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녹지기능

Search Result 163, Processing Time 0.02 seconds

Planting Improvement and Contribution to Greenspace Function by Use of Roadside Buffer Greens;In the Case of Songpadearo and Nambusunwhanno in Songpa-gu, Seoul (도심 도로변 완충녹지의 주변 토지이용을 고려한 녹지기능 재설정 및 식재방안;서울시 송파구 송파대로, 남부순환로틀 대상으로)

  • Kim, Yeong-Yong;Lee, Kyong-Jae;Choi, Jin-Woo;Han, Bong-H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6 no.3
    • /
    • pp.39-51
    • /
    • 2008
  • This study focuses on the reconstruction of buffer greens which were installed to reduce environmental effects on roadsides constructed in the 1980s, in order to supplement various urban green functions. The subjects were buffer greens installed along the Songpadaero and Nambusunwhanro in Songpa-gu. Planting was suggesting to strengthen the buffer, landscape, shading and ecological function according to the use of the buffer green surroundings. The surroundings of the green axis subjects are high-rise apartment areas, neighboring commercial areas, commercial working areas, transportation facility areas, urban support facility areas, schools, parks, etc.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buffer greens were uniformed with Plantanus occidentalis and Ginkgo biloba and Zelkova serrata in the canopy layer and with Forsythia koreana and Ligustrum obtusifoliumin the shrub layer in lineal or alternate order, functioning only as buffer space. Therefore, the buffer greens need to be reconstructed, supplementing various functions according to land use, in order to improve the pedestrian walk area in terms of landscape and use of greens. In line with that, the planting improvement plans according to the land use patterns, and physical and ecological structure were classified into buffer and landscape, landscape and buffer, buffer and shading, and buffer and ecological function. In addition, improving planting function, species and facilities are suggested.

