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납석

Search Result 69,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국내산 납석의 부존현황 및 광물특성

  • 노진환;고상모
    • Mineral and Industry
    • /
    • v.18 no.1
    • /
    • pp.1-17
    • /
    • 2005
  • 국내의 납석 광상은 대부분 백악기의 화산암류들이 열수변질되어 형성된 광상으로서, 주로 전남 및 경남 지역에 밀집되어 분포한다. 납석은 지질 여건상 주로 경상분지 내에 국제적인 규모의 풍부한 부존자원이 있지만, 그 동안의 개발에 의해서 고품위 황석들은 상당히 채진된 상황이다. 현재 개발되고 있는 광체들은 몇 곳의 광산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저품위 광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광체의 탐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앞으로 고품위 광석에 관한 한 국내의 수요를 충당하기 어려운 상황에 이를 것으로 예견된다. 현재 국내에서 납석으로 개발되고 있는 광석의 상당수(대략 $40\%$ 정도)가 엄밀한 의미에서는 사실상 납석이 아닌 고령토나 견운모 광석인 것으로 밝혀졌다. 엽납석을 함유하는 정상적인 형태의 납석들은 그수반 점토광물상에 의거하여 (l) 엽납석질, (2) 딕카이트질. (3) 일라이트질 및 (4) 딕카이트-일라이트질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고령토 광물로는 대부분 딕카이트가 수반되고 외국에서는 흔히 수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고령석은 거의 함유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석영은 납석에서 점토광물 못지않게 그 용도를 가름하는 주요 성분으로서 대부분의 광석 유형에서 수반되지만 특히 일라이트질 납석에서 흔히 그리고 보다 많이 수반되는 양상을 보인다. X-선회절 정랑분석법은 납석의 품위를 산정하는데 유력한 수단이 될 수 있다. 특히 납석 이외의 점토광물들의 조성, 특히 일라이트의 함유 정도는 납석의 용도별 품위와 품질을 가름하는 주요 사항이다. 화학분석에 의한 납석의 평가 방식은 특히 납석의 백색 도기류와 같은 각종 세라믹스 제조 용도에서의 품질 평가에 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하는 유력한 평가수단이다. 특히 착색유발 성분인 철분의 존재와 그 함량을 정하고 요업용도에서 중요한 $Al_3O_3$와 알칼리 성분 함량을 검증하는데 필수적인 평가 방법이다. 이외에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을 통해서 납석의 주요 품질 기준이 되는 극미립상 엽납석의 결정형, 조직 및 미시적 산출상태를 보다 정밀하게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현행 광업법상의 납석을 비롯한 관련 광종들의 광물분류 체계가 모호하게 설정되어 있고 관련 인허가 부서에서의 전문성 및 지도력 부족으로 관련 산업계에 심각한 비효율성과 오류가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납석의 광석평가 방식이 그 품위와 품질 개념 하에서 응용광물학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 PDF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and Designation of Key Beds for the Effective Surveys of the Jeonnam Pyrophyllite Deposits (전남일원 납석광상의 광물학적 특성과 효과적 탐사를 위한 Key Beds의 선정)

  • Yoo, Jang-Han;Kim, Yong-Ug;Lee, Gill-Jae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2 no.4
    • /
    • pp.297-305
    • /
    • 2009
  • Ores of the Jeonnam pyrophyllite province mainly consist of not only pyrophyllite but also kaolinite, and they usually contain minor amounts of muscovite and quartz. We usually call them as porcelaneous stones which usually show lower grade characteristics in the viewpoint of Korean nonmetallic industries. Mineralogical studies for the ores and their intimate formations revealed that another kind of clay minerals could have been produced from the volcanic sediments with similar ages and compositions. Corundum is commoner than the diaspore in the pyrophyllite deposits, and so diaspore can be regarded as one of temporary minerals from which corundum would be finally formed. Kaolinite deposits contain neither diaspore nor corundum, but alunites produced by an advanced argillic alteration are often observed in the upper portions of the kaolin ores. The lowest formation interbedded with pyrophyllite and/or kaolinite ores usually contain purple tuff bed on the uppermost part, and in ascending order, siliceous formation, fine ash tuff and lapillistone are found in the study areas. As ages are becoming younger, amounts of pyrophyllite and kaolinite are radically decreased, or disappeared completely. On the other hand, content of muscovite is slightly increased, and those of plagioclase feldspars and quartz are found to have been preserved from the original rocks during alteration process. Most of ore bodies show rather well bedded formations which are easily discernable in the outcrops, but more effective discremination is desirable where rather massive ores exist. Siliceous beds and purple tuff ones on the upper part of ore bodies would be useful as marker horizons or key beds which have distinct lithologies and extensions.

