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남자대학생

검색결과 386건 처리시간 0.024초

도시 거주 남자 대학생의 자각적 내한내열성과 체온조절 행동 (Thermoregulatory Behavior and Self-identified Thermal Tolerance of Young Males Residing in Urban Area)

  • 김다미;정다희;박준희;이주영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45-263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thermoregulatory behavior of young males in terms of self-identified thermal tolerance. We recruited 436 male students from Seoul ($24.0{\pm}4.6yr$ in age, $175.3{\pm}5.5cm$ in height, $70.1{\pm}10.6kg$ in body mass, and $23.0{\pm}2.7$ in BMI) in accordance with four types of self-identified thermal tolerance: 1) tolerable of both cold and heat, BCH (N=15); 2) heat tolerable only, HTO (N=118); 3) cold tolerable only, CTO (N=162); and 4) neither cold nor heat tolerable, NCH (N=141).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55 questions regarding preference to cold or heat environment, seasonal thermoregulatory behaviors including clothing habits, seasonal sleeping environments, health care/physical fitness, and anthropometric items. The results showed that: 1) BCH preferred less auxiliary heating devices, gloves/hats, or thermal underwear in winter and had very few experiences with cold/heat injuries or catching a cold, whereas NCH showed the opposite behavior and experiences as BCH; 2) thermoregulatory behaviors were not symmetrical between summer and winter. Most male students preferred cold beverage/foods to using cooling devices to lower body temperature in summer, whereas auxiliary heating devices were preferred to warm beverage/foods to maintain body temperature in winter; 3) thermoregulatory behaviors of NCH had more items in common with HTO than CTO, while the behaviors of BCH were more closely related to CTO than the behaviors of BCH were more closely related to CTO than HTO. Overall, we confirmed that thermoregulatory behaviors were apparently classified by self-identified thermal tolerance, and such behaviors could be adjusted by improving cold or heat tolerance.

강원 영동지역 일부 남자 대학생에서 기숙사 거주와 자취에 따른 식습관 및 가공식품 이용관련 식행동 조사 (Food Habits and Dietary Behavior Related to Using Processed Food among Male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Dormitory and Self-boarding in Gangwon)

  • 김미현;김현;이우근;김순주;연지영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72-385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ood habits and dietary behavior related to using processed food among male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dormitory and self-boarding in Gangwon. A total of 344 students (dormitory group: 227, self-boarding group: 117) were surveyed from May to June of 2012.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self-boarding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skipping breakfast and lunch and frequency of out meal compared with the dormitory group (p < 0.05, p < 0.05, p < 0.05 respectively). The self-boarding group had a significantly lower the score of 'eat vegetables and Kimchi at every meal' (p < 0.001) and 'eat a variety of food everyday' (p < 0.001) compared with the dormitory group. The self-boarding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the preference for meat products (p < 0.05) and canned food (p < 0.01) for selecting processed food compared with the dormitory group. The consideration for selecting processed food was ranked by 'taste', 'price', 'expiration', 'appearance' and 'nutrition' in both dormitory and the self-boarding group. In the dormitory group, nutrition labels were identified certainly 2.6%, sometimes 12.8%, and rarely 17.2%. In the self-boarding group, nutrition labels were identified certainly 1.7%, sometimes 18.0%, and rarely 24.8%. The necessity of nutrition education was high in both dormitory group (51.6%) and the self-boarding group (62.4%). Therefor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program and application of the information from nutrition labels for male college students, especially self-boarding students will be effective in improving dietary life in order to maintain healthy dietary habits.

숨긴정보검사에서 불안의 역할 : fMRI 연구 (Role of Anxiety in Concealed Information Test : an fMRI study)

