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남부지역

Search Result 1,24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지역건축탐방(12) - 진주ㆍ마산ㆍ창원

  • Go, Seong-Ryong
    • Korean Architects
    • /
    • no.6 s.362
    • /
    • pp.77-109
    • /
    • 1999
  • 경남지역 역사이래 구한말까지 지역중심도시였으나 근대화의 길에서 빗겨나간 1천년 역사도시 진주, 개화기부터 제3공화국까지 경남의 산업도시로서 지역발전에 중심역할을 다하고 있는 산업도시 마산, 그리고 정치적 결단으로 재빠르게 건설된 계획도시이며 경남도청소재지인 행정도시 창원. 각 도시가 살아온 배경이 너무나 다른 세 도시를 하나의 권역으로 묶어 논하기는 정말 어렵지만 경남 남부지역의 거점도시들로서 각 도시들이 띠고 있는 지역적 특성과 건축의 모습, 그리고 각 도시에서 지역적 특성들을 만들어내고 있는 지역건축가들을 개관한다. 아울러 경남 남부지역건축의 지역성은 가능한가에 대해 토론하며 지역의 정체성을 찾아보아 진주 ㆍ마산ㆍ창원으로 대표되는 경남남부 지역의 도시건축의 미래와 발전방향을 가름한다.

  • PDF

중부권지역에 식재 가능한 남부수종 도입

  • Baek, Seung-Dae
    • Landscaping Tree
    • /
    • s.104
    • /
    • pp.10-13
    • /
    • 2008
  • 지구의 온난화 특히, 도심지의 동절기 기온상승 등으로 난.온대 수종들의 식재 북방한계가 올라가고 있으므로 이제는 중부권지역에서도 남부수종의 활용이 가능하다고 본다. 따라서 본인은 오래전부터 서울경기지역 조경관련 지인들에게 몇몇 남부수종의 식재를 권유해 오고 있으며 중부권에 남부수종을 식재하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연구와 검토가 사전에 필요하고 세심하고 철두철미한 준비가 뒷받침 되어야 하므로 지금까지의 경험상을 토대로 남부수종에 관한 소개와 몇 가지 참고사항을 전하고자 한다.

  • PDF

PmP파의 주행시간을 이용한 한반도 남부지역의 지각두께 연구

  • 박종찬;함인경;김우한;최광선
    •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Union of Geodesy And Geophysics Kore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Conference
    • /
    • 2003.05a
    • /
    • pp.21-21
    • /
    • 2003
  • 국내 지진관측망에 기록된 지진기록으로부터 관측한 PmP파의 주행시간을 이용하여 한반도 남부지역에서의 지각두께를 추정한다. 모호면으로부터 반사된 파형인 PmP파의 주행시간은 지각두께와 속도구조에 의존한다. 만약 실제 지각의 평균속도와 모델속도 사이의 차이가 작다고 가정하면, 계산한 주행시간과 실제 지진기록으로부터 관측한 주행시간의 상대적인 차이는 반사점에서 지각의 상대적인 두께차이에만 의존한다. 따라서 PmP파가 반사된 지점에서의 지각두께는 주행시간의 상대적인 차이가 표본추출간격보다 작은 값을 가질 때까지 지각두께를 변화시켜줌으로서 계산되어진다. 계산결과 한반도 남부지역에서의 지각두께는 지리산 부근 지역이 가장 두껍고 경상분지 지역이 가장 얇으며 호남지역은 중간 두께를 나타낸다.

  • PDF

A Study on the Tourism Structure of the Southern Region in Kangwon Province (강원 남부지역의 관광구조에 대한 연구)

  • 김선희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8 no.2
    • /
    • pp.257-274
    • /
    • 2003
  •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tourism structure of the southern region in Kangwon province and to correct the problems regarding the subject. The methods of comparison and analysis on structural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ourists, tourism resources, and tourism industry by region have been employed. It was found that the southern region of Kangwon province has many advantages for tourism industry including excellent transportation networks such as Kangnws and Wonju and tourism demands are great for coal mines in the region including Chongson, Taebaek, and Samchok. Accordingly, tourism in the region has witnessed a distinctive increase in recent years. On the other hand, excessive dependence on nature-based tourism, concentration of tourism demands only during summer season, and insufficient tourism facilities are found to be problems. This study also found that for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s in the southern region of Kangwon, categorization and diversification of tourism resources, development of combined programs connecting Kangwon province to other regions, improvement of tourism facilities, expansion of tourism market, and smaller division of tourism area are necessary.

A study on the flat-bottom pottery culture in the early Neolithic Age focusing on Goseong Munam-ri site (고성 문암리유적(古城 文岩里遺蹟)을 통해 본 신석기시대 평저토기문화의 전개)

  • Kim, Eun-young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0
    • /
    • pp.169-205
    • /
    • 2007
  • Owing to the excavation of Goseong Munam-ri site, there has much advance in study of chronology of the early Neolithic Age flat-bottom potteries distributed in the mid-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r. Relics such as stone tools, clay products, ornaments as well as potteries from Goseong Munam-ri site reflect cultural relation with Boisman culture in Duman river basin area and with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r. Common features can be found in some potteries, arrowheads, scrapers, and sinkers from Boisman culture and Goseong Munam-ri site. There are much more common features in pottery and earring-making techniques observed in Goseong Munam-ri site and the southern part of the peninsular. Thus it may be possible to analogize migration or spread of people from the mid-eastern part to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r.

