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난자형성과정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5초

멸종위기 어류 돌상어 Gobiobotia brevibarba의 난자형성과정과 난막의 형태 (Structure of Egg Envelope and Oogenesis of the Korean Endangered Fish Gobiobotia brevibarba (Pisces: Cyprinidae))

  • 최웅선;김재구;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79-184
    • /
    • 2014
  • 잉어과(Pisces, Cyprinidae)에 속하는 멸종위기 어류인 돌상어 Gobiobotia brevibarba의 난막미세구조 및 난자형성과정을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2014년 5월의 돌상어 난소 내에는 다양한 발생단계의 생식세포들이 관찰되었다. 난모세포들의 상대면적은 성숙란(74.5%), 난황물질이 형성되는 난황구기(16.6%), 난황포기(6.6%), 그리고 미숙한 발달단계인 주변인기(2.3%) 순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주변인기 단계의 세포질은 hematoxylin에 강하게 염색되며, 핵막의 안쪽에는 다수의 인들이 존재하였다. 난황형성물질인 난황포기와 초기 난황구기 단계에서는 여포층과 방사대가 뚜렷하게 형성되기 시작되었으며, 방사대 위에는 미세융모의 난막구조가 더욱 뚜렷해졌다. 난황구기 및 성숙란의 단계에서는 난황구 일부가 융합되면서 강한 호산성을 보였다. 또한 성숙란의 표면에는 깔때기 모양의 난문이 관찰되었으며, $2{\sim}3{\mu}m$ 길이의 미세융모가 일정하게 분포하였다.

한국 서해산 암컷 갈색띠매물고둥, Neptunea (Barbitonia) arthritica cumingii의 난자형성과정 중 난황 형성의 미세구조적 연구 및 성 성숙 (Ultrastructural Study of Vitellogenesis during Oogenesis and Sexual Maturation of the Female Neptunea (Barbitonia) arthritica cumingii on the West Coast of Korea)

  • 정의영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9권1호
    • /
    • pp.23-31
    • /
    • 2005
  • 갈색띠매물고둥, Neptunea (Barbitonia) arthritica cumingii의 난자 형성과정 중 난황 형성, 생식주기 및 군성숙도를 광학 및 전자현미경적 관찰에 의해서 조사하였다. 초기 난황 형성 단계의 난모세포에서 골지복합체와 미토콘드리아가 지방적 및 난황 과립의 형성에 관여되었다. 후기 난황 형성 단계의 난모세포에서는 조면소포체와 다포체가 세포질 내에서 단백질성 난황 과립 형성에 관여되었다. 성숙 단계 난모세포에서 성숙 난황 과립은 주소체(중앙중심), 표면층, 그리고 이들을 둘러싼 한계막의 3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산란기는 5월과 8월 사이이고, 주 산란은 수온이 대략 $18{\sim}23^{\circ}C$로 상승하는 6월과 7월 사이에 일어나고 있다. 암컷의 생식주기는 초기 활성기($9{\sim}10$월), 후기 활성기($9{\sim}2$월), 완숙기($2{\sim}6$월), 부분 산란기($5{\sim}8$월), 회복기($6{\sim}8$월)의 연속적인 5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군성숙도는 각고 $51.0{\sim}60.9mm$에서 53.1%이었고 각고 61.0mm 이상에서는 100%를 나타내었다.

  • PDF

제2감수분열 중기에서 발달정지된 돼지 난자의 인위적 난활성 (Artificial Activation of Pig Oocytes Arrested at meiotic Metaphase II)

  • ;김재환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95-412
    • /
    • 1997
  • 포유동물의 난자는 제 2 감수분열 중기에서 배란되어 수정된다. 일반적으로 포유동물에서의 수정은 inositol triphosphate (IP3) 또는 cyclic adenosine diphosphoribose (cADPr)에 의해 조절되어지는 세포질내 칼슘변화에 의해 일어난다. 난활성이 일어나면 세포질내 고농도의 MPF (maturation promotion factor)는 감소하고, 전핵이 형성되고, cytoskeleton이 재구성되고, 단백질합성이 조절되어진다. 이러한 모든 과정이 정상적으로 일어난 후 수정란은 종특이한 발달경로로 배발달을 시작한다. 본 논문에서는 돼지난자의 인위적인 난활성 유도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신호전달(signal transduction) 경로에 의한 하나의 기전이 돼지난자에서 확인되었는데, 이 경로의 자극은 난활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전기자극에 의한 난활성방법에 의해 12일까지 정상배 발달이 이루어진다고 보고되고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정자가 어떠한 기전에 의해서 배발달을 시작하게 하는지를 밝혀내야 한다고 본다.