  • 음영지;엄진섭;박광배;손진훈
    • 감성과학
    • /
    • 제14권2호
    • /
    • pp.227-234
    • /
    • 2011
  • 본 연구는 정보를 숨기려는 의도가 있을 때의 뇌 가능을 알아보고자 한다. Kubo와 Nittono(2009) 그리고 Verschuere와 동료들(2009)은 P300 진폭을 이용하여 정보를 숨기려는 의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정보를 숨기려는 '의도'가 있를 때 뇌 기능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 관찰하고자 하여 19명의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실험 참가자 본인의 이름을 숨긴정보로 하여 숨기려는 의도가 있는 조건과 숨기려는 의도가 없는 조건에서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숨기려는 의도가 있는 조건에서 숨기려는 의도가 없는 조건에 비해 전측대상이랑(Rt. ACC)과, 좌측 안와전전두피질(Lt. OFC)에서 더 큰 활성화가 관찰되었다. ACC는 선행 fMRI 연구에서 거짓말에 특정적인 처리가 이루어지는 영역으로 알려져 있는 영역이다. OFC는 불안, 공포, 및 죄책감과 같은 정서반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영역이다. 숨기려는 의도가 있는 조건에서는 거짓말이 탄로 날지도 모른다는 생각 때문에 불안 반응이 나타나게 되고, 이는 OFC의 활성화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PDF

공간 과제 수행 시 고농도 산소 공급에 의한 변연계 활성화에 관한 연구 (Activation of Limbic Area due to Oxygen Administration during Visuospatial Task)

  • 최미현;이수정;양재웅;김지혜;최진승;탁계래;정순철;김현준
    • 감성과학
    • /
    • 제12권4호
    • /
    • pp.443-45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공간 과제 수행 시 21%의 산소 농도와 30%의 고농도 산소 공급이 변연계의 활성화에 어떠한 변화를 유발하는지 관찰하였다. 총 8명의 오른손잡이 남자 대학생을 본 연구의 실험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공간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3T MRI 를 이용하여 뇌기능 영상을 획득하였다. 실험은 21%의 일반 공기 중의 산소 농도와 30%의 고농도 산소를 각각 공급하면서 공간 인지 과제를 수행하는 두 개의 회기로 구성된다. 변연계를 대상이랑(cingulate gyrus), 시상(thalamus), 변연엽(limbic lobe), 시상하부(hypothalamus), 해마(hippocampus), 해마방회(parahippocampa gyrus), 편도(amygdala), 유두체(mammilary body)의 8 개의 영역으로 분리하여 뇌 활성화 영역을 비교하였다. 공간 과제 수행 시 두 가지 산소 농도에 따른 변연계의 활성화 영역은 거의 동일하였다. 그러나 21%의 산소 농도에 비해 30%의 고농도 산소 공급 시 대상이랑(cingulate gyrus)과 시상(thalamus) 영역에서 활성화가 증가하였다. 즉, 30%의 고농도 산소 공급 시 공간 인지 수행 능력의 증가는 공간 인지 처리와 관련이 있는 대뇌 피질 뿐만 아니라 시상(thalamus)과 대상이랑(cingulate gyrus) 같은 피질하 영역에서의 신경 활성화의 증가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체육전공 신입생들의 체질량지수, 신체이미지, 식사태도 및 신체활동량 조사 (The Investigation of Body Mass Index, Body Image, Eating Attitude, and Physical Activity in Physical Education Freshman)

  • 윤병곤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709-718
    • /
    • 2018
  • 본 연구는 체육전공 남녀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신체이미지, 식사태도 및 신체활동량의 차이와 상관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남녀 체육전공 신입생 595명(남녀: 341 vs. 254)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대상자들은 신체이미지(Body sahpe questionnaire; BSQ), 식사태도(Eating attitude test-26; EAT-26), 및 신체활동(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s; IPAQ)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체질량지수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정상체중은 67.2%로 나타났으며, 저체중은 5.4%, 과체중과 비만이 17.8%, 9.6%로 나타났다. 남학생들의 57.7%와 여학생들의 78.7%는 정상체중으로 분류되었다. BSQ 검사 결과 총 대상자 중 불만족의 비율은 48.2%로 나타났으며, 남학생 22.9%와 여학생 82.3%가 불만족으로 나타났다. EAT-26 검사 결과 전체 20.2%가 비정상적인 식사태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남학생과 여학생의 비율은 7.3% vs. 37.4%로 나타났다. 신체 활동량 조사 결과 99%의 대상자들이 활동적으로 조사되었다. BMI, BSQ, EAT-26, 그리고 신체활동량은 남녀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신체이미지와 식사태도는 남녀 대상자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체질량지수는 남자 대상자들에서만 신체이미지와 식사태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신체활동량은 남녀 모두에서 다른 변인들과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체육전공 대학생들의 신체불만족과 비정상적인 식사태도의 비율이 높으며, 신체이미지의 불만족이 높을수록 비정상적인 식사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이에 적합한 교육과 사회적 인식의 전환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와 단초점렌즈의 근거리 대비감도 비교 (Comparison of Contrast Sensitivity at Near Between Functional Progressive Addition Lenses and Sigle Vision Lenses)

