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년기 가족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노인의 경제적 지위 결정요인과 세대간 지원의 역할 (The Determinants of Economic Status and the Role of Intergenerational Support among Elderly Koreans)

  • 우해봉;윤인진
    • 한국노년학
    • /
    • 제25권2호
    • /
    • pp.73-93
    • /
    • 2005
  • 본 연구는 현 한국 노년층 세대의 특성과 노년에 대한 제도적 대응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노년층 내의 경제적 불평등이 유의미한 함의를 갖는지, 그리고 경제활동기의 경제적 지위획득과 연관된 요인들이 노년기의 경제적 지위유지를 설명하는 요인인지를 조사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노년에 대한 국가적 지원이 크게 부족한 상황에서 한국노인의 경제적 지위와 관련하여 가족이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조사하였다. 경로모형 분석결과는 경제활동기의 경제적 지위획득과 관련된 요인들이 여전히 노년기의 경제적 지위를 설명하는 유의미한 요인들임을 보여준다. 노년층 내부에 존재하는 경제적 불평등의 정도와 관련하여 포괄소득으로부터 계산된 지니지수와 타일지수는 현 노년층 내의 경제적 불평등이 높은 수준이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상승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하지만 포괄소득을 구성하는 두 하위유형 소득 - 시장형 소득과 가족형 소득 - 은 서로 상반된 경향을 보여준다. 시장에 기초한 소득의 경우 불평등 수준은 연령의 상승에 따라 급격히 상승하는데 반하여 가족에 기초한 소득의 경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점증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세대간 경제적 지원의 역할과 관련하여 분석결과는 사회인구학적으로 불리한 속성을 보유한 노인들에게 가족에 기초한 세대간 경제적 도움제공은 노년기에 중요한 경제적 자원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분석결과를 기초로 한국사회에 있어서 세대간 경제적 지원의 잠재성과 현재성 사이의 전환에 대한 함의가 논의되었다.

건강검진 후(後) 건강수치 읽기 - 2013년 새해맞이 우리가족 연령대별 건강계획 세우기

  • 김정운
    • 건강소식
    • /
    • 제37권1호
    • /
    • pp.32-33
    • /
    • 2013
  • 새해를 맞아 흔히 세우는 계획의 주제로는 무엇이 있을까? 저축, 금연, 여행, 자격증, 학습 등 그 종류도 다양하다. 하지만 이런 많은 계획을 세우기에 앞서 꼭 챙겨야 할 것이 있다. 바로 모든 계획의 밑바탕이 되는 '건강 계획'이다. 성장기인 10대부터 청장년층을 넘어 노년기까지, 우리가족의 연령대별 건강계획을 세워보자.

  • PDF

노년기 경제적 복지를 위한 사회투자정책의 방향 : 인적자본 및 사회자본의 활용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on Economic Well-Being of the Elderly in Korea)

  • 서지원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2권2호
    • /
    • pp.31-55
    • /
    • 2008
  • Human capital theory and social capital theory provide a framework for analyzing economic well-be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on the economic well-being of the elderly. The data from the 1st wave of KLoSA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were used (n=3,426).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are both resources that can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economic well-being of the elderly. Second, the effects of human capital on the economic well-being of the elderly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Third,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to increasing economic well-being varied by sex, age, and region.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social investment in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were provided.

  • PDF

노년기 가족관계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 현황과 과제 (Family Relations in Later Life : A Review and Prospect of Research During the Past 15 Years)

  • 조병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5권1호
    • /
    • pp.59-75
    • /
    • 2007
  • This review synthesizes research during the past 15 years on the family relations of older persons. After discussing two background issues-sociodemographic changes of later life families and the status of the elderly-the following topics are addressed; relationships between aged parents and adult children, couple relationships, grandparents' relationship with their grandchildren and sibling relationships. Family relationships are vital support systems providing emotional and instrumental support in the lives of older persons. Mutual assistance and affection among family members were found to be common characteristics. Although research on family gerontology has increased in quantify, there are feater needs to develop qualitative, longitudinal and theory grounded studies to capture the rich complexity of family life. Other challenge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on older persons' family relationship are presented.

