some limited usable site of the zone and greens behind it and then form a hub of regional community at the intersection between the main road and main gate to the urban park, contributing to the green network promotion.

A Study of the Functional Improvement for Comfortable Expressway Service Areas - Metropolitan Expressway Service Areas - (고속도로 휴게소 환경개선을 위한 기능 증진 방안 연구 - 수도권 휴게소를 중심으로 -)

  • Lee, Won-Myoung;Han, Bong-Ho;Kim, Jong-Yup;Park, Seok-Cheo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3 no.3
    • /
    • pp.63-76
    • /
    • 201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for problems with the landscape areas of highway service areas. The survey factors were land use, placement of green area and land coverage in terms of spatial and environmental property. Noise and topographic structure in detached green areas were surveyed in terms of impact factor. The status of the planting area around each service area was analysed in regards to planting structure and planting landscape. As a result, the mean of rations of land use were 81.6% building and 18.4% green areas, which were composed of 5.4% landscape area, 9.1% buffer area, etc. Planting areas as usable space accounted for only 0.7%, and the result of noise measurement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highway and service area and type of detached green area. The mean of ratio of planting area was 18.4%, which consists of 6.7% landscape planting, 3.4% other green area, 4.6% buffer area, 2.0% buffer and landscape area, 1.1% shade planting and 0.5% landscape and shade planting. Most planting areas aim at landscape appreciation and areas in which visitors can relax and gain recreation were insufficient. The planting structures of service areas were 52.2% canopy layer, 11.8% shrubs and 9.4% canopy and shrub layers, and most of the planting areas were a single layer of green area. Multi-layered planting structures in the landscape and buffer areas were required and a shade planting area was needed to improve amenities as planting canopy layered trees. This study suggested improvement methods for based environments, spatial function and planting function in landscape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