  • 김창진;김현정;김재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81-388
    • /
    • 2010
  • 목적: 단초점렌즈를 착용했던 노안 이전의 젊은 사람에게 낮은 가입도로 설계된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를 2개월동안 교체 착용하게 하여 기존의 단초점렌즈와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와의 근거리 시각적 능력을 평가하는 대비감도 검사를 비교 분석하여 임상적인 성능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질환이 없는 평균연령 24.03${\pm}$1.87세의 대학생 32명(남자 23명, 여자 9명)을 대상으로 하여 단초점렌즈와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EYE-T, $Chemilens^{(R)}$ Co., Korea, 가입도 0.75D)를 2개월 동안 착용하게 하였다. 이때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 착용 직후(1차)와 착용 2개월 후 (2차)에 원, 근거리 교정시력 측정, 근거리 대비감도 검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기능성 누진가입도 렌즈 착용 전과 착용 2개월 후에 측정하여 비교한 근거리 대비감도는 모든 공간주파수 영역에서 우안, 좌안, 양안 모두 단초점렌즈보다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를 착용하였을 때 근거리 대비감도가 높게 측정되었다. 결론: 근거리에 관련된 시각적 능력과 질을 평가하는데 대비감도 검사가 유용하고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파워보행과 일반보행 시 하지근의 근전도 비교 분석 (The Comparative Analysis of EMG Activities on the Lower Limb Muscles during Power Walking and Normal Walking)

  • 기세준;채원식;강년주;장재익;윤창진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25-133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파워보행 시 하지근의 근활성 정도를 비교 분석하고자 근전도 측정을 통해 파워보행과 일반보행 시 하지근비 평균적분 근전도 및 최대적분 근전도를 측정하였다. 피험자는 근골격계에 이상이 없는 남자 대학생 17명으로 선정하였으며, 실험 간 140 beat/min속도로 보행을 실시하였다. 일반보행 동작과 파워보행 동작의 구간별 근전도치를 비교해 본 결과 일반보행 동작 시 보다, 강하고 힘차게 걷는 파워보행 동작 시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하지근의 대부분 근육활동이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보행 동작에서 주동근이 되는 대퇴직근 내측광근, 외측광근의 활동이 일반보행 동작보다 파워보행 동작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발이 지면에서 떨어지기 전 지면을 힘껏 밀 때 사용되어지는 내측비복근, 외측비복근에서, 발뒤꿈치가 지면에 닿을 때 사용되어지는 전경골근에서 일반보행동작보다 파워보행 동작에서 전체적으로 통계적으로 높은 유의한 근육활동이 나타났다. 이는 파워보행 동작이 일반 보행 동작보다 더욱 많은 근육활동을 유발시킴으로 하지근의 근육강화 및 에너지 소비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는 유산소 운동으로써 파워보행을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파워보행 동작이 건강유지와 다이어트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일반보행 보다 더 높은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성인 계단보행 시 계단 너비에 따른 하지의 운동역학적 분석 (A Kinetic Analysis of the Lower Extremity during Walking on Three Different Stair width in Healthy Adults)

  • 전현민;류지선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61-169
    • /
    • 2008
  • 이 연구는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계단 너비에 따른 계단 보행의 지지국면 시 하지분절의 역학적 변인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보다 효과적인 계단의 너비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으며, 이를 위해 20대의 남자 대학생 10명이 참여하였다. 계단의 높이는 18cm, 최소폭은 90cm로 동일하나 디딤면의 너비가 각각 26cm, 31cm, 36cm인 세 개의 계단을 사용 하였다. 이때 사용된 계단의 세 번째 디딤면에 지면반력기를 설치하여 지지구간의 하지관절 모멘트를 분석한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상향계단보행에서 발목관절의 굴곡/신전 모멘트변화를 분석한 결과 계단의 너비가 증가 할수록 pull-up 단계의 peak 모멘트가 감소하였으며(p<.05), 무릎관절에서는 굴곡/신전 모멘트를 분석한 결과 계단의 너비가 증가할수록 무릎에 작용하는 신전모멘트가 중지지기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그러나 고관절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하향계단보행에서 발목관절의 굴곡/신전 모멘트를 분석한 결과 계단의 너비가 증가할수록 지지기 동안 저측굴곡과 배측굴곡의 차이가 확연히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5), 무릎관절과 고관절에서는 굴곡/신전 모멘트를 분석한 결과 계단의 너비에 따라 신전 모멘트의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 대학생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경험 (A Study of Male Student Stress Caused by Interpersonal Relations)