  • PDF

원형정자 미세주입에 의한 소 난자의 수정과 체외 배 발달 (Fertilization and in vitro Development of Bovine Oocytes Following Round Spermatid Injection)

  • 엄진희;도정태;김남형;박흠대;이훈택;정길생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6권2호
    • /
    • pp.193-201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소 난자 세포질내 원형정자 및 원형정자 핵을 미세주입 후 수정과정과 체외 배 발달을 조사하였다. 원형정자 주입 3시간 전에 인위적 자극을 주고 원형정자를 주입했을 때 난자들의 수정률이 주입 직후에 자극을 준 것들과 자극을 주지 않은 것들 보다 높았다. 원형정자 주입과 원형 정자핵을 주입한 후 전핵 형성률과 전핵 이동률을 조사하였으나 유의차를 발견할 수 없었다. 전핵의 형성과 이동중에 미세소관의 움직임을 간접형광면역법 및 공촛점 현미경을 사용하여 조사해 본 결과, 난활성 직후 난자의 표층에서 미세소관이 발생해서 이것에 의해 웅성 및 자성전핵이 난자 중심부로 이전됨을 볼 수 있었다. 수정 후 원형정자의 세포질내 Mitochondria의 분포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MitoTracker에 노출시킨 원형정자를 주입한 후 형광현미경에서 관찰해 보았다. 그 결과 원형정자의 Mitochondria가 주입 후 4-cell 이 전까지 는 관찰되었으나 그 이 후에는 발견 할 수 없었다. 원형정자를 미세주입한 후 소 난자를 체외에서 배양했을 때 2.5%의 난자가 배반포로 발달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체외 배양한 소 난자 내에 원형정자 혹은 원형정자 핵을 미세 주입하여 정상적인 수정과 배발달이 가능한 것을 보여 주는 것이다.

  • PDF

흰쥐 난자의 체외수정에 미치는 Calcium Chelator의 영향 (Effects of Calcium Chelator on in vitro Fertilization of Rat Oocyte)

  • 홍순갑;김해권;김성례;이영기;이준영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3권1호
    • /
    • pp.21-28
    • /
    • 1999
  • 흰쥐 난자의 체외수정에 있어서 calcium chelator처리에 따른 피질반응 및 피질과립막의 형성 여부와 피질과립막의 전자현미경적 미세구조를 관찰하고, 수정율 및 단정자수정과 다정자수정 빈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수정기간중 calcium의 역할을 조사하였다. Calcium chelator로는 BAPTA/AM을 사용하였으며, 난자의 미세구조와 피질과립막은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투명대가 제거된 난자의 체외수정 과정에서는 피질반응에 의해 형성된 피질과립막 (cortical granule envelope)이 관찰되었고, calcium chelator (1, 5, 10, $\mu$M BAPTA/AM) 처리후 투명대가 제거 된 난자의 체외수정 에서도 마찬가지로 피질과립막이 관찰되었다. 또한 체외 수정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피질과립막은 좀 더 발달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수정율은 calcium chelator 처리군 (59.8, 38.1, 37.0%)이 대조군 (60.6%)에 비해 감소했으나, 단정자수정은 calcium chelator 처리군 (45.0, 47.3, 50.9%)이 대조군 (37.5%)에 비해 증가하였다. 위의 결과들로부터 흰쥐에서 수정시 피질과립막이 형성된다는 것을 밝혔고, 피질반응에 extracellular calcium이 이용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난자내의 적정한 free calcium 함량이 수정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한국 서해산 큰구슬우렁이, Glossaulax didyma의 난자형성과정 및 생식주기 (Oogenesis and Reproductive Cycle of Glossaulax didyma on the West Coast of Korea)

  • 김대기;정의영;김은종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3-22
    • /
    • 2006
  • 2005년 1월부터 12월까지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만 앞바다 조간대에서 채집된 큰구슬우렁이를 대상으로 생식소중량지수(GSI), 난자형성 중 난황형성과정 및 생식주기를 세포, 조직학적 관찰과 형태측정 자료에 의해 조사하였다. GSI의 월별 변화는 생식소발달과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초기 난황형성 단계 난모세포에서 골지체와 미토콘드리아가 지방적 및 난황과립의 형성에 관여되었다. 후기 난황형성 단계의 난모세포에서 조면소포체와 다포체가 세포질 내에서 단백질성 난황과립에 관여하였다. 성숙 난황과립은 주소체 (중앙중심), 가장 자리에 표면층, 그리고 이들을 둘러싼 한계막의 3 가지 성분으로 구성되어있다. 산란기는 6월 초-8월 말 사이 이었고, 주산란은 수온이 $19^{\circ}C$ 이상인 7-8월에 일어났다 암컷의 생식주기는 초기 활성기 (12-2월), 후기 활성기 (2-3월), 완숙기 (4-7월), 산란기 (6-8월), 회복기 (8-11월) 의 연속적인 5 단계로 구분되었다. 완숙난모세포의 크기는 직경이 $250-270{\mu}m$이었다.

