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너비

검색결과 529건 처리시간 0.022초

30대 남성복 슬림 핏 재킷의 버튼 수에 따른 재킷원형 개발 제2보 - 목너비 설정을 중심으로 - (Patternmaking of Men's Slim-fit Jacket Sloper for Men in Their 30's according to numbers of Jacket button Part 2 - Focusing on the neck width setting -)

  • 김명옥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1-79
    • /
    • 2016
  •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proper neck-width of slim-fit jackets according to numbers of jacket buttons from an one-button jacket to a four button jacket for men in their 30's. The researchers carried out both an appearance evaluation and a movement functionality evaluation. When analyzing the appearance evaluation,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The one-button jacket showed a high score on the back-neck width of +2.4cm. The two-button jacket and the three button jacket showed a high score on the back-neck width of +1.4cm. The four-button jacket showed a high score on the back-neck width of +0.4cm. The result of movement functionality evaluation was not related to the appearance evaluation, and showed no meaningful difference. The one-button jacket and two button jacket showed high scores on the back-neck width of +2.4cm. The three button jacket showed a high score on the back-neck width of +1.4cm. The four-button jacket showed a high score on the back-neck width of +0.4cm. In analyzing both results, the study suggests that the proper front neck-width and that of the back-neck width of +2.4cm be for the one-button jacket, the back-neck width of +1.4cm be for the two-button jacket and the three-button jacket, while the back-neck width of +0.4cm be for the four-button jacket.

장갑 패턴 개발을 위한 손의 유형 분류 (Classification of Hand Types for the Development of Glove Patterns)

  • 임지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8호
    • /
    • pp.115-122
    • /
    • 2005
  • The hand performs functions such as grabbing and other movements.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movements in various kinds of operational environments, appropriate gloves must be worn to protect your hands. Choosing the appropriate type of glove is very important when wearing gloves in these types of operational environments. The reasons one wears gloves varies depending on age and gender. Unmarried women in their early twenties, for example, occasionally wear gloves for decoration rather than for functional reasons. However, previous studies examined a range of topics, and as such investigations dealing with specific body shape and demands of consumer are need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hands of unmarried women ranging in age from 20 to 24 were measured and hand shape types were analyzed in order to present basal data which can be used to help design improved glove patterns and produce appropriate, functional gloves. A total of 261 Korean women were measured. Fifty-seven right hand dimensions were measured and five dimensions from both hands were measured. Six factors were identified through factor analysis and those factors constituted $73.259\%$ of total variance. Two clusters of hand shapes were categorized using 6 factor scores by cluster analysis. Type 1 hand shape is defined as long hands with small width, girth, and thickness, long and thin fingers, and high vertical palm height. Type 2 hand shape is defined as short hands with large width, girth and thickness, short fingers, thick knuckles, and short vertical palm height. The characteristics of type 1 and 2 hand shapes are similar to women's hand type classification results from previous report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ject distribution by type. Therefore, standard data on hand shapes should be produced by developing measuring instruments and selling more accurate standard measuring points. By doing this it could help in the development of improved glove patterns, and also aid in planning production based on hand type.

심전도 신호에서 부정맥 환자의 R파 검출 알고리즘 연구 (Study on R-peak Detection Algorithm of Arrhythmia Patients in ECG)

  • 안세종;임창주;김용권;정성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4443-4449
    • /
    • 2011
  • 심전도는 다양한 형태의 전기적 신호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신호들의 특징점을 분석함으로써 부정맥을 검출할 수 있다. 지금까지 부정맥 검출을 위한 특징점 추출 방법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복잡한 연산과정으로 실시간 연산 결과를 활용하는 휴대형 기기에는 부적합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환자의 R-R 간격과 QRS 너비의 정보를 이용하여 R파를 추출하였다. 우선 버터워스 필터를 이용하여 저주파 대역의 잡음을 제거하였으며, R-R간격의 이동평균과 QRS 너비의 이동평균을 이용하여 R파를 추출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 검증은 MIT-BIH 부정맥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험하였으며, 제공된 데이터의 R파 위치와 제안한 알고리즘의 R파 위치를 비교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로는 제안한 알고리즘 방법이 우수한 검출 성능을 보였으며, 연산과정에서도 효율적인 방법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원주방향 관통균열이 용접부 중앙에 존재하는 V-그루브 맞대기 용접배관의 한계하중 해석 (Mismatch Limit Load Analyses for V-groove Welded Pipe with Through-wall Circumferential Defect in Centre of Weld)

