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내침식성

Search Result 14, Processing Time 0.017 seconds

Effect of applied current density on the corrosion damage with galvanostatic corrosion experiment of aluminum alloy for ship (선박용 알루미늄 합금의 정전류 부식 시험에 의한 부식 손상에 미치는 인가 전류밀도의 영향)

  • Kim, Yeong-Bok;Park, Il-Cho;Lee, Jeong-Hyeong;Kim, Seong-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8.06a
    • /
    • pp.106-106
    • /
    • 2018
  • 해양환경용 선박재료는 전기화학적인 부식을 발생시키는 염소이온($Cl^-$)이 다량 포함된 부식 환경에 장기간 노출되어 있어 부식에 대해 취약하다. 따라서 우수한 내식성 및 내침식성을 가진 재료를 선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알루미늄 합금은 충분한 강도와 부동태 피막 형성으로 인해 내식성이 우수하여 해양환경용 선박 재료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부식 특성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선박에서는 부식에 의한 손상뿐만 아니라 전식에 의한 부식 손상도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선미 부분은 프로펠러의 동합금과 알루미늄 합금의 이종금속 간 전위차에 의한 전식이 발생하여 선체의 다른 부위에 비해 부식이 더 심하게 진행될 수도 있다. 또한 전식은 해안 부두에 접안된 선박의 용접 시미주전류(stray current)에 의한 부식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양환경에서의 전식을 인위적으로 모사할 수 있는 부식 정전류 시험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전식 손상을 유발시켰으며, 해양환경 하에서 선박재료로 주로 사용되는 알루미늄 합금인 Al5083-H321, Al5052-O, Al6061-T6에 대한 전식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방법으로 작동전극은 각 재료의 시험편을 $2cm{\times}2cm$ 으로 절단하여 sand paper # 2000 번까지 연마 후 아세톤과 증류수로 세척하고 건조하였으며, 제작된 시험편은 자체 제작한 홀더를 이용하여 $1cm^2$만 노출시킨 후 정전류 가속 실험을 실시하였다. 기준전극은 은/염화은(Ag/AgCl) 전극을, 대응전극은 백금(Pt) 전극을 사용하였다. 정전류 가속 조건은 $0.001mA/cm^2$, $0.1mA/cm^2$, $1mA/cm^2$, $5mA/cm^2$, $10mA/cm^2$의 전류 밀도를 천연해수에서 30분간 인가하였다. 각 재료에 대한 전식 특성은 실험 전후의 무게 감소량으로 전식의 저항 특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3D 현미경으로 표면 손상 경향과 깊이를 측정하였으며, 주사전자현미경 (SEM)을 통해 표면 형상을 미시적으로 관찰하였다. 부식 정전류 시험 결과 모든 시편에서 $0.01mA/cm^2$에서 미세한 국부적인 부식이 일어났으며, 전류밀도가 증가할수록 표면 전반에 부식이 진행되고 성장하였다. 그리고 모든 인가 전류밀도의 조건에서 Al6061-T6가 5000계열(Al5083-H321, Al5052-O)보다 더 우수한 내식성을 나타났다.

  • PDF

Real-scale Experiment for Breach Retardation Effect on the Levee treated with New Substance due to Overtopping (신소재 제방의 월류붕괴 지연효과에 대한 실규모 실험)

  • Ko, Dongwoo;Kang, Woochul;Kim, Jongmin;Kim, Sungjung;Kang, Joon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54-5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제방의 세굴이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바이오폴리머(Biopolymer) 기반 신소재를 활용한 흙 제방의 보강공법을 제시하였다. 바이오폴리머 기반 제방의 보강공법은 흙과 바이오폴리머를 소량만 섞어도 흙의 강도 증진시킴과 동시에 빗물에 대한 내침식성과 식생의 생장을 촉진하는 생태성도 뛰어나기 때문에 제방 사면을 보호할 수 있는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인 공법이다. 이에 안동하천연구센터는 실증실험을 통한 신소재 제방 보강공법의 안정성 검증을 목표로 2 건의 월류붕괴 실험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는 흙 제방 조건(Case 1)이며, 두 번째는 바이오폴리머 혼합 토양을 사면에 도포한 후 식생이 활착된 조건(Case 2)이다. 제방 붕괴에 따른 수로 내 수위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압력식 수위계를 설치하였으며, 영상분석을 위한 다수의 카메라 및 드론을 활용하여 실험의 전 과정을 실시간 촬영하였다. 또한, 제내지 측 사면을 대상으로 월류에 따른 붕괴 지연효과를 정량적으로 제시하기 위해 이미지 픽셀 변화 측정 기법을 통한 시간에 따른 표면 손실률을 산정하였다. 흙 제방과 신소재 처리 제방의 시간에 따른 표면손실률을 비교한 결과, Case 2의 사면손실률이 Case 1에 비해 약 1.5~2.3 배 지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단일 조건만으로 실험군과 비교군의 붕괴지연 결과가 제방 성능을 평가함에 있어서 일반화될 수 없으므로 이러한 정량적 평가는 다소 한계가 있다. 향후 이러한 부족한 부분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과 다양한 조건의 추가실험을 통한 계측 데이터 및 붕괴지연시간의 평균값을 도출하여 신소재 제방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타당한 결과를 도출할 예정이다.