Feasibility of Pyrophyllite Ceramic Membrane for Wastewater Treatment and Membrane Fouling (국내산 납석기반 세라믹 멤브레인 수처리 적용 가능성 평가 및 파울링 현상관찰)

  • Park, Eunyoung;Jang, Hoseok;Choi, Nakcheol;Lee, Sungjae;Kim, Jeonghwan
    • Membrane Journal
    • /
    • v.26 no.3
    • /
    • pp.205-211
    • /
    • 2016
  • Performance of pyrophyllite-based ceramic membranes newly developed were investigated. Membrane fouling caused by microbial suspensions taken from a full-scaled MBR system at domestic wastewater treatment plant was observed at different airflow rate and distance between each membrane. For the pyrophyllite support, pore size was about $1.0{\mu}m$, but surface coating with $Al_2O_3$ solution decreased the pore size with the reduction of the pure water permeability. With the MLSS taken from the full-scaled MBR system (6 g/L), the fouling rate was decreased by increasing airflow rate under $20L/m^2{\cdot}hr$ of setpoint flux.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the airflow rate on the fouling control depends strongly upon the gap between each membrane. At fixed airflow rate, the fouling rate was decreased by increasing the gap between each pyrophyllite membrane. Nevertheless, further increasing the membrane distance from 3.5 to 5.4 cm resulted in higher fouling rate. Similar result was observed with the $Al_2O_3$ coated-pyrophyllite membrane. Nevertheless, the fouling rate was lower with the coated membrane than that observed with the uncoated pyrophyllite support. Regardless of surface coating, the suspended solids were removed almost completely and the surface coating on the pyrophyllite support improved organic rejection with PEG solution (MW : 8000 kDa) tested.

Distribution of Agalmatolite Mines in South Korea and Their Utilization (한국의 납석 광산 분포 현황 및 활용 방안)

  • Seong-Seung Kang;Taeyoo Na;Jeongdu Noh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33 no.4
    • /
    • pp.543-553
    • /
    • 2023
  •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a agalmatolite mines in South Korea was investigated with a view to establishing a stable supply of agalmatolite and managing its demand. Most mined agalmatolite deposits were formed through hydrothermal alteration of Mesozoic volcanic rocks.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pyrophyllite, the main constituent mineral of agalmatolite, are as follows: specific gravity 2.65~2.90, hardness 1~2, density 1.60~1.80 g/cm3, refractoriness ≥29, and color white, gray, grayish white, grayish green, yellow, or yellowish green. Among the chemical components of domestic agalmatolite, SiO2 and Al2O3 contents are respectively 58.2~67.2 and 23.1~28.8 wt.% for pyrophyllite, 49.2~72.6 and 16.5~31.0 wt.% for pyrophyllite + dickite, 45.1 and 23.3 wt.% for pyrophyllite + illite, 43.1~82.3 and 11.4~35.8 wt.% for illite, and 37.6~69.0 and 19.6~35.3 wt.% for dickite. Domestic agalmatolite mines are concentrated mainly in the southwest and southeast of the Korean Peninsula, with some occurring in the northeast. Twenty-one mines currently produce agalmatolite in South Korea, with reserves in the order of Jeonnam (45.6%) > Chungbuk (30.8%) > Gyeongnam (13.0%) > Gangwon (4.8%), and Gyeongbuk (4.8%). The top 10 agalmatolite-producing mines are in the order of the Central Resources Mine (37.9%) > Wando Mine (25.6%) > Naju Ceramic Mine (13.4%) > Cheongseok-Sajiwon Mine (5.4%) > Gyeongju Mine (5.0%) > Baekam Mine (5.0%) > Minkyung-Nohwado Mine (3.3%) > Bugok Mine (2.3%) > Jinhae Pylphin Mine (2.2%) > Bohae Mine. Agalmatolite has low thermal conductivity, thermal expansion, thermal deformation, and expansion coefficients, low bulk density, high heat and corrosion resistance, and high sterilization and insecticidal efficiency. Accordingly, it is used in fields such as refractory, ceramic, cement additive, sterilization, and insecticide manufacturing and in filling materials. Its scope of use is expanding to high-tech industries, such as water treatment ceramic membranes, diesel exhaust gas-reduction ceramic filters, glass fibers, and LCD panels.

