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냄새 유발물질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4초

여름철 여수산업단지에서 발생하는 악취성 VOCs의 농도특성 (Characteristics of Malodorous VOCs Concentrations at the Yosu Industrial Complex during the Summer)

  • 임득용;황인조;김동술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58-359
    • /
    • 2003
  • 산업화가 급속히 진행됨에 따라 삶의 질은 향상된 반면, 대기오염으로 인한 피해는 증가하고 있다. 대기 중 존재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VOCs)은 인체에 독성을 가지며 암을 유발하고, 오존의 전구물질(precursor), 광화학 스모그의 원인물질, 성층권의 오존층 파괴 및 지구온난화에도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Derwent et al., 1996) 악취를 유발하기도 한다. 악취는 황화수소(hydrogen sulfide), 메르캅탄류(mercaptans), 아민류(amines) 등 기타 자극성 있는 기체상 물질이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과 혐오감을 주는 냄새로 정의되며, 주로 인체의 위해성보다는 정신적ㆍ심리적인 피해를 일으키는 감각공해라고 할 수 있다 (환경부, 2002). (중략)

  • PDF

유리코일/HPLC 시스템을 이용한 시화공단의 카르보닐화합물의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Carbonyl Compounds in the Si-Hwa Industrial Areas by Using Pyrex Coil/HPLC Systems)

  • 이종민;김언정;강은하;이재훈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9-91
    • /
    • 1999
  • 최근 전국적으로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생활환경의 질적 향상에 대한 욕구가 높아져 그다지 문제시되지 않았던 냄새를 악취로 여기게 되었으며 이를 민원으로 제기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미 선진국을 비롯한 상당수의 국가에서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던 알데히드류와 키톤류 능과 같은 카르보닐계 화합물(Carbonyl compounds)은 악취의 원인물질일 뿐만 아니라 인체에 대해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카르보닐 화합물중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는 호흡기 계통의 질병 및 피부 알레르기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중략)

  • PDF

물 중의 극미량 냄새 유발 물질인 Geosmin과 2-methylisoborneol의 GC/MS 분석법 연구 (Analysis of trace odorous compounds (geosmin and 2-methylisoborneol) in water by using GC/MS)

  • 김대전;김병주;소헌영;강호
    • 분석과학
    • /
    • 제15권6호
    • /
    • pp.534-539
    • /
    • 2002
  • 물 중에 극미량 존재하는 냄새 유발 물질인 geosmin (GSM)과 2-methylisoborneol (2-MIB)에 대한 GC/MS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시료는 n-헥산을 이용한 액체-액체 추출법(liquid-liquid extraction, LLE)으로 추출하였으며, GC/MS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 추출법의 회수율은 GSM과 2-MIB에 대하여 각각 ($87{\pm}8$)%, ($78{\pm}8$)%로 측정되었으며, 이 분석법에 의한 정량한계는 두 물질 모두 ~0.3 ng/L로 매우 향상되었다. 이 분석방법을 일부 강물과 강물을 정수 처리한 실제 시료에 적용하였다. 일부 강물 원수의 경우 GSM과 2-MIB의 농도가 각각 최고 ($4.2{\pm}0.4$) ng/L와 ($44{\pm}4$)ng/L까지 나타났으며, 이 물은 정수 처리를 거친 후에도 ($1.3{\pm}0.1$) ng/L와 ($18{\pm}2$) ng/L의 농도를 보여 기존의 정수 처리로 냄새 물질에 대한 제거가 효과적이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팔당호의 조류 발생 특성 (Characteristics of Algae Occurrence in Lake Paldang)

  • 김진근;이송희;방호희;황수옥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325-331
    • /
    • 2009
  • 본 연구는 팔당호내 조류의 발생특성 파악을 위해 수행되었다. 2006-2008년 매주 측정한 자료를 토대로 클로로필-a 농도는 봄철에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여름철에 가장 높게 조사되었던 2000년 이전 자료와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월간 측정 자료에 의하면 2008년 총 조류개체수도 봄철에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규조류가 우점하였으며 연평균값으로는 총 조류개체수의 87%를 차지하였으며, 특히 봄과 겨울에 우점정도가 높았다. 하절기의 경우 특정시기에 남조류가 우점을 차지하였다. 조류에서 기인하는 냄새 유발물질인 2-MIB와 geosmin은 2008년 7월에 특히 높게 나타났는데 조류와 냄새물질 발생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자외선/염소 반응해석 모델에 의한 미량유기물질 제거에 관한 연구 (Removal of microorganic pollutants based on reaction model of UV/chlorine process)

  • 황태문;남숙현;권민환;강준원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3-81
    • /
    • 2017
  • The UV/chlorine process is a UV-based advanced oxidation process for removing various organic pollutants in water. The process is becoming increasingly popular because of its effectiveness in practice. It is important to the safe and efficient operation of a UV/chlorine process that the optimal operating conditions for both target removal objective and saving energy are determined. Treatment efficiency of target compounds in UV/chlorine process was mainly affected by pH and scavenging factor. In this study, kinetic based mathematical model considering water characteristics and electrical energy dose calculations model was developed to predict of treatment efficiency and optimal operating conditions. The model equation was validated for the UV/chlorine process at the laboratory scale and in pilot tests at water treatment plants.