  • 최미혜;김경희;정혜경;염순교;권혜진;정연강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3-74
    • /
    • 199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show in interpersonal relations what factors male students are stressed from, how they experience stress, how they cope With it in each situation, and what this results in It attempt to gam basic materials to promote male student health and positive coping method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15 male students of C University located in Seoul and Kyeonggui-Do They were composed of 5 sophomores, 5 Juniors and 5 seniors The period for collecting materials was October 1997 to January 1998, and the interview time ranged from 50 minutes to two hours The interview frequency was one to three times as occasion demanded, The materials were analyzed by the methods and theory suggested by Strauss & Corbin (1990) The results were 130 categories grouped into 33 divisions by similarity Finally, they were united into 9 higher categor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 the core category of male student stress is "affliction", and it follows the course of generation-coping-resolution The types showed in the course of material analysis are as follows, (1) When the subject student is on good terms with the other and the stress is repeated- "affliction" is strong and continuous-and his ability sense is strong, he copes with "affliction" With his own will and solves It affirmatively, (2) When the subject student is on good terms with the other and the stress is repeated-so "affliction" is strong and continuous-and his ability sense is weak, he copes with "affliction" with an emotional bias and solves it negatively (3) When the subject student is on good terms with the other and the stress is temporary-"affliction" is strong and temporary-and his ability sense is strong, he copes with "affliction" with his own will and solves it affirmatively (4) When the subject student becomes estranged from the other and the stress is temporary-"affliction" is weak and temporary-and his ability sense is weak, he copes with "affliction" with an emotional bias and solves it negatively, (5) When the subject student becomes estranged from the other and the stress is repeated-"affliction" is strong-and continuous and his ability sense is strong, he copes with "affliction" with his own will and solves it affirmatively (6) When the subject student becomes estranged from the other and the stress is repeated-"affliction" is strong and continuous-and his ability sense is weak, he copes with "affliction" with an emotional bias and solves it negatively.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e conditions of cause and effect for male students to generate "affliction" should be understood in order to help cope with stress caused by interpersonal relations A program for education and counseling should be developed for male students to strengthen their 'ability sense' in choosing coping strategies In addition, the individual estimation for ability sense should be performed when education and counseling them.

  • PDF

과라나 섭취가 장시간 운동 시 혈중 에너지 기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gestion of Guarana on the Change in Blood Energy Substrate During Exercise for a Long Time)

  • 남상남;이겨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581-588
    • /
    • 2014
  • 본 연구는 장시간 운동 시 과라나 섭취를 통하여 혈중 에너지 기질이 운동 보조수단의 한 방법으로 운동보조제(ergogenic aids)의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활용가능성을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 대상자는 H대학교 재학 중인 중 장거리 육상 전공 남자 대학생으로 하였으며, 피험자들은 최대 심박수 기준 각 개인의 HRmax 70%의 운동 강도로 Polar(Finland)를 이용하여 60분간 트레드밀 운동을 실시하였다. 과라나 및 수분 섭취 시점은 운동 30분전, 운동시작, 20분, 40분, 운동 직후 60분으로 1회 투여량은 $200m{\ell}$씩 총 5회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채혈은 운동 30분전, 운동 직후 60분, 회복기 30분에 걸쳐 총 3회 채혈을 하였다. 자료처리는 과라나섭취, 수분섭취와 처치시기(운동전 운동 중 휴식 시)간에 따른 반복측정에 의한 이원변량분산분석(two-way repeated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글루코스, 유리지방산, 젖산에서 수분섭취보다 과라나 섭취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과라나가 운동보조제(ergogenic aids)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과라나 섭취를 통해서 에너지 저장량을 증가시켜 운동수행능력을 향상시킬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