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냉방 및 난방에너지 사용량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부산시 임대아파트 및 분양아파트의 냉난방에너지 소비량 분석 (Analysis of Heating and Cooling Energy Consumption in Rental and Sales Apartments in Busan)

  • 이경희;이준기
    • 토지주택연구
    • /
    • 제12권3호
    • /
    • pp.79-8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사용량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부산시에서 준공된 임대 및 분양아파트의 에너지 사용량을 특정기간동안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기 사용량 중 냉방에 소비되는 에너지는 임대아파트는 2.5kWh/m2·yr, 분양아파트는 2.3kWh/m2·yr으로 약 0.2kWh/m2·yr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전기 사용량 중 난방에 소비되는 평균 에너지는 임대아파트가 3.3kWh/m2·yr, 분양아파트가 2.2kWh/m2·yr으로 약 1.1kWh/m2·yr의 차이를 보였다. 전기장판, 히터 등 전기에너지를 사용하는 임대아파트의 난방 에너지량은 분양아파트보다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가스에너지 사용량 중 난방 에너지 사용량은 임대아파트는 7.0kWh/m2·yr, 분양아파트는 6.8kWh/m2·yr로 가스를 이용한 난방에 사용하는 에너지 사용량이 임대아파트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난방에 사용되는 전기 및 가스에너지를 합산하면 분양아파트는 난방에 사용하는 에너지는 9.0kWh/m2·yr, 임대아파트는 10.3kWh/m2·yr으로 추정된다. 난방기간동안 임대아파트는 분양아파트보다 1.3kWh/m2·yr 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전지역의 건물별 에너지 소비패턴에 대한 실태조사 (Energy Consumption Patterns for Various Building Types in Taejon)

  • 김병선;김윤덕
    • 태양에너지
    • /
    • 제18권3호
    • /
    • pp.41-50
    • /
    • 1998
  • 일반적으로 최종적인 건물 설계에 의한 건물의 에너지 성능은 거주후평가(POE)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며, 축적된 평가 결과는 설계에 의한 시행착오를 예측하기 위한 새로운 설계의 Feedback 자료로 이용되어져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 건물의 에너지 평가자료가 구체적으로 편집되어 제시되어 있지 못한 현 실정에서 본 조사는 설계시에 에너지 성능을 비교할 수 있는 척도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며, 추후 건물 에너지 성능규제를 위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전 및 인근지역 35개 공공건물의 건물에너지소비의 패턴이 조사되었으며, 우선 전화국, 백화점, 병원, 연구소, 스포츠센터 수영장, 전시관, 대학교, 호텔의 8개 건물로 분류하였다. 그러나 많은 수의 공공건물은 여러 가지 복합적인 기능을 갖추고 있고 따라서, 건물의 이름만으로 건물의 에너지소비패턴을 분석하기 위하여 (1) 준공연도, (2) 층수, (3) 단열정도, (4) 주연료, (5) 난방면적, (6) 연간난방일수, (7) 평균난방실내온도, (8) 냉방면적, (9) 평균냉방실내온도, (10) 보일러형식, (11) 보일러대수, (12) 보일러용량, (13) 보일러연료사용량, (14) 전기사용량, (15) 최대부하등이 조사되었다.

  • PDF

신축건물 에너지효율관리를 위한 환경 및 에너지모니터링(계측) 방법론 (A Study on the BEMS Install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for Energy Monitoring(Measuring) of New Building)

  • 권원정;윤지혜;권동명
    • 에너지공학
    • /
    • 제27권2호
    • /
    • pp.32-48
    • /
    • 2018
  • 건물의 에너지사용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에너지의 사용에 대한 모니터링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건물에서의 에너지사용량은 크게 에너지원별, 용도별, 구역별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에너지원별이란 건물의 설비를 가동하기 위해 공급되는 전기, 가스, 연료, 지역난방 등을 의미한다. 용도별이란 크게 냉방, 난방, 조명, 급탕, 환기와 같이 5대 용도로 구분할 수 있지만, 5대 용도 안에 포함시키기 어려운 엘리베이터나 전열기기 등은 별로도 분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외 구역별은 건물의 사용목적이나 사용용도가 비슷하거나 구분되는 지역을 묶어서 비교 관리 하거나 별도 관리 하는 것을 말한다. 이 밖에 에너지의 효율관리에서는 건물의 에너지사용량에 영향을 주는 온도, 습도와 재실자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며, 최근 문제가 되는 미세먼지는 건물의 환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에 대한 관리도 병행되어야 한다.