  • 김상현;한재준;정진택;김윤재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7권11호
    • /
    • pp.1379-1386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용접부 중앙에 원주방향 관통균열이 있는 V-그루브 맞대기 용접 배관의 한계하중 해석을 수행하였다. V-그루브 맞대기 용접 배관이 그루브 각 $45^{\circ}$, $90^{\circ}$를 갖는 형상에 대한 한계하중 식을 제시하기 위해 용접 형상의 변화에 따른 용접부 너비를 정의하였고 강도불일치 비, 용접부 너비, 균열 길이 및 배관 반경 비에 대한 체계적인 변수 해석을 수행 하였다. 모재와 용접재는 탄성 완전소성재료로 가정하였으며 상불일치와 하불일치 조건에서의 인장 하중과 굽힘 하중에 대한 강도불일치 한계하중이 강도불일치 비($M_F$)와 형상변수(${\psi}$)를 통해 정량화 됨을 유한요소 해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한국산 백운풀속(꼭두서니과)의 화분학적 연구 (A Palynological Study of the Korean Oldenlandia L. (Rubiaceae))

  • 남보미;정규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08-112
    • /
    • 2011
  • 한국산 백운풀속 5분류군의 화분을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본 속의 화분은 모두 단립이며, 극축의 길이는 $20.7-36.0 {\mu}m$, 적도면의 너비는 $21.0-38.4{\mu}m$으로 세립 또는 중립이다. 화분의 형태는 P/E가 0.93-1.00로서 약단구형 내지 구형이다. 발아구의 수는 3-7개, 발아구의 형태는 공구형이며, 구구의 길이는 $14.2-20.4{\mu}m$, 너비는 $2.6-3.4{\mu}m$이다. 외표벽의 두께는 $0.9-2.4{\mu}m$이며, 표면무늬는 모두 망상으로 미립돌기가 있거나 없었다. 본 속의 화분형질 중 화분의 크기, 발아구의 수, 표면무늬에 미립돌기의 유무는 속내 종간 식별형질로서 매우 유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화분형질에 의해 설정된 Neanotis속은 형질의 연속적인 변이에 의해 속의 실체에 대하여 재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파워 숄더 래글런 슬리브 재킷의 어깨 높이와 너비 변화에 따른 신체 보정 이미지 (Body compensation image on power shoulder raglan sleeve jacket according to the shoulder height and width)

  • 이시백;서미아;어미경
    • 복식문화연구
    • /
    • 제23권1호
    • /
    • pp.117-12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of body compensation image on variations in the shoulder height and width of power shoulder raglan sleeve jacket. Nine samples were examined: 3 variations of the shoulder height and 3 variations of the shoulder width. The data was evaluated by 123 fashion design majo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body compensation image according to changes in the shoulder height and width of power shoulder raglan sleeve jacket, five factors were selected; the shoulder compensation factor, the bust compensation factor, the waist compensation factor, the arm compensation factor and the neck compensation factor. Among these factors, the shoulder compensation factor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Examining the major effect of the body compensation image based on changes in the shoulder height and width of power shoulder raglan sleeve jacket, it had an independent influence on factors about waist, neck, shoulder and arm compensation except a factor about bust compensation, had an influence on interacting effect of factors about shoulder, bust, waist, arm compensation, and it had no influence on interacting effect of a factor about neck compensation. This shows that the shoulder height has larger effect on neck compensation image than the shoulder width in power shoulder raglan sleeve jacket.

음향 탄성영상법에서 연조직 내 파동 발생과 병변 검출의 특성: 이론 및 시뮬레이션 연구 (Wave Generation and Its Effect on Lesion Detection in Sonoelastography: Theory and Simulation Study)

  • 박정만;권성재;정목근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282-293
    • /
    • 2005
  • 음향 탄성영상법은 외부 진동을 조직에 인가하고 조직 운동을 측정함으로써 조직의 탄성을 영상화하는 초음파영상기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음향 탄성영상법에서 표면 진동자에 의해 연조직 내에 파동이 발생되는 특성과 모드패턴이암과 같은 병변 검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였다. 이를 위해 반공간, 두께가 일정한 무한평판, 그리고 유한 크기 조직에서 발생된 진동패턴을 이론과 유한요소법으로 계산하고 분석하였다. 유한 너비 진동원에 의해 조직에는 특정한 방향으로 강하게 전달되는 횡파가 발생하였으며, 그 특성은 진동자 너비, 주파수 및 진동자로부터의 거리에 의존하였다. 유한 크기 조직에서 병변의 검출가능성은 변위영상에서는 조직내 모드패턴에 큰 영향을 받았으며, 이에 비해 변형률영상에서는 모드패턴에 덜 민감하고 검출가능성도 아주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 표현 방법: 운율과 음질의 역할 (How to Express Emotion: Role of Prosody and Voice Quality Parameters)

