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인간호연구

검색결과 876건 처리시간 0.023초

ICT 시대에서 노인요양시설의 구강건강 인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Oral Health Awareness of Long-term Care Facility Among the ICT Age)

  • 송설경;성정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11-217
    • /
    • 2014
  • 본 연구는 서울소재의 요양시설 간호제공자들의 구강건강 인식을 조사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92명의 간호제공자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다중회귀분석결과, 근무경력과 구강건강에 대한 교육경험 유무 요인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요양시설 노인들의 구강건강 향상을 위해서는 이들을 간호하는 간호사나 사회복지사와 같은 간호인력들에게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의 홍보 및 교육이 절실히 요구된다.

농촌노인과 도시노인의 자아존중감, 건강상태와 자가간호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Self-Esteem, Health Status and Self-Care in the Rural and Urban Elderly)

  • 김봉임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40-148
    • /
    • 2004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of self-esteem, health status and self-care, and compare them between the rural and urban elderly. Method: The subjects were 126 persons with age over 65: rural(69 persons) and urban(57 person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st Sep to 10th Oct, 2004 by questionnaires, and was analyzed with t-test, ANOVA, Least Significant Difference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in the SPSS-Win 10.0. Results: The level of self-esteem, health status and self-care of the elderly in rural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elderly in urban. The higher group self-esteem in the rural elderly shows more health status and self-care than the lower group.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the urban elderly were not found. Self-esteem, health status and self-care were positively correlated each other in the rural elderly.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self-esteem and health status, and between self-esteem and self-care in the rural elderly. Conclusion: Self-esteem forms the foundation of psychosocial health and provides a measure for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long term care. As nursing is in a unique position to promote self-esteem, the nurse can plan and provide nursing intervention with the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of the rural and urban elderly to promote the self-esteem, health status and self-care of the elderly.

  • PDF

노인의 신기술 사용에 대한 태도와 기술준비도가 신기술 수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Elderly's Attitude toward the Use of New Technology and Technology Readiness on the Intention of New Technology Acceptance)

  • 하영미;장현정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4-41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ttitude toward the use of new technology and technological readiness on the intention of new technology acceptance among the elderly aged 65 or older living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Methods: Ninety-eight people age 65 or abov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n independent t-test and ANOVA with the Scheffé test. The Pearson correlations between attitude, technology readiness, and intention of new technology acceptance were analyzed, and factors affecting intention of new technology acceptance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factors affecting the elderly's intention to accept new technologies were innovation in technology readiness (β=.52, p<.001) and educational level (β=-.22, p=.018).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rategies and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socioeconomically vulnerable elderly to improve their intention to accept new technologies.

간호사의 노인환자 간호에 의한 스트레스와 그 대처방법 탐색 (Research on Nurses' Stress for Elderly care and Stress - Coping Strategies)

  • 최지윤;이윤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8호
    • /
    • pp.275-286
    • /
    • 2012
  • 종합병원 간호사의 노인환자 간호업무로 인한 스트레스, 노인환자와 보호자로 인한 스트레스와 그 대처방법을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함이 연구의 주요 목적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400병상 이상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고, 총 280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Scheffe방법으로 사후검증을 하였다. 주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사의 노인관련 스트레스는 보호자스트레스가 가장 크고, 환자스트레스가 두 번째로 크며, 업무스트레스가 그 다음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간호사들의 대처방법은 사회적 지지를 가장 널리 활용하고 있고, 문제 중심 대처방법을 두 번째로 많이 활용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긍정적 관점, 긴장해소, 무관심, 희망적 관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의한 스트레스 탐색을 통해 노인환자를 위한 복잡하고 다양하며 항상 변화하는 상황에 대처 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몇 가지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노인들을 위한 건강관련 웹사이트의 사용성과 접근성 평가 (Usability and Accessibility Evaluation of South Korean and American Health-Related Websites for the Elderly)

  • 박은준;고지운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75-487
    • /
    • 2010
  • 연구목적: 노인을 위한 건강정보 웹사이트들이 사용성과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지켜야 할 디자인 요소를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평가·비교함으로써 개선 방향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국내 및 미국에서 개발된 노인 대상의 건강정보 웹사이트를 각각 9개씩 선정하였다. 근거 기반의 웹디자인 지침서인 Make Your Website Senior Friendly: Checklist와 Research-based Web Design & Usability Guideline을 통합 수정하여 얻은 4개 영역의 평가 항목 48개를 적용해 두 명의 평가자가 선정된 총 18개 웹사이트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가독성' 영역 중 서체 선택, 줄 간격, 배경색과 글자색 선택 등은 양호하였으나 국내 웹사이트들 중에는 글자 크기가 조절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정보의 표현과 구성' 영역에서 다수의 웹사이트들은 정보 배치 등이 우수하고 소비자 용어를 사용하는 노력을 보였다. 그러나 일부 국내 웹사이트들은 프린트 기능을 제공하지 않거나, 노인들의 저하된 인지 능력을 배려하려는 노력이 부족하였다. '미디어 사용' 영역에서 국내 웹사이트들은 글자 외에 다른 매체를 사용하는 빈도가 미국 웹사이트들에 비해 낮았고, 시청각 매체를 사용할 때는 동일한 내용을 문자로도 볼 수 있도록 하라는 권고안을 준수하지 않았다. '내비게이션과 검색의 용이성'에서는 메뉴나 링크의 명칭이 명확하며, 이용 중에도 쉽게 홈페이지로 돌아갈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다수의 국내 사이트들이 사이트맵을 제공하지 않거나, 검색어의 철자오류 등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였다. 결론: 국내 웹사이트들은 미국 웹사이트들에 비해 노인들의 사용성과 접근성을 높이는 것으로 밝혀진 연구 근거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다. 노인 대상의 인터넷과 웹을 활용한 교육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므로, 그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간호사들은 정보의 질 뿐만 아니라 디자인 측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천할 수 있어야겠다.