POLICY PLAN FOR PARKS AND GREENERIES IN SEOUL

  • Lee, Sa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Professional Engineer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5.12b
    • /
    • pp.30-48
    • /
    • 1995
  • 서울시는 국가의 수도로서 이제 6n년의 역사를 맞이하였다. 뛰어난 산수와 자연 경관을 가진 서울시의 자연은 근세이후 도시의 발전에 따른 점차적으로 훼손되어 왔으며, 특히 1960년대 이후의 도시성장기에 시행된 개발 위주의 도시 정책은 공원 녹지의 잠식을 가속화시켜 본래의 자연은 양적, 질적 측면에 많은 피해가 발생되었다. 또한 도시 정책의 부분으로서 공원 녹지 정책은 개발 위주의 도시 정책에 밀려 제기능을 발휘 할 수 없었으며, 정책에 있어서도 목표와 미래 방향에 대한 뚜렷한 비전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현재 공원 녹지와 관련된 정책 환경을 볼 때, 각종의 도시개발 사업, 지방 자치제 시행에 따를 도시의 난 개발은 부족한 공원녹지를 더욱 잠식하는 위협요소가 되고 있으며, 토지수요에 대한 공급의 한계 상황에 직면해 있는 시점에서 개발론자 들은 공원 녹지를 개발의 주요대상으로 인식하는 자세를 견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지구 환경의 문제의 대두, 환경에 대한 시민의 관심, 정책 집행자들의 환경 보전과 관리의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있어 서울시의 공원 녹지의 미래 전망을 밝게 해주는 긍정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2000년대를 바라본 현시점에서 도시의 기간 요소로서 공원 녹지는 단지 존재만의 가치가 아니라 적정한 기능을 부여하고 이용의 활성화를 통한 공원 녹지의 새로운 탄생이 요구되고 있다. 이것은 공원 녹지정책 측면에서 공원 녹지의 양적 측면에서의 풍요로움과 질적 측면에서의 기능성의 회복과 도시 구성적 측면에서의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의 구성이라는 3가지의 정책 이슈를 제기한다. 양적 측면에서 녹의 풍요로움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공급 지표 위주의 정책보다는 공원 녹지의 총량적인 관리 체제를 통한 전 도시적 차원의 공원녹지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며, 공원 녹지로서 잠재 가치를 가지고 있는 새로운 유형의 공원 녹지의 조성과 각종 개발사업에 대한 공원 녹지의 잠식 방지를 위한 명확한 사회적인 공감대의 형성이 요구된다. 질적 측면에서는 공원 녹지의 기능성의 회복이라는 측면과 시대에 부합되는 새로운 기능 및 가치의 부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공원의 매력, 공원의 시설기능 증진, 녹지의 질의 향상 및 녹지 가치의 증진에 대한 다양한 시책이 요구된다. 구성적 측면에서는 공원녹지의 개별적 존재보다는 공원 녹지를 상호간 유기적인 계통을 확보하여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도시 속의 산재된 고립된 섬으로서의 공원 녹지가 아닌 시민생활에 늘 가까이 있는 생활 속의 공원녹지로 재편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책의 의제는 양적 측면에서 보전(CONSERVATION)과 창출(CREATION), 질적 측면에서 쇄신(RENOVATION)과 복구(RESTORATION), 그리고 구성적 측면에서 공원 녹지의 연결(CONNECTION)과 시민 참여에 의한 운동(MOVEMENT)이라는 정책 개념의 구현을 통해 가능하다. 이러한 정책 개념과 의제를 가지고 서울시 공원 녹지 정책을 구체화시키기 위해서 푸르름의 새로운 탄생이라는 기치 아래 풍요로운 서울, 사랑 받는 공원, 생활 속의 녹지의 3대 목표, 공원 녹지의 보전, 잠재 공원 녹지의 창출, 공원의 활성화, 녹지의 복구, 경관 보전 및 복구,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 도시 녹화의 7대 과제를 설정하고 미시설 공원 녹지 집행, 개발 사업시 공원 녹지의 확보, 환경 녹지의 총량 보호 관리, 도시 소공원 개발, 역사 문화 공원 조성, 하천 공간 복원, 공원 시설 기능 개선, 이용 프로그램 개발, 공원 관리 개선, 환경 피해 녹지의 회복, 도시 환경 림 조성, 녹지 기능 증진, 도시 자연 경관 보전, 공원 녹지체계 구성, 공원 녹지 공급 균형, 주변 환경 녹화, 가로 녹화의 17개 시책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정책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서는 기존의 관주도의 일방적인 공원 녹지 행정이 아닌 시민의 참여를 통한 시민이 함께 하는 정 책 사업의 추진이 요구되며, 특히 민간 부문의 적극적 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방안이 동시 에 강구되어야 한다. 또한 공공에서는 정 책 집행을 위한 조직과 행정의 개편, 예산의 확보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현재 서울시는 지방자치제 시행에 따라 시 행정에 있어 많은 변화가 예고되고 있으며, 공원 녹지는 새로운 환경 변화에 부합되는 적절한 도시요소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서울시 하천 복개의 금지, 하천공간의 복원에 대한 움직임, 환경 녹지 복구를 위한 사업의 시행, 민간부문의 환경 운동의 활성화 등 바람직 한 현상이 전개되고 있어, 공원 녹지는 미래의 도시 관리 에 있어 주요 관심사가 될 것이다.