일부 주택에서의 실내 이산화질소 농도의 계절별 변이와 영향 요인 평가 (Determination of effective factors for seasonal variation of NO$_2$ concentration in indoor air)

  • 호문기;양지연;신동천;임영욱;박성은;홍천수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49-450
    • /
    • 2001
  • 주거공간에서는 특히 연소시 발생되는 오염물질이 많이 존재하며 이러한 오염 물질들은 두통과 호흡기계를 자극하는 등 인체 건강에 유해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실내 이산화질소의 주요 오염원으로는 취사 및 보조난방기구 등의 연료 연소와 실외의 이산화질소가 환기 및 공기의 흐름에 의해 실내로 유입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산화질소는 부식성이 있는 강한 산화 가스로써 대기중에 존재하면 숨이 막히고 자극적인 코를 찌르는 냄새를 유발하며 이러한 악취의 역치는 0.11∼0.22ppm에서 존재한다(WHO, 1987). (중략)

  • PDF

기상학적 영향을 고려한 낙동강 하류 녹조 발생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yanobacteria in the Downstream of Nakdong River Considering the Meteorological Effects)

  • 정우석;김영도;김성은;기서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110-110
    • /
    • 2020
  • 최근 낙동강유역에서는 여름철 폭염 및 가뭄의 영향으로 조류대경보가 발령되고 있으며, 급격한 수질환경적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대상유역인 낙동강에서도 가뭄으로 인해 녹조가 발생하여 조류경보가 발령되었다. 남조류의 대발생은 대량 번성 및 사멸에 따라 수체 내 산소 고갈 및 유기물 증가와 같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또한 남조류가 분비하는 독성물질 또한 수생태계와 인체에 유해하다. 그리고 인체에는 무해하다고 밝혀졌지만 수돗물 등에서 흙냄새와 같은 좋지 않은 냄새를 유발하는 냄새물인 지오스민, 2-MIB을 분비하여 정수공급체계의 악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대상 지점인 낙동강은 다기능 보 건설로 인해 하천 수심이 증가하고 유속이 느려지면서 정체성 수역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호소성 수역 특성을 나타내고 있음과 동시에 녹조발생과 같은 수질환경적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시각화 분석을 통해 낙동강 하류 남조류 발생현황을 분석하였으며, 랜덤포레스트를 이용하여 지점별 남조류 발생 주요 영향인자를 도출하였다. 조류경보제 발생 등급은 발령기준으로 관심, 위험, 대발생으로 구분된다. 학습데이터로 관심단계 기준인 남조류세포수 1,000 cell/mL 보다 작게 측정된 데이터들은 관심미만의 데이터로 Normal 등급으로 구분하였다. 구분된 발생등급을 범주형 변수로 설정하여 학습 데이터를 통해 모형을 구축하고 검증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형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조류발생 주요 영향인자를 도출하고 변수별 중요도를 평가를 통해 지점별 녹조 발생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 PDF

메조공극 흡착제를 이용한 상수원수내 맛·냄새 유발물질 제거특성 평가 (Evaluation of Removal Characteristics of Taste and Odor Causing Compounds using Meso-Porous Absorbent)

  • 김종두;박철휘;윤여복;이대성;김효전;강석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6-3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메조공극 흡착제(Meso-Porous Adsorbent, MPA)에 대한 흡착특성을 평가하고, 상수원수 내 맛 냄새유발물질인 geosmin에 대한 흡착제거 특성을 회분식 실험을 통해 평가하는데 있다. 등온흡착에 대한 실험결과는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Langmuir식과 Freundlich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MPA는 Langmuir식과 Freundlich식 모두 잘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흡착속도 평가를 위해 1차 속도식과 2차 속도식을 각각 적용하였다. 본 흡착특성 평가결과 MPA를 이용할 경우 기존 입상활성탄에 비해 최대 흡착량이 7배 가량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1차 속도식 기준으로 흡착속도는 11배 이상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MPA를 정수장에 적용할 경우 짧은 EBCT 조건에서도 효과적으로 상수원수 내 geosmin을 제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활성탄 공정에 비해 재생주기가 짧을 것으로 판단된다.

팔당호와 팔당호 상류의 난분해성 유기물질 유출 특성 분석 및 상관성 분석 (Analysis of Non-Biodegradable Organic Matter Leakage Character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in Paldang Lake and its Upper Reaches)

  • 강채원;길경익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21-229
    • /
    • 2023
  • 수도권에 일 약 8백만톤의 물을 취수하여 공급하는 팔당호는 수질보전정책 시행으로 BOD(Biochemical Oxygen Demand)1.1mg/L를 달성하였으나 난분해성 물질을 포함하는 COD(Chemical Oxygen Demand) 항목은 점점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상수원 유입은 잠재적인 BOD의 증가, 수돗물의 냄새와 맛 유발, THM(Trihalomethane) 발생 증가, 조류 증식을 일으키며 유해 난분해성 미량오염물질이 잔류할 경우 수생 환경에서 내분비 교란과 항생제 내성과 같은 현상을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팔당호의 난분해성 유기물질 관리를 위해 팔당호와 팔당호 상류의 점 오염원과 비점오염원의 난분해성 유기물질 유출 농도를 파악하기 위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지역별 난분해성 유기물질 유출 농도를 비교하고 하수처리장에서의 제거율을 파악하였다. 또한 피어슨 상관성 분석 기법을 사용해 유기물질 지표와 선행건기일수, 선·선행건기일수간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하천과 팔당호의 난분해성 유기물질 농도는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하수처리장 유출수는 하천과 팔당호보다는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유입수와 유출수 농도의 비교 결과 하수처리장에서 난분해성 유기물질 제거율은 65.73%였다. 난분해성 유기물질 유출 농도와 선행건기일수, 선·선행건기일수 사이에서는 유의미한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데이터 부족으로 판단되며 장기적인 모니터링으로 데이터 축적이 필요하다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