요양보호사의 노인 돌봄 태도에 미치는 영향 (Factors Affecting the Caregiver Attitude toward Care of the Elder)

  • 강혜승;이소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459-464
    • /
    • 2019
  • 본 연구목적은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하여 감정노동, 회복 탄력성이 노인 돌봄 태도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요양보호사의 노인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형성 및 유지를 위한 전략을 제공하고자 시행된 조사연구로 D시, K도 요양보호사 14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시행되었다. 결과 분석 프로그램은 SPSS/WI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노인 돌봄 태도는 $3.56{\pm}0.90$점, 감정노동은 $3.23{\pm}0.74$점, 회복 탄력성은 $3.94{\pm}0.40$점이었다. 노인 돌봄 태도는 회복 탄력성(r= .294, p<.005)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노인 돌봄 태도의 설명력은 15.6%로 회복 탄력성(${\beta}=.360$, p= .002), 근무 형태(${\beta}=-.282$, p= .001)가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요양보호사들에 관한 근무형태가 안정적일수록 자신의 직무인 노인 돌봄 태도가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어려운 상황을 스스로 이겨낼 수 있는 회복 탄력성에 관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이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 볼 필요성이 있다.

지역사회 경증치매노인의 행동심리증상과 가족의 부양스트레스 및 자기효능감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in Local Communities and Care-giving Stress and Self-efficacy of Family Members)

  • 임동영;장현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651-662
    • /
    • 2019
  • 본 연구는 경증치매노인의 행동심리증상과 가족의 부양스트레스 및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치매노인 가족의 부양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른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분석은 기술통계, t-test, ANOVA를 이용하였다. 경증치매노인의 행동심리증상에 대한 가족의 부양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에 대해 알아본 결과, 치매노인의 행동심리증상과 가족의 부양스트레스는 양의 상관관계 (r=.655, p<.001), 치매노인 가족의 부양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은 음의 상관관계(r=-.334, p<.001)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경증치매노인의 행동심리증상에 대한 적절한 대처법 개발을 통해 지역사회 경증치매노인 가족의 부양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자살생각 영향요인 : 수면과 우울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the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Living in the Community : Focused on Sleep and Depression)

  • 원종순;이혜련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2호
    • /
    • pp.287-297
    • /
    • 2019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의 자살생각 영향요인을 수면과 우울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수도권 도시거주 노인 210명을 대상으로 자살생각, 수면양상(수면시간, 수면의 질), 우울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자살생각을 많이 하는 노인은 14.3%, 수면시간이 5시간 이하인 노인은 23.3%, 수면의 질이 나쁜 노인은 17.6%, 우울한 노인은 33.3% 이었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최종적으로 자살생각 수준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우울(OR=6.889, 95%CI=2.679-17.712), 수면의 질(OR=3.770, 95%CI=1.469-9.679), 성별(OR=3.080, 95%CI=1.266-7.491)로 확인되었고, 이 세 가지가 자살생각 변인의 31.6%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자살생각 경감을 위해서는 성별을 고려한 우울 감소와 수면의 질 개선이 필수적인 전략이며 이러한 전략을 반영한 자살예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 방안 마련을 제언한다.

노인장기요양제도 내 간호관련 연구 동향과 시사점 (Nursing Research Trend in Long-Term Care Systems in Korea)

  • 임지영;김예서;송성숙;김성준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0-81
    • /
    • 2022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trend of nursing research in the Korean long-term care system. Methods: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08 and 2021 were searched using the terms "long-term care system" and "nursing." Ninety-one articles were analyzed and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according to research methods. Data were extracted through a systematic review process and underwent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ntent analyses. Results: The most analyzed variable in the survey studies was job satisfaction. Many variables were classified into input and output factors using Donabedian's model. The content analysis showed that most suggestions were about improving the political regulation system.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research foundation to provide research funding and support to cultivate future nursing research in long-term care. Systematic improvement of research in nursing should be continuously pursued to revitalize nursing services, expand nursing service interventions, and improve management competency programs in nursing institutions.

국내 노인간호연구 분석과 발전방향 (The Trend and Issues of the Gerontological Nursing Study in Korea)

  • 이영란;김신미;박혜옥;박효미;조계화;노유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676-694
    • /
    • 1998
  • Issues related to the elderly have been recognized in Korea and nursing schalors have tried to study these issues. It is hard to say which the direction we, are going or have to go, since there has been little systemic effort to establish gerontological nursing field ye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out the trend and the guidelines of gerontolotical nursing studies for the future. Dissertation and published articles related to the elderly in the nursing field from 1991 to the Feburary of 1997 were are reviewed. Total 127 studies were analysed in terms of concept, design/methodology, and results, and the nature and issues of the gerontologic nursing studies in Korea were explor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re was no clear chronological definition of the elderly. 2. The most popular research design was an exploratory/descriptive study. 3. The major concepts studied were physical and mental health. 4. Among those studies using instruments which were developed and modified and/or translated by researcher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rarely reported. 5. Theory based studies were rare. We suggest the following issues for future studies : 1. The chronological and other criteria related to the defition of elderly is needed. 2. Physio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Korean elderly and their mangements in terms of intervention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more systemically. 3. Social issues from the change of types and functions of family such as single elderly family need to be studied. 4. Participation in and collaborate with other disciplins are needed. 5. Development and test of instruments to measure phenomena or concepts is needed. 6. Macroscopic approach such as policy also needed. 7. Theory based studies are need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