  • PDF

The properties of AR(Alkali Resistant)-glass fiber by zirconia contents (지르코니아 함량에 따른 내알칼리 유리섬유의 특성)

  • Lee, Ji-Sun;Lim, Tae-Young;Lee, Mi-Jai;Hwang, Jonghee;Kim, Jin-Ho;Hyun, Soong-Keun
    •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 /
    • v.25 no.6
    • /
    • pp.263-271
    • /
    • 2015
  • Commercial AR(Alkali Resistant)-glass fiber has a good chemical resistant property, but also has a problem of difficulty in fiberizing process because of high viscosity in melted glass compare with E-glass fiber which is the most widely used for reinforced fiber of composite materials. In this study, we fabricated AR-glass fiber with low zirconia contents compare with commercial AR-glass fiber relatively, and measured properties against E-glass fiber. We obtained transparent clear glass with zirconia contents of 0.5~16 wt% by melting at $1600^{\circ}C$ for 2 hours. These AR-glass samples had high visible transmittance of 89~90 %, softening temperature of $703{\sim}887^{\circ}C$. And softening temperatures of them were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ing zirconia contents. Compare with E-glass, AR-glass contains 4 wt% zirconia has different value of $-94^{\circ}C$ in softening temperature, $+68^{\circ}C$ at Log3 temperature and $-13^{\circ}C$ at Log5 temperature in viscosity. We could verify good alkali resistant property of the AR-glass fiber with SEM after dipping in alkali solution for 48~72 hours, and also high tensile strength, 1.7 times compare with E-glass fiber at 48 hours and 2.2 times at 72 hours. We conclude that this AR-glass fiber can be widely used as general alkali resistant glass fiber because of easy manufacturing condition and good properties even though it has low zirconia contents.

Soil Physical Properties and Organic Matter (토양(土壤)의 물리성(物理性)과 유기물(有機物))

  • Im, Jeong-Nam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11 no.3
    • /
    • pp.145-160
    • /
    • 1979
  • The effects of organic material application on soil physical properties were reviewed in relation to soil productivity. The organic matter contents and soil physical properties of the cultivated land in Korea were summarized and the effects of organic matter were compared in terms of land uses and soil types. Soil physical properties related to crop yield potential, such as soil aggregation, permeability, water holding capacity, erodibility, and compactibility, were used in evaluating the effects of organic materials as a soil physical amendment. The benefical effects of organic matter addition on soil physical conditions include (1) better aeration and increased infiltration in silty and clayey soils, (2) increased water holding capacity and moisture availability in sandy soils, (3) decreased soil erodibility, and (4) increased resistance to compaction. It is, therefore, concluded that continuous application of organic materials could greatly improve the various soil physical properties and favor the growth and yield of crops. A high rate of organic matter addition could contribute to reducing not only the soil erosion on sloping land, but also the possible detrimental effect of farm mechanization. In general, the effects of organic matter on soil physical improvement were estimated to be much higher in upland than in paddy. Organic matter would have a more pronounced effect on low productive lands such as heavy clayey or sandy soils and newly reclaimed soil. The optimum level of soil organic matter content was estimated to be about 3.0 to 3.5% for the best soil physical condition. Since the organic matter contents of the cultivated lands in Korea are much lower than optimum level, it would be desiable to use more organic materials to soil for the increase of soil productivity, continuation of stabilized high productivity and soil erosion contro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