  • PDF

기기냉각수 최저온도와 정지냉각계통 유량조절밸브 개도에 관한 설계분석

  • 김도현;이중섭;오종필;오광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10a
    • /
    • pp.444-449
    • /
    • 1995
  • 한국형 표준 원자력발전소의 정지냉각운전시 최대냉각율은 75$^{\circ}$F/hr(41.7$^{\circ}C$/hr)로 기술사양서에 규정되어 있다. 정지냉각운전 냉각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2가지 중요한 변수는 정지냉각계통 열교환기를 지나는 원자로냉각재 유량과 기기냉각수의 온도다. 이중 열교환기를 지나는 원자로냉각재 유량은 butterfly형 정지냉각계통 유량조절밸브의 개도에 의하여 조절되는데 개도에 따른 throttle 능력이 중요한 인자다. 또 기기냉각수의 온도는 해수온도의 변화에 따라 편차가 발생하므로 유량조절밸브의 개도와 기기냉각수 온도의 상관관계에 따라 냉각능력이 달라진다. 본 논문에서는 현 울진 3&4호기 정지냉각계통 열 교환기 및 조절밸브 둥의 설비를 기준으로 기술사양서 상의 냉각율 75$^{\circ}$F/hr(41.7$^{\circ}C$/hr) 유지가 가능한 최저 기기냉각수의 온도를 찾아보았고, 아울러 기기냉각수의 온도와 조절밸브의 개도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현재의 울진 3&4호기 조절밸브를 최저개도로 조절할 때 약 57$^{\circ}$F(13.9$^{\circ}C$)의 기기냉각수가 공급되어도 냉각율 제한치를 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최저조절가능 유량이 약 2000 gpm(7570 l/min)일 경우에는 낮은 기기냉각수가 공급될 경우 최대냉각율을 초과하므로 한 train을 정지시키고 한 train만으로 운전할 것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최저 약 56.5$^{\circ}$F(13.6$^{\circ}C$)의 기기냉각수가 공급되어야 한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는 향후 기기설계사양서나 운전지침서 등에 반영되어 실제 발전소 설계 및 운전절차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공감대의 형성이 요구된다. 질적 측면에서는 공원 녹지의 기능성의 회복이라는 측면과 시대에 부합되는 새로운 기능 및 가치의 부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공원의 매력, 공원의 시설기능 증진, 녹지의 질의 향상 및 녹지 가치의 증진에 대한 다양한 시책이 요구된다. 구성적 측면에서는 공원녹지의 개별적 존재보다는 공원 녹지를 상호간 유기적인 계통을 확보하여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도시 속의 산재된 고립된 섬으로서의 공원 녹지가 아닌 시민생활에 늘 가까이 있는 생활 속의 공원녹지로 재편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책의 의제는 양적 측면에서 보전(CONSERVATION)과 창출(CREATION), 질적 측면에서 쇄신(RENOVATION)과 복구(RESTORATION), 그리고 구성적 측면에서 공원 녹지의 연결(CONNECTION)과 시민 참여에 의한 운동(MOVEMENT)이라는 정책 개념의 구현을 통해 가능하다. 이러한 정책 개념과 의제를 가지고 서울시 공원 녹지 정책을 구체화시키기 위해서 푸르름의 새로운 탄생이라는 기치 아래 풍요로운 서울, 사랑 받는 공원, 생활 속의 녹지의 3대 목표, 공원 녹지의 보전, 잠재 공원 녹지의 창출, 공원의 활성화, 녹지의 복구, 경관 보전 및 복구,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 도시 녹화의 7대 과제를 설정하고 미시설 공원 녹지 집행, 개발 사업시 공원 녹지의 확보, 환경 녹지의 총량 보호 관리, 도시 소공원 개발, 역사 문화 공원 조성, 하천 공간 복원, 공원 시설 기능 개선, 이용 프로그램 개발, 공원 관리 개선, 환경 피해 녹지의 회복, 도시 환경 림 조성, 녹지 기능 증진, 도시 자연 경관 보전, 공원 녹지체계 구성, 공원 녹지 공급 균형, 주변 환경 녹화, 가로 녹화의 17개 시책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정책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서는 기존의 관주도의 일방적인 공원 녹지 행정이 아닌 시민의 참여를 통한 시민이 함께 하는 정 책 사업의 추진이 요구되며, 특히 민간 부문의

  • PDF

Analytic and Numerical Models for Air Pollution Removal by Vegetated Area Around Big Cities (그린벨트녹지의 대기정화기능 모델링)

  • 김석철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175-177
    • /
    • 1999
  • 도시주변의 녹지의 대기정화기능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일반화되어 있는 데 반하여, 여기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이 이루어진 바는 없다. 특히, 전체면적의 87%가 녹지(임야, 전답 및 과수원)로 이루어진 개발제한구역(건설교통부, 1998)이 흡수하는 오염물질의 량은 궁금할 뿐 아니라 최근 논의되고 있는 개발제한구역해제와 관련하여 민감한 사항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녹지의 대기정화기능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목적으로 오염물질의 대기 중 확산이론에 근거하여 해석/수치모델을 모색했다.(중략)

  • PDF

An Integrated Assessment of Park-Type Green Space Considering Functional Characteristics in Daegu (대구광역시 공원형 녹지의 기능적 특성을 고려한 종합 평가)