  • 이상민;이호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159-166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감정을 통해 단어의 의미가 변화될 때 운율과 음질로 표현되는 음향 요소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분석한다. 이를 위해 6명의 발화자에 의해 5가지 감정 상태로 표현된 60개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감정에 따른 운율과 음질의 변화를 살펴본다. 감정에 따른 운율과 음질의 변화를 찾기 위해 8개의 음향 요소를 분석하였으며, 각 감정 상태를 표현하는 주요한 요소를 판별 해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분석한다. 그 결과 화남의 감정은 음의 세기 및 2차 포먼트 대역너비와 깊은 연관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기쁨의 감정은 2차와 3차 포먼트 값 및 음의 세기와 연관이 있으며, 슬픔은 음질 보다는 주로 음의 세기와 높낮이 정보에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공포는 음의 높낮이와 2차 포먼트 값 및 그 대역너비와 깊은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감정 음성 인식 시스템뿐만 아니라, 감정 음성 합성 시스템에서도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향 평판에서의 풀비등 임계열유속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Pool-Boiling CHF on Downward-Facing Plates)

  • Yang, Soo-Hyung;Baek, Won-Pil;Chang, Soon-Heu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6권4호
    • /
    • pp.493-501
    • /
    • 1994
  • 하향 가열 평판에서의 풀비등 임계열유속 실험이 수행되었다. 이는 원자로에서의 노심용융사고 발생시 그 결과를 완화시키는 한 방법으로 고려되고 있는 원자로용기 외부 냉각 (Ex-Vessel Flooding) 개념과 연관된다. 대기압하, 포화상태 물에서 너비가 다른 두 개의 평판 (20mm$\times$200mm및 25mm$\times$200mm)을 이용, -90$^{\circ}$(평형 하향), -88$^{\circ}$, -86$^{\circ}$, -84$^{\circ}$, -60$^{\circ}$와 -40$^{\circ}$의 경사 가도에 대한 임계열유속이 측정되었다. 실험 결과 너비가 큰 평판에서, 그리고 수직 위치로부터의 각도가 클수록 임계열유속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가열면에서 발생된 기포들의 이탈이 어려워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경사가도에 따른 전체적 인 임계열유속 경향은 기존 연구들과 대체로 일치하나, 임계열유속 감소율이 변화하는 천이 각도가 -80$^{\circ}$ 근방에서 발견되었다.

  • PDF

풍압 형성에 따른 옥상광고판 크기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the Roof Signboard Size in Wind Pressure Formation)

  • 홍지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401-408
    • /
    • 2019
  • 본 연구는 건축물 옥상에 설치되는 옥외광고탑의 강풍피해 경감을 위하여, 중저층의 건축물 옥상에 설치되는 광고판에 작용하는 최대풍압력 분포에 따른 광고판의 변형을 CFD 수치해석을 통하여 고찰한 연구이다. 수치해석을 위하여 $(b)20m{\times}(d)10m{\times}(h)30m$의 건물에 광고판이 설치되는 것을 가정하여 기본모델과 광고판의 크기를 변경한 3개의 모델을 사용하여 최대 풍압 형성에 대한 변형을 고찰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광고판의 모양이 장방형에 가까울수록 수평적인 변형이 지배적으로 발생하며 양단부의 모서리 부분에서 높은 풍압력과 변형이 발생한다. 그리고 광고판의 높이가 클수록 수직적인 변형이 지배적으로 발생하고, 배면에 정압이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광고판의 폭보다 높이가 낮아지는 경우, 최대 풍압은 중앙부 상부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높이와 너비의 비가 1에 가까울수록 최대 풍압의 분포가 안정적이고 풍압에 의한 영향이 비교적 낮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바람의 영향을 막는 구조적인 보강과 높이와 너비의 비가 1에 가까운 여러 개의 광고판으로 전체 광고판을 구성하는 등의 풍압력 발생에 대해 유연한 대응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