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지

Search Result 996, Processing Time 0.054 seconds

Development of Parasol Device at Convenience Harvest Product for Chilli and Bare Ground Vegetable (고추 및 노지채소 수확작업 편이장치의 해가림 장치개발)

  • Jang, SukGeun;Kim, JiMan;Choi, Hwon;Kim, Yeoungsu;Oh, Sungkil;Lim, HackKyu;Kim, Tea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64-64
    • /
    • 2017
  • 노지 고추 수확작업은 7~9월에 걸쳐 5~6회 수행되며 가장 더운 한 여름의 태양볕에 노출되어 장시간 수확작업을 하며 노지채소 및 고추 수확작업시 자외선 과다 노출되어 악성흑생종, 광선각화증, 편평세포 암 및 각종 피부암발생의 원인되기 때문에 적절한 해가림 장치의 설계가 필요하다. 해를 가려주는 장치에 사용되는 재질로는 우산 및 양산에 널리 사용되어지는 섬유로 폴리에스테르를 선정하였으며 두께로 우산의 재질로 많이 사용되는 75 denier을 채택하였다. 코팅의 종류로는 Foam, Milky, Silver, 폴리우레탄을 채택하여 섬유의 코팅 종류에 따른 차단 효과를 실험하였다. 실험 방법으로서는 KS K 0850 텍스타일의 자외선 차단율 및 차단지수 시험방법에 의거 하여 실험하였다. 자외선 UV-A(365n/m), UV-B(315n/m) 측정장치는 자외선 센서, UV램프, 인디케이터로 구성된 측정기를 이용하였으며 각 재료별 5회 반복 실시하여 평균치를 산출 하였다. UV-A(365n/m) 측정값으로는 FOAM, MILKY코팅이 된 섬유재질이 KS의 우산 및 양산품질표시기준에 부합하여 해가림 장치에 사용이 적절하였으며 UV-B(315n/m) 파장 차단율 측정값으로는 KS의 우산 및 양산품질표시기준에 모두 부합되었다. 또한 해가림 장치는 태양고도에 따라 각도를 조절 가능한 형태로 설계하였으며 직사광선이 가장 강한 시간대인 10시부터 12시를 기준하여 틸팅의 최대 각도는 20도로 개발하였다. 또한 바람에 의한 날림현상을 방지하고 통풍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해가림 장치의 섬유를 2중 구조로 설계하여 바람의 순환이 되게하였다.

  • PDF

The Influence of Insect Pollination and Artificial Pollination on Fruit Quality and Economic Profit in the 'Niitaka' Pear (Pyrus pyrifolia Nakai) (화분매개곤충과 인공수분이 '신고' 배의 과실품질과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

  • Lee, Kyeong-Yong;Yim, Sun-Hee;Seo, Ho-Jin;Kim, Sun-Young;Yoon, Hyung-Joo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 /
    • v.24 no.4
    • /
    • pp.759-771
    • /
    • 2016
  • We compared the fruit set and the quality of the 'Niitaka' pear (Pyrus pyrifolia Nakai) among flowers pollinated by two bee species (Apis mellifera and Bombus terrestris) and pollinated artificial. The artificial pollination rate was 1.3 to 1.9 times higher than the bee pollination rate. Moreover, the artificially pollinated flowers produced fruit that was 5 to 10% higher in weight, 2 to 3% larger in size, and had a higher fruit shape index (L/D) than fruit pollinated by the bees. On economic analysis, net profit from insect pollinator was 93.5 to 97.1% of net profit from artificial pollination. Therefore, artificial pollination is more efficient than bee pollination in 'Niitaka' pear. However, regarding fruit quality and net profit, these results suggest that bee pollination can be an good alternative to artificial pollination in 'Niitaka' pear.

Effects of Planting Space on the Growth Characteristic and Curcumin Constituent of Curcuma longa L. (강황의 비닐하우스 재배가 생육 및 쿠르쿠민 함량에 미치는 영향)

  • Kang, Byoung-man;Yeo, Jun-hwan;Jung, Da-hwa;Kim, Young-guk;Chang, Jae-ki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10a
    • /
    • pp.117-117
    • /
    • 2018
  • 강황(Curcuma longa L.)은 생강과(Zingib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아열대 초본 식물로, 약 40여 종이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특유한 맛과 향기가 있어 세계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는 전남 진도를 중심으로 경남, 제주 등으로 재배지역이 확대되고 있으며, 생산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편, 강황은 우리나라에서 한약재와 식품원료로 구분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한약재 강황은 대한 민국약전을 근거로 규격품 한약재로서 품질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국내산 강황은 대한민국약전의 지표성분 함량(쿠르쿠민, 데메톡시쿠르쿠민 및 비스데메톡시 쿠르쿠민의 합 3.2 % 이상)의 기준 규격에 미달되어 대부분 식품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강황의 비닐하우스 재배를 통해 한약재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시험은 한약진흥재단 한약자원개발본부 시험포에서 수행되었으며, 강황 종근은 진도 재배 농가를 통해 수집되었다. 2017년 4월 20일에 일반 노지와 비닐하우스에 각각 정식하였다. 수확은 정식 후 200일에 각 실험구의 강황을 채취하여 초장, 엽수, 경경, 경수, 생체중, 건물중 등 생육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쿠르쿠민 함량 분석은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법에 따라 HPLC를 이용하여 동시 분석 하였다. 하우스 재배가 강황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초장은 하우스 재배가 노지 재배에 비해 약 65% 높게 나타났으며, 엽수, 경경, 경수는 약 15~68% 높게 나타났다. 쿠르쿠민 함량은 하우스 재배가 노지 재배에 비해 약 53% 높게 나타났지만, 대한민국약전의 기준 규격에는 미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강황을 비닐하우스에서 재배할 때 생산성과 지표성분을 각각 68%, 53% 증수시켰지만, 한약재로 활용할 수 있는 기준 규격에는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강황 해외 지역종 수집 및 재배를 통하여 한약재 품질규격에 적합한 국내산 강황 재배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Monitoring Occurrence Status of Thrips Populations on Field-Cultivated Pepper at Major Cultivated Region in West Coast, Korea (서해안 주요 고추 주산지에서 발생하는 총채벌레의 발생현황)