남부권 광학산업 발전을 위한 기술교류 세미나 및 간담회

  • Park, Ji-Yeon
    • The Optical Journal
    • /
    • s.112
    • /
    • pp.42-45
    • /
    • 2007
  • 한국광학기기협회(회장.이중구/삼성테크윈 대표이사 사장)는 10월 23일 마산 리베라호텔 스카이홀에서 남부지역 협회 회원사 관계자들을 초청, 기술교류 세미나 및 간담회를 가졌다. 남부지역 광학업체들의 기술 교류 및 지역의 광학산업 발전을 위해 지난해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열린 이번 행사에서는 일본 전문가 및 국내 광학업체 실무자로부터 최근의 광학산업의 흐름 및 양국의 광학기술 동향에 대해 들어보는 시간이 마련되었다.

  • PDF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impacts on uncertainty and sensitivity of paddy water requirement in South Korea using multi-GCMs (Multi-GCMs을 활용한 논벼 필요수량의 불확성 및 민감도 기후영향평가)

  • Yoo, Seung-Hwan;Lee, Sang-Hyun;Choi, Jin-Yong;Yoon, Kwangsik;Choi, D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16-516
    • /
    • 2016
  • 기후변화는 농업생산량 감소와 식량 안보 문제와 같이 농업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농업수리 및 관개배수 시설 운영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농업 수자원 관리를 위해서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고려한 장기적인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논벼 지역의 설계용수량의 확률론적 분석을 통한 논벼 필요수량 및 설계용수량에 대한 기후변화영향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23개 GCM의 36개 산출물을 활용하여 Multi-model ensemble 구축하였다. 먼저 GCM별 증발산량과 유효우량을 산정한 결과 중부지역에서는 IPSL-CM5A 모델의 기후변화자료를 활용할 경우 증발산량과 유효우량이 타 GCM 모델들과 비하여 크게 산정되었다. 남부지역에서는 CanESM2 모델을 적용할 경우 가장 많은 증발산량과 유효우량이 모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GCM별로 다양한 결과가 모의되기 때문에 농업시설 설계에 적용되는 설계용수량의 경우 안전성을 위하여 Multi-GCM models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Multi-model ensemble의 RCP 4.5와 RCP 8.5 시나리오를 적용한 결과, 모든 경우에서 1995s(1981-2014)에 비해 설계용수량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증가율은 RCP 4.5에서 중부지역이 9.4%, 남부지역이 6.0%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RCP 8.5에서는 중부지역이 11.1%, 남부지역이 8.2%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러 GCM 산출물간의 불확실성은 RCP 4.5보다는 RCP 8.5 시나리오가, 중부 지역보다는 남부 지역이, 논벼 증발산량 보다는 유효우량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 미래 가뭄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농업 수자원관리 전략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기후변화 영향 평가에 있어서 적합한 GCM 자료를 선택하는데 있어, 불확실성을 가늠할 수 있는 유용한 척도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우리 나라 동굴의 지질과 환경 보전

  • 정창희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6.09a
    • /
    • pp.64-64
    • /
    • 1996
  • 석회동굴은 카르스트 지형 지역에서 지하 형성물로 나타나는 공동지역으로, 이 공동화된 공간에 2차적으로 석순, 석주, 종유석 등이 침전되어 생긴 동굴이다. 이런 카르스트 지형은 석회암 지층에서 용식작용으로 생겨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북쪽은 평안남도 동반지역과 함경남도의 남부서경지역, 황해도 서남부, 그리고 강원도 남부지역, 추가령 구조곡의 일부들이 해당한다. 그리고 남쪽은 문경 - 단양 - 제천 - 영월 - 평창 - 정선 - 삼척 - 강릉에 걸친 지역들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석회암동굴들은 그 대부분이 조선계 대석회암통의 막동 석회암 층에 분포되고 있다.(중략)

  • PDF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Importance of Crabgrass (Digitaria spp.) in the United States (미국내 바랭이의 지역적 분포와 잡초로서의 중요성)

  • ;Joseph C. Neal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
    • v.12 no.2
    • /
    • pp.99-106
    • /
    • 1998
  • 미국내에서 바랭이의 지역적 분포와 각 재배작물에서 잡초로서의 중요성을 자료화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17개의 배포된 설문지중 72개의 설문지가 회수되어 62%의 응답률을 보였다. 미극내의 농, 원예작물 재배지역에는 5종의 바랭이가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이들은 large, smooth, southern, india 그리고 blanket crabgrass 등이었다. 이들 중 약 50% 이상의 응답자가 large crabgrass를 가장 문제잡초로 인식하고 있었다. 지역적으로 smoth와 large crabgrass는 모든 위도에서 그 우점도가 인정된 반면, southern crabgrass는 우점도가 남부지역에 제한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바랭이는 다른 작물의 재배지역보다 잔디밭에서 그 문제가 보다 심각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남부지역의 잔디밭에서는 large, southern 그리고 smooth crabgrass의 순서로, 북부지역에서는 smooth crabgrass가 large crabgrass보다 잡초로서의 문제성이 큰 것으로 보고되었다.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종내변이성이 smooth와 large crabgrass에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응답하였으나, southern crabgrass내에는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