  • LEE, Woo-S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9 no.1
    • /
    • pp.120-140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green space considering function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provide the base data for efficient green planning and management. The study area was the park-type green spaces in Daegu and the functions were limited in nature-ecological, environment-control, and usage functions. Thirteen indicators were selected from the literature review and MCB analysis of expert survey. The weightings of functional indicators were established through AHP analysis of expert surve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functional assessment, Naengcheon amusement, Deagu sports, and Dalchang amusement parks had scores of more than 80 in the case of nature-ecological function. Fifteen parks such as Bokhyeon, Manchon, and Cheonnae parks had scores of more than 75 in terms of environment-control function and eleven parks such as Suseong, Dalseong, and Wolbae parks had scores of more than 80 in usage functi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e data and guideline for construction of new park-type green space and continuous management and remodeling of current green space.

Planting Plan for Improvement of Buffer Green Space Function in the Vicinity of Railroad in Seashore Reclaimed Land - A Case Study of Buffer Green Space, Ansan City - (해안 매립도시 완충녹지 조성현황과 기능향상을 위한 식재방안 - 안산시 완충녹지를 사례로 -)

  • Lee, Kyong-Jae;Han, Bong-Ho;Park, Hyun-Ae;Choi, Jin-Wo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2 no.6
    • /
    • pp.691-706
    • /
    • 2008
  • This study analysed problems of railroadside buffer green space and suggested planting methods according to space function and planting concept in seashore reclaimed land, Ansan city. Planting density of railroadside buffer green zone of Ansan city was $0.04{\sim}0.17tree/m^2$, GVZ was $0.15{\sim}1.65m^3/m^2$ which is represented of deficiency of buffer function. In addition, soil hardness of mounded buffer green zone was $2.72{\sim}15kg/cm^2$. It was examined to have functions in terms of habitat for wildbirds and other organisms, surrounding landuse, urban greens, seasonality, landscape for function improvement of buffer green space. Functions of buffer green space were re-established as habitat for organism, buffer and landscape improvement, landscape and urban park, buffer zone and habitat. It was suggested to select Pinus thunbergii as a dominated species of planting method for buffer function and planting density in canopy and under-canopy layer was $0.4tree/m^2$, $0.5/m^2$ in shrub layer. In terms of landscape improvement function, Zelkova serrata, Prunus sargentii and Prunus armeniaca were selected as major species and it in canopy and under-canopy layer was $0.2tree/m^2$ and $0.5tree/m^2$ in shrub layer. In terms of habitat function Quercus acutissima, Prunus sargentii and Sorbus alnifolia were as major species and it in canopy layer was $0.06tree/m^2$, $0.1tree/m^2$ in under canopy layer, $0.8tree/m^2$ in shrub layer.

An Integrated Assessment of Green Environment on Urban Space (도시공간의 통합적 녹지환경 평가)

  • Lee, Woo-Sung;Jung, Sung-Gwan;Park, Kyung-Hun;You, Ju-H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7 no.2
    • /
    • pp.15-31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green environment on urban space and to suggest the sustainable green space planning. The study area is Dalseo-gu which has the biggest spatial imbalance of green space among 7 districts of Daegu. Three functions such as nature-ecological, environment-control, and usage function were established for assessing the green environment. For the assessment step of nature-ecological function, 'green connectivity' and 'animal movement' were used. Also,'thermal environment' and 'temperature decrease' were utilized in terms of environment-control function and 'green space's service supply' were utilized in terms of usage func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integrated assessment, the green rich zone(Grade I) was 44.8% of total area in Dalseo and this zone was distributed along the southern forest of Mt. Ap and Mt. Biseul and the northern forest of Mt. Gung and Mt. Waryong. On the other hand, the green broken zone(Grade IV) was located in the residential areas of Gamsam and Jukjeon and the residential and industrial areas of Wolseong 1 and Jincheon and this zone was 5.5% of total area.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plan criteria for construction and distribution of green space in urban master plan.

