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난지도 매립지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7초

난지도 쓰레기 매립지의 침하 특성 (Settlement Characteristics of Nanji -Island Refuse Landfill)

  • 박현일;라일웅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3권2호
    • /
    • pp.65-76
    • /
    • 1997
  • 난지도 쓰레기 매립지 뿐만 아니라 대도시 주변 매립지의 사후활용 방안에 대한 관심이 점차로 고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난지도 쓰레기 매립지에서 2년여간 계측된 침하자료를 분석하여 침하양상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침하분석결과 난지도 쓰레기 매립지의 침하양상은 미국내 24개 매립지에 대해 분석된 침하경향과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계측된 침하자료에 대한 해석을 근거로 할 경우, Bjarngard와 Edgers의 침하모델이 난지도 매립지의 장기침하량 예측에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10년 후 장기침하량을 예측할 때 Bjarngard와 Edgers의 침하모델은 Power Creep Model과 상당한 예측의 차이를 보였다. 난지도 쓰레기 매립지 침하양상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단지 기존의 침하모델만을 사용하는 것은 장기침하량 예측시 상당한 오류를 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LandGEM을 이용한 난지도 매립지에서의 VOCs 배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 (Estimation of VOCs Emission from Nanjido Landfill by LandGEM)

  • 임지영;김기현;홍지형;선우영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23-224
    • /
    • 2003
  •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우리나라에서 현실적으로 적용하기 적합한 배출량 산정방법을 이용해 국내 최대규모의 비위생 매립지이며, 서울과 근접한 난지도 매립지에서의 VOCs 배출량을 산정하는 것이다. 난지도 매립지는 서울시 마포구 성산동과 상암동 일대에 위치해 있으며, 1977년 8월부터 매립이 시작되어 1992년 9월까지 총 15년 1개월간 매립되었다.(중략)

  • PDF

미기상학적 기법을 이용한 난지도 매립지에서의 수은, $CH_4$, VOC, $H_2S$, 및 $NH_3$의 Flux 측정

  • 김민영;신재영;김기현;이강웅;정일현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0-161
    • /
    • 2000
  • 난지도 육상폐기물매립지는 서울의 한강 하류부인 마포구 상암동에 위치하며 1매립지와 2매립지가 인접하여 1993년 3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15년간 이용되었으며 비분리방식에 의한 일반쓰레기는 물론이고 하수슬러지 및 산업폐기물 둥도 일부 매립되어 있는 매립지면적 2,715,000$m^2$, 매립면적 1,904,000$m^2$, 매립량 91,972,000$m^2$, 매립높이 95m로 세계최대의 비위생적 쓰레기 매립지 중의 하나로 매립중지 후 현재 8년이 경과하고 있다. (중략)

  • PDF

폐기물 매립지 주변의 지하수 오염과 오염물질의 지연 특성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Pollution and Contaminant Attenuation at Waste Disposal Sites)

  • 오석영;전효택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7-49
    • /
    • 1996
  • 이 연구에서는 난지도 매립지와 화성매립지를 연구대상으로하여 주변의 지하수 오염 정도를 파악하고, 오염물질들의 지연작용을 밝히며, 최적 오염지시인자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난지도, 김포, 화성 매립지에서 채취된 침출수에 대하여 현장측정과 실내 화학분석을 실시하여 침출수의 물리화학적 수리화학적 특성들을 파악한 결과 침출수는 높은 온도(31.7-40.1$^{\circ}C$)와 높은 전기전도도(14,650-32,800 $\mu$S/cm), 약 알칼리의 pH(7.58-8.45), 낮은 Eh값(-119.4-20.4 mV)을 특징적으로 보이며, 주성분 이온들로서 $Na^{+}$, $K^{+}$, $Ca^{2+}$, $Mg^{2+}$, HC $O_3$$^{-}$, C $l^{-}$ 등이, 부성분 이온들로서 Mn, S $r^{2+}$, $Ba^{2+}$, L $i^{+}$, $F_{-}$, B $r^{-}$ 등이 부화되어 있다. 일반폐기물 매립지인 난지도.김포 매립지의 침출수와 산업폐기물 매립지인 화성매립지의 침출수는 S $O_4$$^{2-}$ , Fe 중금속 원소들의 함량으로 구분된다. 지표수와 지하수의 화학분석, Cl 표준화과정, WATEQ4F 분석 등을 종합하여 앞서 연구된 유선망 분석을 바탕으로 오염물질의 거동을 해석하였다. 또한 Contamination Factor를 통하여 최적의 오염지시인자를 도출하였다. 일반페기물 매립지인 난지도 매립지의 경우 K, Na, Ca, Mg, B, Zn, HC $O_3$, Cl, F, Br, TOC 등이 , 산업 폐기 물 매립지인 화성 매립지의 경우 K, Na, Ca, Mg, B, S $O_4$, HC $O_3$, Cl, F, Br, TOC 등이 뚜렷한 대조를 보이는 좋은 오염지시인자이며, 해안 매립지는 TOC가 가장 적합한 오염지시 인자이다.

