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남부

Search Result 2,69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Effect of Planting Date on the Growth and Yield of Corn (Zea mays L.) in the Southern Paddy Field (남부지역의 논에서 옥수수의 파종시기에 따른 생육 특성 및 수확량 변화)

  • Seo Young Oh;Jong Ho Seo;Jisu Choi;TaeHee Kim;Seong Hwan Oh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79-79
    • /
    • 2022
  • 옥수수(Zea mays L.)의 생육 및 수확량은 온도, 일장, 강수량 등에 의해 영향을 밭는다. 본 연구에서는 남부지역 유휴 논을 이용하여 파종시기를 달리하여 옥수수를 재배하였을 때 생육 특성과 수확량을 분석하여 적정 파종시기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3월 하순에서 6월 중순까지 6차로 구분하여 파종하였을 때 출사일수와 성숙일수는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짧아졌다. 옥수수는 단일 및 고온 조건에 의해 생식생장으로의 전환이 빨라지는데, 본 연구에서도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단일과 고온에 의해 출웅과 출사가 촉진되었다. 간장과 착수고는 4월 상순까지는 높으나 파종이 지연됨에 따라 짧아졌다. 옥수수의 수량구성요소 중에 이삭장은 5월 하순까지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나 6월에 파종하였을 때에는 짧아졌으며, 이삭직경과 착립장도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가늘어지고 짧아져, 파종이 지연되었을 때 생육이 부진함을 알 수 있다. 이삭의 수확량은 4월 상순까지 파종하였을 때에는 800kg/10a 이상으로 높으나,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점차 감소하여 6월 중순에는 40% 이상 크게 감소하였다. 이는 수량구성요소 중에 이삭장, 이삭직경과 착립장 등 이삭 발달의 부진한 결과이다. 그리고 이삭을 제거한 지상부의 무게는 5월 하순까지의 파종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나 6월에는 큰 폭으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영양생장 기간이 짧아짐에 따른 결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남부지역 논에서 옥수수를 재배할 때에는 늦어도 5월 중·하순까지는 파종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남부 말레이반도 물류시장 현황 조사: 말레이시아를 중심으로

  • 이재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233-235
    • /
    • 2022
  • 남부 말레이반도 국가들 중 말레이시아를 중심으로 물류시장의 현황 및 비즈니스 환경을 파악하고 SWOT 분석을 토대로 우리나라 기업들의 말레이시아 물류시장 진출 전략을 제안한다.

  • PDF

벼 아종간 Stay-Green(SGR) 유전자의 염기서열 차이가 수량에 미치는 영향 구명

  • Sin, Dong-Jin;Lee, Si-Cheol;Kim, Tae-Heon;Lee, Jong-Hui;Park, Jun-Heum;Lee, Jin-Won;Lee, Ji-Yun;Jo, Rae-Hyeon;Choe, Jae-Yeong;Lee, Won-Hui;Park, Ji-Hwan;Lee, Dae-U;Ito, Hisashi;Kim, Dae-Heon;Tanaka, Ayumi;Jo, Jun-Hyeon;Song, Yu-Cheon;Hwang, Dae-Hui;Purugganan, Michael D.;Jeon, Jong-Seong;An, Jin-Heung;Nam, Hong-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Conference
    • /
    • 2019.09a
    • /
    • pp.28-28
    • /
    • 2019
  • PDF

Vertical distributions of dissolved eu and Ni in the central East Sea (동해 중앙 해역의 용존 Cu와 Ni의 수직적 분포)

  • Yang, Jae-Sam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2 no.2
    • /
    • pp.117-124
    • /
    • 1997
  • Vertical profiles of dissolved Cu and Ni at the upper 400 m water layer have been determined at two stations in the central East Sea in October 1995.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trace metals in Korea. Copper concentrations are in the range of 2.1~5.8 nmol/kg and 1.6~2.4 nmol/kg for stations S and N, respectively. The vertical profile of Cu at S is found a scavenging type (i.e., drastic decrease with increasing depth). Concentrations of Ni range from 4.3 to 7.1 nmol/kg and from 3.4 to 5.4 nmol/kg for stations Sand N, respectively. At station S, Ni is best correlated with phosphate, but not at stations N. Such difference between two stations are probably due to their different vertical distribution of water masses. Station S has a strongly stratified water column with 6 distinct water masses, but station N with a well-mixed subsurface water layer extending from 50 to 300 m depth. Extremely low salinity (31.87~31.96 psu) found at the surface water of station S was interpreted as a result of the Yangtze River effluents which were probably fed into the East Sea through the Korea Strait during the late summer. Such seasonal appearance of low salinity in southern part of the East Sea was reported previously. The concentrations of Cu and Ni at two sites are comparable to those reported in the North Pacific. It was found that Ni mostly exist as dissolved pha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