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인단독세대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9초

노인단독세대와 자녀동거세대 노인들의 생활실태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ives of Senior-Only Households and Elderly Households Living with Adult Children: the case of Seoul)

  • 이경철;강영식;박정환;김선태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집 1부
    • /
    • pp.101-104
    • /
    • 2011
  • 본 연구는 노인 단독세대와 자녀동거세대 노인들의 가족 및 거주형태, 경제적 상황, 건강 및 의료, 여가활동 등의 생활실태를 파악함으로써 단독세대 노인과 자녀동거세대 노인들의 복지 증진을 위한 서비스 향상과 노인복지정책의 방향 정립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로는 고령화 사회와 노인문제, 노인의 동거형태, 노인의 생활실태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하였으며, 설문조사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노인 단독세대 75명과 자녀동거세대의 노인 75명으로, 총 1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PDF

노인의 특성을 반영한 단위세대 리모델링 제안 - 장애정도가 낮고 일상생활이 가능한 임대아파트 거주 독거노인 2인을 대상으로 - (A Proposal for the Unit Remodeling Considering the Elderly - Focused on Two Older People Living Alone Independently in Public Rental Housing -)

  • 홍유석;제해성;권순정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9-26
    • /
    • 2007
  • As a result of rapid aging speed in our society, it is necessary to supply a lot of housing for older people in near future. When we think that high portion of residence in rental housing complex composed of small units is the elderly, the housing units in those apartments have to be designed for the physical, mental, social, and economical conditions of elderly people who lives in such a residential complex. Considering these living conditions of the elderly, this study proposes a remodeling prototype of a living unit for older people in rental housing complex. For the research of this topic,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nd the environmental requirements for them firstly have been analysed from the literature survey and the interviews with two residents living in a rental apartment. And the design considerations for each space of the housing unit such as entrance, living room, bed room, bath room, and so forth have been explored. Based on the design guidelines above, the remodeling plan of a housing unit for older people has been propose as a result of this study.

  • PDF

재가노인 단독세대의 실내디자인 지원성에 관한 요구 -광주광역시 노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Elderly Households′ Needs for Affordance of Interior Design)

  • 문희정;김미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65-74
    • /
    • 2004
  • As the advent of an aging society, housing for the elderly has been of great concern. Because the majority of the elderly prefers living in their own familiar homes rather than moving to new ones,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ways use and maintenance of the existing houses from the viewpoint of their independent living. The data was analyzed with frequency, percentage, mea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by using the SPSS 10.0 for Windows. The findings from the study were: Needs for Affordance of interior design(AID) were required slightly above the average. Among the items of AID, physiological maintenance was the most demanding, and social facilitation, behavioral facilitation, and perceptual maintenance were sequentially followed in the level of needs. The element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housing environment plans for the elderly household ire: (a) use of slip-proof tiles for the floor of the bathroom, (b) installation of safety bars in the bathroom, and (c) installation of emergency buttons. It also turned out that educational levels and health status were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on the needs for AID.

건강한 삶을 위한 힐링 실내디자인 (Healing Interior Design for Health of Everyone)

  • 김성진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53-60
    • /
    • 2013
  • 세계 경제가 고도성장에 따른 산업구조의 변화를 갖게 되었고, 의학기술의 발달로 건강한 고령자의 증가가 나타나는 사회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우리나라 역시 65세 이상의 건강한 고령인구의 증가 추세와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이 현실화 되고 있다. 또 급속한 핵가족화 등으로 인하여 가족 내의 노인부양 기능이 약화되고 있으며, 건강한 노인 단독세대가 급증함에 따라 해당 관련 복지의 구체적인 정책 실천방향에 대한 요구와 신체적, 사회 심리적 특성에 따른 힐링 환경의 개발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류 건강증진 개념 및 고찰을 통해 힐링 환경의 공간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통하여 보다 질적으로 향상된 건강한 주거환경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본 논문에 있어서의 공간에 의한 인류 건강증진은 1. 건강과 질병은 하나의 스펙트럼 상에 놓여 있으며, 한편은 최상의 건강 상태이며 다른 한편은 질병에 의한 사망이라는 개념에 의미를 둔다. 2. 병, 의학 전문가 관점에서 건강을 증진시키는 과정에 중심을 두고 있는 새로운 치료적 환경에 대한 혁신적인 패러다임을 주지하는 입장에서, 안녕(healing)을 양성하는 공간 특성을 도출 개념이다. 3. 환경변화에 적응하는 역동적 건강개념에 그 근거를 두고, "건강은 단순히 무 질병의 개념이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문화적 에다가 영적으로 완전한 안녕 상태"라는 개념을 적용한다. 4. 특히, 병, 의학 전문가 관점으로 인해 간과되었던 대상자의 공간으로부터 얻게 되는 심리적, 사회적, 정신적 요구들을 반영하는 안녕(healing) 개념의 힐링 철학의 개념을 갖는다.