Structural Conditions of Greenspace in a Rural Region and Strategies for its Functional Improvement - In the Case of Yanggu, Gangwon Province - (전원지역의 녹지구조 현황과 기능개선 방안 - 강원도 양구를 대상으로 -)

  • Jo, Hyun-Kil;Ahn, Tae-W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0 no.4
    • /
    • pp.493-502
    • /
    • 2006
  • This study analyzed greenspace structure focused on greenspace areas and vegetation structure for Yanggu, investigated resident attitudes to the greenspace, and explored strategies to improve greenspace functions in a rural region. Woody plant cover was approximately 29% for parks and only 3% for commercial gardens. The amount of planting for Yanggu was poor, as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similar studies for urban areas. Trees, of which dbh was below 20cm, accounted for 91% of all trees and the tree-age structure was largely characterized by a young, growing tree popul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mean importance values (MIV) of woody plant species, only a few were different in dominant species from urban areas. Four species among 10 species with highest MIV in Yanggu were very common species also ranked among 10 in cities. The most dominant species planted in residential and commercial gardens were practical plants such as fruit or edibles. Greenspace covered about 69% of parks, 39% of residential gardens, 37% of institutional gardens, 24% of streets, and 15% of commercial gardens, respectively. Tree planting potential revealed that present woody plant cover can be increased additionally by 6 times in the streets and by 2 times in the residential and commercial gardens. Based on the results of greenspace structure, planting patterns, and questionary investigation, some strategies were suggested to enlarge greenspace including its environmental functions. They included identifying each street section through setting up themes and planting appropriate species, creating multilayered vegetation structures, and promoting planting in bare grounds of gardens and around a buildings for saving energy.

Assessment of Green Spaces and Direction of Master Plan for Urban Parks Considering Functional Characteristics - Focused on Donjibong Park in Daegu - (도시공원의 기능적 특성을 고려한 녹지평가 및 계획방향 - 대구광역시 돈지봉공원을 대상으로 -)

  • LEE, Woo-Sung;JANG, Gab-Su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0 no.2
    • /
    • pp.17-31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arry out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Donjibong Park in Daegu and establish a master plan for green space considering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park. For this purpose, green space in the park was assessed based on 13 indicators using three functions. A comprehensive green master plan was then proposed. Green spaces with high scores for the natural-ecological and environmental-control functions were found in the central area of the park, whereas green spaces with low scores were found near the park boundary and paved areas. Green spaces in the southeast were found to have a high score for usage functions due to their proximity to a residential area. In the master plan based on the comprehensive assessment, the plan space was divided into a conservation area, restoration area, buffer area, environmental monitoring area, observatory/trail/facility area, and waterside green space area. Also, concrete plan directions were proposed based on each plan space. These results can be utilized for establishing objective plans in the future construction of new parks.

A Study of the Functional Improvement for Comfortable Expressway Service Areas - Metropolitan Expressway Service Areas - (고속도로 휴게소 환경개선을 위한 기능 증진 방안 연구 - 수도권 휴게소를 중심으로 -)

  • Lee, Won-Myoung;Han, Bong-Ho;Kim, Jong-Yup;Park, Seok-Cheo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3 no.3
    • /
    • pp.63-76
    • /
    • 201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for problems with the landscape areas of highway service areas. The survey factors were land use, placement of green area and land coverage in terms of spatial and environmental property. Noise and topographic structure in detached green areas were surveyed in terms of impact factor. The status of the planting area around each service area was analysed in regards to planting structure and planting landscape. As a result, the mean of rations of land use were 81.6% building and 18.4% green areas, which were composed of 5.4% landscape area, 9.1% buffer area, etc. Planting areas as usable space accounted for only 0.7%, and the result of noise measurement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highway and service area and type of detached green area. The mean of ratio of planting area was 18.4%, which consists of 6.7% landscape planting, 3.4% other green area, 4.6% buffer area, 2.0% buffer and landscape area, 1.1% shade planting and 0.5% landscape and shade planting. Most planting areas aim at landscape appreciation and areas in which visitors can relax and gain recreation were insufficient. The planting structures of service areas were 52.2% canopy layer, 11.8% shrubs and 9.4% canopy and shrub layers, and most of the planting areas were a single layer of green area. Multi-layered planting structures in the landscape and buffer areas were required and a shade planting area was needed to improve amenities as planting canopy layered trees. This study suggested improvement methods for based environments, spatial function and planting function in landscape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