  • PDF

난지도 매립지의 수리지질학적 자료를 이용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및 활용 (Construction and Interpretation of a Hydrogeologic Data Base for the Nanjido Landfill)

  • 김윤영;이강근;정상용;이철효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80-94
    • /
    • 1996
  • 난지도 매립지는 매립층의 불균질성과 고온의 침출수 및 가스의 흐름이 동시에 복합적으로 일어나는 현상 때문에 수리지질학적으로 매우 복잡한 지역이다. 난지도 매립지의 복잡한 수리지질학적 시스템을 해석하기 위하여 조사 지역의 수리지질학적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리정보시스템에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이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몇 가지 현상들을 분석하였다.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디스크-장력 침투계(Disc Tension Infiltrometer)로 불포화대 수리 특성을 추정하였으며 가스 거동현상을 이 해하기 위해 지온을 측정하였다. 불포화대 수리특성과 기상자료를 바탕으로 매립지로의 순침투량을 추정하였다. 이것을 근거로 총 침출수 발생량을 추정하였으며, 기저 지하수면 상부에 분포하는 포화 침출수대, 소위 부유침출수의 생성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도 수행하였다.

  • PDF

난지도 매립지의 침출수와 가스 거동에 관한 수리 지질학적 해석

  • 김윤영;이강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996년도 경북지부 결성 및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02-105
    • /
    • 1996
  • 난지도 매립지는 매립충의 불균질성과 고온의 침출수 및 가스의 흐름이 동시에 복합적으로 일어나는 현상 때문에 수리지질학적으로 매우 복잡한 지역이다. 난지도의 수문층서단위 조사와 디스크-장력 침투계(Disc tension Infiltrometer)로 불포화대 수리 특성을 추정하였으며 가스 거동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지온을 측정하였다. 매립지 주변의 지하수위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양수정과 다중-수위관측정(Multi-Level Monitoring Well)에서 수위변화를 관측하였다. 불포화대 수리특성과 기상자료를 바탕으로 매립지로의 순침투량을 추정하였다. 이것을 근거로 총 침출수 발생량을 추정하였으며, 기저 지하수면 상부에 분포하는 포화 침출수대, 즉 부유침출수의 생성 메카니즘에 대한 연구도 수행하였다.

  • PDF

정상 지하수흐름을 갖는 층상대수층에서의 용질이동해석 (Analysis of Solute Transport with Steady State Groundwater Flow in Layered Aquifer)

  • 이승한;정일문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0권1호
    • /
    • pp.23-34
    • /
    • 1997
  • 난지도 매립지는 주변에 오염차감시설을 설치하지 않은 불량매립지로서, 매립지내의 수위가 높고 지층의 심도가 높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층상대수층을 이루고 있는 난지도 매립지에서 정상상태의 지하수 흐름에 대한 용질의 이용을 HST-3D모형을 사용하여 해석하고, 용존오염물의 농도변화를 예측하였다. 모형의 적용 결과, 지하수의 흐름은 제1매립지와 제2매립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한강으로 다량이 유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지도 매립지내의 용존물질 이송확산을 예측한 결과, 2년후 매립지 경계에서 총용존물질(TDS)의 상대농도는 하부의 풍화대에서 0.25, 하부충적층에서 0.26, 상부충적층에서 0.28로 나타나 현재의 0.29, 0.32. 0.35보다 작으므로 지속적인 기반암의 오염과 한강의 오염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 PDF

난지도 하수슬러지 매립지의 슬러지 성상분석 (The Characteristics of Sludge Landfill Site in Nanjido)

  • 남궁완;황선숙;김철수;윤범한;류범수
    • 유기물자원화
    • /
    • 제4권2호
    • /
    • pp.47-53
    • /
    • 1996
  • 난지도 하수슬러지 매립지 내 슬러지의 적정 처리방안을 검토하기 위한 기초조사로서 슬러지의 매립량 및 성상을 조사하였다. 보링시험을 통하여 매립지의 깊이를 측정하였고 슬러지성상분석을 위한 시료를 채취하였다. 주요 분석내용은 슬러지의 화학적 특성, 중금속함량 그리고 용출시험이었다. 조사결과 슬러지 매립지는 평균 15m 깊이에 약 5만 평방미터 넓이로 총 매립량은 60만톤 정도로 추정되었다. 슬러지의 성상을 분석한 결과 일반적인 하수슬러지에 비하여 상당히 안정화된 슬러지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금속 함량 시험에서 구리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일반폐기물기준을 만족하였으며, 외국의 퇴비내 중금속허용기준치와 비교한 결과 대부분 기준치 이내이었다. 슬러지의 용출시험결과 난지도 하수슬러지매립장의 슬러지는 일반폐기물로 분류되었다.

  • PDF

난지도 매립토 조성성분 분석 및 평가 (An Analysis and Estimation about the Component of Reclamation Soil in Nan Ji Do)

  • 최계운;김기형;오정희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997년도 총회 및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9-42
    • /
    • 1997
  • 현재 반입이 중지된 난지도 매립지에 공원조성이나 하수처리장등의 시설을 설치하는등 매립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려는 많은 계획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계획을 수행함에 알서 매립토의 성분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적절한 대책이 마련된 후에 계획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 설치되고 있는 난지 하수처리장 부지에 대하여 매립토의 조성성분 및 침출수의 성분을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시설설치에 따른 토양오염의 가능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대책수립의 기본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상지역의 매립토에 대하여 이물질의 중량비와 함수량 및 입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아울러 침출수의 오염도를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