농촌노인가구의 빈곤특성에 대한 비교연구 - 빈곤율과 빈곤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overty Characteristics of Rural Elderly Households)

  • 김영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0권4호
    • /
    • pp.31-53
    • /
    • 2008
  •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에서 제공하는 1차년도조사데이터(2006)를 사용하여 농촌노인가구에 대하여 최저생계비를 기초로 한 절대적 빈곤율, 상대적 빈곤율, 주관적 빈곤율과 빈곤감의 지표로 주관적 경제수준 및 생활만족수준을 농촌비노인가구, 도시노인가구, 전체가구와 비교함으로써 농촌노인가구의 빈곤특성을 파악하고 있다. 연구결과는, 첫째, 농촌노인가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빈곤율에서는 남성보다는 여성이, 연령이 많을수록,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가구일수록, 노인단독세대일수록 더 높은 빈곤율을 보이고 있다. 둘째, 절대적 빈곤율과 상대적 빈곤율에서는 농촌노인가구가 다른 집단에 비해 높은 빈곤율을 나타내고 있는 반면, 주관적 빈곤율에서는 도시노인가구와 전체가구가 더 높은 빈곤율을 보이고 있다. 셋째, 주관적 경제수준 및 생활만족수준에서는 도시노인가구가 농촌노인가구에 비하여 더 높은 빈곤감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실질적인 빈곤수준은 농촌노인가구가 다른 집단에 비해 현저히 높은 반면, 주관적인 빈곤감은 다소 낮은 빈곤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 PDF

재가노인 단독세대의 주택내 안전사고 실태 및 실내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Housing Circumstances of the Elderly Households Who Live Alone or/with Spouse -Focusing on Safety Issues and Interior Design Affordance-)

  • 문희정;김미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75-84
    • /
    • 2004
  • As the advent of an aging society, housing for the elderly has been of greater concern. Since the majority of the elderly prefers to live in their own familiar houses rather than moving to new ones,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ways of the effective use and maintenance of exiting houses from the viewpoint of their independent living. The data was analyzed with frequency, percentage, mea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10.0 for Windows. The findings from the study are: The general satisfaction rate of Interior Design Affordance(IDA) was-evaluated about the average. Among the items of IDA, behavioral facilitation was found most satisfactory, and perceptual maintenance, physilogical maintenance, and social facilitation were followed in satisfaction level. Although there had been many elements of serious safety dangers, no home modification was made in the elderly households who live alone or/with spouse.

한국노년학 30년을 통해 본 노년교육 관련 연구 (Critical Review on Educational Gerontology i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 한정란
    • 한국노년학
    • /
    • 제28권4호
    • /
    • pp.831-846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30년 동안 <한국노년학>에 게재되었던 노년교육 관련 연구논문들을 분석해 봄으로써 왜 아직까지 노년교육학이 우리 사회에서 그리고 노년학 안에서 제 위치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지 그 원인을 분석해보고, 앞으로의 노년교육학이 독립적인 학문분야로서 성장하고 발전하기 위해서 어떤 변화가 요구되는지에 대하여 전망해 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노년학" 1권(1980년)부터 28권 3호(2008년 8월)까지에 게재된 논문 770편 중 노년교육 관련 논문 55편을 대상으로 게재시기, 연구비 지원기관, 저자들의 소속기관, 연구대상, 연구유형, 자료수집 방법, 자료분석 방법, 연구 주제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난 30년간 "한국노년학"에 게재된 논문 770편 중 노년교육 관련 논문은 단 55편뿐이었다. 그 중 대학에 소속된 연구자가 단독으로, 연구비를 지원받지 않고,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두 가지 이상의 통계방법을 적용하여 노인을 위한 교육을 주제로 행한 조사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따라서 향후 노년교육 연구의 발전을 위해서는 노년교육 전문학자 양성을 위한 전공 및 교과목 설치, 노년교육에 대한 연구지원 확대, 다양한 연구방법과 다주제, 대상을 지향하는 연구노력 등이 요구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러한 노력들 이전에 우리 사회 전반에서 노인들의 학습자로서의 역량 및 노년교육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단독가구노인의 재산상속의식과 관련요인: 개인특성과 세대관계특성을 중심으로 (Inheritance Types of Wealth and Related Factors among the Elderly Living Independently)

  • 강유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45-162
    • /
    • 2012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what factors influenced the elderly's prospective inheritance types such as traditional, equal, practical, and non-inheriting type. The role of older parents' socio-demographic and intergenerational characteristics affecting a decision on each pattern was paid special attention to. I used the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 from 10,469 older parents living independently in the '2008 Korean National Survey of Welfare Need in the Elderly'. Results showed that prospective inheritance types among the elderly were diverse. The type which pursues equal distribution of wealth to all the children emerges predominantly from them. Findings also suggested that inheritance types were associated with factors such as both individual and intergenerational variables. Furthermore, different factors had different impact on each type. Individual variables contributed more to equal types while intergenerational variables contributed to practical types. More interestingly, both individual and intergenerational factors affected non-inheriting types.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to investigate what mechanisms will be operating through the process of inheritance, which social policies will be substituted for the inheritance, and what other variables will account for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w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