An Investigation of the Transformation Sequence from Pyropyllite to Mullite by EF-TEM (EF-TEM을 이용한 납석-뮬라이트의 상변이 특성)

  • 이수정;김윤중;문희수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38 no.2
    • /
    • pp.199-206
    • /
    • 2001
  • 납석-뮬라이트의 상변이 과정을 주로 에너지여과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납석은 (OH)를 읽고 pyrophyllite dehydroxylate로 된 후 뮬라이트와 크리스토발라이트로 상변이한다. Pyrophyllite dehydroxylate의 장주기 질서는 105$0^{\circ}C$에서도 유지된다. 생성 초기단계에서 뮬라이트는 pyrophyllite dehydroxylate에 대해 topotaxy를 보이며, elongation direction이 c*인 침상 결정으로 자라기 때문에 textured ED pattern을 나타낸다. Pyrophyllite dehydroxylate는 120$0^{\circ}C$에서 완전히 분해되어 뮬라이트의 결정 성장과 비정질 실리카로부터 크리스토발라이트의 생성이 이루어진다.

  • PDF

국내 납석의 수급분석

  • 이경한
    • Mineral and Industry
    • /
    • v.15 no.1
    • /
    • pp.15-24
    • /
    • 2002
  • 납석은 전남 일대를 중심으로 약 5,200만 톤이 부존 되어 있고 매년 약 80-90만 톤씩 생산되고 있어 , 국내 비금속광 중 생산액 순으로 4위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수요의 대부분은 국내에서 조달하고, 생산량의 약 30% 정도를 수출하고 있지만 최근에는 고품위 광석을 중심으로 수입이 증가하는 추이를 보이고 있다. 방석의 국내 수요도 과거에는 내화벽돌용이 주를 이루었지만 근래에는 유리 장성유용이 가장 큰 시장역할을 하는 것으로 변모하였다. 물량만으로는 시멘트 부원료용이 가장 많지만 가격이 낮아 시장규모는 별로 크지 못하다. 시장가격을 기준으로 추정한 국내 납석시장의 규모는 수출시장을 포함할 경우 200억 원 규모이지만 소수의 상위 생산광산에서 주요한 시장을 차지하고 있어 다수의 소규모 광산들은 약 40억원 정도의 시장을 두고 경쟁하고 있다. 납석은 저가 광물인 만큼 고부가가치화를 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다량 부존되어 있는 저품위광을 활용하기 위한 노력과 다른 비금속광물과의 경쟁력을 지닐 수 있도록 분체물을 처리하는 분야의 연구 역시 필요할 것이다.

  • PDF

The Characterization of Pyrophyllite Based Ceramic Reactive Media for Permeable Reactive Barriers (투수성반응벽체 적용을 위한 납석광물 기반 세라믹 반응매질의 특성평가)

  • Cho, Kanghee;Kim, Hyunsoo;Choi, Nag-Choul;Park, Cheon-Young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1 no.4
    • /
    • pp.227-234
    • /
    • 2018
  • In this work, we have prepared the reactive media with the pyrophyllite based using ceramic extrusion process. The characteristics of pyrophyllite were analyzed using XRD, XRF, DSC-TGA and Zeta-potential analysis. The study of pyrophyllite based ceramic reactive media were conducted under various roasting temperature (500 to $1,300^{\circ}C$) conditions. With increasing the roasting temperature, strength was increased but BET surface area was decreased. Thermally treated pyrophyllite were analyzed by means of weight loss and structural changes as detected by using XRD, DSC-TGA and SEM analysis. Pyrophyllite primarily transforms to pyrophyllite dehydroxylate after roasting at $1,000^{\circ}C$. Pyrophyllite dehydroxylate transforms to mullite and cristobalite at $1,300^{\circ}C$.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pyrophyllite could be used as a reactive media for ceramic support layers from Permeable Reactive Barriers.

임기광산 주변 수질특성 변화연구

  • 임길재;정영욱;지상우;홍성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9a
    • /
    • pp.385-389
    • /
    • 2004
  • 임기납석광산 폐석적치장 상부의 계곡수로부터 폐석적치장 하부인 수영강 합수지점까지 수계를 따라 물시료 12개 지점을 대상으로 수질 및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수행하였다. 폐석적치장으로부터 pH가 2.83이고 Fe, Al, Mn 등으로 심하게 오염된 산성배수가 유출되어 계곡수를 오염시키며 수계의 수질은 $Ca^{2+}$-SO$_{4}$$^{2-}$ 형태로 변화되고 폐석적치장 주변 수로에 적화현상을 유발하고 있다. 또한 안정동위원소 분석결과 임기납석광산 인근 수계에 가장 큰 오염부하를 유발하는 요소인 침출수(산성배수)의 기원은 강수기원으로 판단된다. 이는 폐석침출수 오염원 평가 및 처리에 유용한 자료로 이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