기후변화와 사회·경제적 요소를 고려한 가정 부문 냉난방 에너지 사용량 변화 예측 (Prediction of Heating and Cooling Energy Consumption in Residential Sector Considering Climate Change and Socio-Economic)

  • 이미진;이동근;박찬;박진한;정태용;김상균;홍성철
    • 환경영향평가
    • /
    • 제24권5호
    • /
    • pp.487-498
    • /
    • 2015
  • 기온상승과 인구 및 GDP 증가의 영향으로 인해 에너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에너지 수요에 대한 예측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에너지 수요관리, 특히 전력부하를 유발하는 냉난방 에너지 수요 관리에 도움이 되고자 가정 부문 냉난방 에너지의 미래 사용량을 예측하고자 한다. 에너지 사용량을 산정하는데 있어 서비스 수요의 산출이 필요하다. 따라서 서비스 수요 산정식을 이용하여 이를 먼저 도출하고, AIM/end-use 모델을 이용하여 에너지 사용량을 산정하였다. 산정 결과 냉난방 서비스 수요는 2010년에 비해 2050년에 모두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하지만 에너지 사용량에서 난방은 감소하고, 냉방은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건물일체형 패널형 벽면녹화 식재기반 유형별 건물에너지 성능 분석 (Analysis of Building Energy Reduction Effect based on the Green Wall Planting Foundation Type Using a Simulation Program)

  • 김정호;권기욱;윤용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936-946
    • /
    • 2015
  • 본 연구는 도심의 열환경 개선 및 건물에너지저감 효과가 입증된 벽면녹화 중 기존 건물에 적용 가능한 패널형 벽면녹화 식재기반 유형에 따른 건물에너지 저감 성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식재기반 유형은 총 4가지 유형으로 하였으며, Case A는 벽면녹화가 미적용된 유형으로 콘크리트 + 단열재로 구성하였다. Case B는 식재층 + 무기다공성블록 + 콘크리트 + 단열재로 구성하였으며, Case C는 식재층 + 코코피트블록 + 콘크리트 + 단열재로 구성하였다. Case D는 식재층 + 마사토블록 + 콘크리트 + 단열재로 구성하였다. 분석항목으로는 열전도율, 열관류율, 건물에너지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식재기반 유형별 열전도율은 Case C(0.053W/mK) > Case B(0.1W/mK) > Case D(0.17W/mK)의 순이었다. 에너지시뮬레이션 결과 중 단위면적당 냉방피크부하저감은 미적용인 Case A 대비 Case C(1.19%) > Case B(1.14%) > Case D(1.01%)이며, 난방피크부하저감은 Case A 대비 Case C(2.38%) > Case B(1.82%) > case D(1.50%)로 산정되었다. 연간 냉 난방부하저감은 미적용 Case A대비 벽면녹화 유형에서 0.92~1.28% 저감률을 나타내었다. 연간 냉난방에너지사용량은 3.04~3.22%의 저감률을 보였으며, 1차에너지사용량은 Case A대비 나머지 유형에서 평균 5,844 kWh/yr의 저감량을 보였다. 연간 이산화탄소발생량은 벽면녹화 미적용 Case A대비 평균 996kg 저감량을 보였다. 식재위치별 에너지성능평가 결과 동향 > 서향 > 남향 > 북향 순이었다. 벽면녹화비율에 따른 에너지성능평가 결과 녹화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20~80%의 비율보다 100% 녹화시 약 2배의 저감률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