  • Seo, Mi Hye;Lee, Seong Chan;Yang, Chang Yeol;Yoon, Jung Beom;Park, Jung-Jo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6 no.4
    • /
    • pp.544-549
    • /
    • 2018
  • Thrips populations were monitored in field-cultivated pepper at Gochang, Jeonbuk province, Cheongyang, Chungnam province, and Goesan, Chungbuk province during the field growing seasons of 2017 to 2018, respectively. We classified and quantified thrips population in each plot and year. Most of the monitored thrips were composed of three species: Frankliniella intonsa, F. occidentalis, and Thrips tabaci, respectively. F. intonsa was the dominant species in all the monitoring season. The density of thrips was increased from late June in each field and year with the highest density being recorded in mid-July. Based on the results, management strategy of thrips in red peppers should be evaluated from early June with monitoring and appropriate controls.

Forage Productivity of Collected Chinese Milkvetch Varieties (자운영 수집종의 생육 및 사료생산특성)

  • Seong, Rak-Chun;Park, Keun-Yong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6 no.1
    • /
    • pp.7-11
    • /
    • 1991
  •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winter hardiness and forage productivity of Chinese milkvetch (Astragalus sinicus L.) varieties at the research farm of Korea University in Kyunggi province. Collected variety Nonsan, Imsil, Jangheung, Chungnam, Joongsan and introduced PI241587 were tested to untreated control and vinyl mulching conditions during winter season. Effect of vinyl mulching treatment was foun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is experiment. Winter survival of six Chinese milkvetch varieties at the untreated control was average 88%. Variety Nonsan and Imsil showed higher fresh and dry weights than other varieties both on May 6 and 21 harvest. Average fresh weight per l0a of six varieties at the untreated control was 1,583kg on May 6 and 4,017kg on May 21 harvest. Crude protein content of dry matter of the varieties was average 21.3% on May 6 and 19.2% on May 21 harvest. However, average crude fiber content of the dry matter on May 6 was lower than that of May 21 harvest.

  • PDF

Technical Analysis of LoRa for Problems on Outdoor Culture Smart Farm (노지재배 스마트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LoRa 기술 분석)

  • Jaechan Lee;Sanghyeon Jeon;Junyoung Lee;Yeunwoong Kyung
    • Journal of Advanced Technology Convergence
    • /
    • v.2 no.1
    • /
    • pp.1-7
    • /
    • 2023
  • Recently, there have been increasing interests in researches to apply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smart farm. This paper introduces the problems in the smart farm for the outdoor culture and technical considerations to solve the problems. As candidate technologies, this paper selects LoRa, Sigfox, NB-IoT, and Wi-Fi and then determines that LoRa is a suitable technology based on the CAPEX, coverage, transmission rate, battery, and the price. To provide technical analysis, this paper introduces technologies related to the physical and medium access control (MAC) layers as well as the security. Specifically, this paper includes the modulation technology in the physical layer, Class (Class A, B, and C) based protocol operations in MAC layer, and security architecture based on the LoRa version.

Analysis of Growth and Flowering of Thymus quinquecostatus Using Smart Farming System (스마트 재배시스템을 활용한 백리향 생장 및 개화 분석)

  • Mi Hee Kim;Ui-Lim Choi;Hyeonbin Kim;Kwang Sang Kim;Min Sook Kim;Min Ji Kim;Seung Il Jeong;Gun Woong L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84-84
    • /
    • 2022
  • 백리향(Thymus quinquecostatus)은 꿀풀과의 낙엽반관목으로 국내에서 자생하는 허브 식물 중 하나이다. 백리향은 특유의 좋은 향기 및 항산화, 항염증, 항균, 미백 등의 효능을 가지는 각종 폴리페놀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의약품이나 기능성 식품, 화장품의 천연 소재 원료로 활용되고 있다. 국내에서 백리향은 재배 환경에 맞추어 주로 고산지대의 노지에서 재배되고 있다. 노지 재배는 지역, 시기, 기후 등의 외부환경에 영향을 받아서 백리향의 유효성분, 품질 및 생산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팜 시스템을 활용하여 백리향의 유효 성분 등을 안정적으로 얻기 위한 생장조건을 탐색하기 위해 4종의 Light Emitting Diode(LED) 광원과 4종의 토양 조성에 따라서 백리향의 생육조건을 수행하였다. LED는 white, purple, RGB1, RGB2를 사용하였으며, 토양은 상토:펄라이트 비율(상토, 5:1, 3:1, 1:1)로 조성하여 백리향 묘목을 이식한 뒤 생장과 개화시기를 분석하였다. 재배환경은 백리향 재배지의 기상 데이터를 참고하여 동일하게 설정하였으며, 총 8주 동안 생육상태를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백리향 재배 4주차에 일부 개체에서 봉오리가 올라오며 개화를 시작하였으며, 8주차에는 대부분의 조건에서 개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백리향의 지상부 면적을 비교한 결과 가장 우수한 생장을 보이는 조건은 토양은 3(상토):1(펄라이트) 비율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백리향 재배에 스마트팜 농업 기술을 활용한다면 기존 노지 재배 한계를 보완하여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백리향을 생산할 수 있을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