작지만 큰 변화로 넘치는 건강한 노후생활

  • 대한가족보건복지협회
    • 가정의 벗
    • /
    • 제37권10호통권434호
    • /
    • pp.6-7
    • /
    • 2004
  • 지금 우리의 문제 중에 가장 심각한 문제는 노인문제라고 할 수 있다. 노인이 되면 일반적으로 경제적으로 자립하지 못하고 건강이 악화되기 때문에 스스로 생활하는데 어려움을 갖게 된다. 보다 활력이 넘치는 건강한 노년기를 보내기 위해서 자신에게 맞는 적당한 운동과 건강관리를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 PDF

패널자료를 이용한 노년기 거주형태 변화분석

  • 김정석
    • 한국인구학
    • /
    • 제30권1호
    • /
    • pp.1-24
    • /
    • 2007
  • 인구고령화의 진전과 함께 노인들의 거주형태에 대한 사회적. 정책적 관심이 증기하고 있으며, 그에 대한 논의와 연구들 또한 많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연구 대부분이 횡단적 자료(단일 시점이든 여러 시점이든)와 분석에 의존함으로써 노인지 거주형태가 생애주기를 따라 변하는 모습을 충분히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이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의 제1차 및 제6차 노동패널자료를 이용해 노년기 거주형태의 유동성을 경험적으로 제시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이들 위해 거주형태의 출현율(prevalence rate)과 전이율(transition rate)을 개념적으로 구분하고 자녀동거여부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두 시점에 대한 횡단폭 분석결과는 노인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녀별거경향의 차이를 보여주더라도 생애주기에 따른 역동성을 보여주기에는 한계가 많음이 확인되었다. 두 시점 간의 거주형태 변화에 대한 패널분석에서는 다수 노인들의 거주형태가 주어진 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거주형태의 변화를 경험하는 데에는 연령증가와 배우자 상태변화 등이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생애주기적 변화의 효과는 대부분의 계량적 연구에서 유추되는 수준이거나 질적 연구에서만 보고되어 왔던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노년기 거주형태의 지속성을 보여주는 한편 변화 가능성과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노년기 거주형태에 대한 개념적 이해론 공고히 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론적 논의와 접근방식은 생애주기별 변화에 초점을 두고자 하는 다른 연구영역에서도 적용 가능할 것이라 기대된다.

노년기 장애인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우울의 구조적 관계: 노령화 장애인과 노인성 장애인의 비교 (Social Support, Depression, Self-esteem Influences on Life Satisfaction of Disability in Aging)

  • 정은혜;윤명숙
    • 한국노년학
    • /
    • 제38권3호
    • /
    • pp.645-666
    • /
    • 2018
  • 이 연구는 노년기 장애를 노령화된 장애와 노인성 장애로 분류하고, 이들 집단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를 가족지지, 타인지지, 공적지지로 나누어 그 영향력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경로에서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함께 살펴봄으로서 노년기 장애인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구조적관계를 확인함과 동시에 노령화 장애인과 노인성 장애인을 비교하여 두 집단의 차이를 밝히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한국복지패널 12차 조사와 장애인부가조사데이터(2018) 응답자 중 65세 이상 장애노인 692명이며, 연구방법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였고 집단 간 경로비교를 위해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노년기 장애인의 삶의 만족에 가족지지와 타인지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년기 장애인이 인지한 가족지지, 타인지지가 높아질수록 우울수준이 낮아지고 자아존중감은 높아져 삶의 만족도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적지지가 높아질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아지고 우울수준이 높아져서 삶의 만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과 우울은 모든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셋째, 노인성 장애인은 노령화 장애인에 비해 유의미한 수준에서 가족지지를 높게 인지하고 공적지원경험과 공적서비스이용이 많았으며 우울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넷째, 타인지지가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는 노인성 장애인에게만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삶의 만족에 대한 우울의 영향력은 노령화 장애인이 더 크게 나타났고 두 집단의 차이는 유의미하였다. 마지막으로 노령화 장애인은 공적지지의 삶의 만족에 대한 직접효과가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나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간접효과로 인해 총효과는 부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노령화 장애인과 노인성 장애인의 차별화된 특성과 영향요인들을 고려한 노년기 장애인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개입서비스 필요성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