  • PDF

두꺼비 (Bufo gargarizans) 난소주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varian Cycle of Asian Toad (Bufo gargarizans))

  • 박세화;고선근
    • 환경생물
    • /
    • 제33권4호
    • /
    • pp.419-424
    • /
    • 2015
  • 두꺼비 (Bufo gargarizans)의 난소주기를 파악하기 위해 암컷 성체를 대상으로 gonadosomatic index (GSI)와 난소 내 여포난자의 크기와 난황 축적 정도를 기준으로 발달과정을 연중 조사하였다. 4월에는 난소 무게와 GSI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모든 여포난자들은 난황 축적 전단계의 상태로 존재하여 난황 형성이 중단된 것으로 판단된다. 난소 무게와 GSI가 증가하기 시작한 5월의 난소에서는 난황 축적 전기단계의 여포난자가 출현하였고 6월에는 난황 축적 중기단계와 난황 축적 전단계의 여포난자가 존재하여 난소 무게와 GSI도 증가하여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이 시기에 난황 축적현상이 진행되는 것을 의미하며 난소 무게와 GSI가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한 9월에는 난황 축적 중기단계의 여포난자들과 난황 축적이 거의 완성된 난황 축적 후기단계의 여포난자들이 존재하였다. 난황 축적을 마치고 성장이 완료된 여포난자들은 10월부터 일부 출현하기 시작하여 동면기인 12월에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2월의 난소에서는 성장이 완료된 여포난자가 전체적으로 존재하여 여포난자의 성장기에는 난소 내의 모든 여포난자들이 동시적 (synchronized)으로 진행되지 않고 각각의 여포난자에 따라 진행되다가 배란시기에 성장이 완료된 상태를 유지하는 난소주기를 나타내었다.

한국산개구리(Rana coreana) 난소주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varian Cycle of Korean Brown Frog (Rana coreana))

  • 신정민;고선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87-292
    • /
    • 2014
  • 한국산개구리(Rana coreana)의 난소주기를 파악하기 위해 암컷 성체를 대상으로 gonadosomatic index(GSI)와 난소 내 여포난자의 크기와 난황축적 정도를 기준으로 발달과정을 연중 조사하였다. 난소무게와 GSI는 3월부터 5월까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모든 여포난자들은 난황축적 전단계의 상태로 존재하여 난황형성이 중단된 것으로 판단된다. 난소무게와 GSI가 증가하기 시작한 6월의 난소에서는 난황축적 전기단계의 여포난자가 출현하였고 8월에는 난황축적 중기단계와 난황축적 전단계의 여포난자가 존재하여 난소무게와 GSI도 증가하여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이 시기에 난황축적 현상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것을 의미하며 난소무게와 GSI가 높게 나타난 9월에서 11월까지는 난황축적 중기단계의 여포난자들과 난황축적이 거의 완성된 난황축적 후기단계의 여포난자들이 존재하였다. 동면중인 12월부터 난황축적을 마치고 성장이 완료된 여포난자들이 출현하였으며 2월의 난소에서는 성장이 완료된 여포난자가 전체적으로 존재하여 여포난자의 성장기에는 난소내의 모든 여포난자들이 동시적(synchronized)으로 진행되지 않고 각각의 여포난자에 따라 진행되다가 배란시기에 성장이 완료된 상태를 유지하는 난소주기를 나타내었다.

돼지체외수정의 연구동향과 문제점 (Tendency and Problems in Porcine in-vitro Fertilization)

  • 박춘근;정희태;양부근;김정익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13-421
    • /
    • 1997
  • 체외에서 포유동물의 난자와 정자의 배양에 관한 연구는 난자의 성숙과정과 수정현상에 대한 많은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였다. 동시에 체외수정의 연구로부터 얻은 결과는 또다른 의문을 제기하였다. 특히 동결융해정액을 이용한 돼지체외수정의 경우 낮은 정자의 침입율과 전핵형성율 및 높은 다정자침입(polyspermy)율은 아직도 해결해야할 문제점으로 남아있다. 돼지난자의 성숙에 관한 연구의 성과는 수정후 낮은 전핵형성율을 개선시켰으나 타동물종에 비하면 아직도 매우 낮게 나타나고 있다. 한편 동결정액의 처리를 위하여 caffeine이나 Ca2+와 같은 물질을 수정용 배지내에 첨가하는 등 수정능력획득의 유기를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이 연구되고 있지만 정자의 침입율은 아직도 낮고, polyspermy의 발생율은 높게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정자의 침입율을 향상시키고 polyspermy를 억제하기 위하여 난관세포와의 공동배양, 난포액을 첨가한 배양액 내에서 정자의 전배양 및 정자농도의 조절은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이용되어왔다. 그러나 수정란의 체외생산성 향상과 이와 관련된 연구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위에서 지적한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이해가 요구된다.

  • PDF

Heat Stress가 소 난자의 체외성숙과 배반포 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t Stress on the Developmental Competence of Bovine Cumulus-Oocyte Complex During in vitro Maturation)

  • 김민수;김찬란;성환후;김남태;김성우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65-71
    • /
    • 2017
  • 혹서기에 있어 고온 다습한 환경은 동물의 생산성과 생리적 반응에 영향을 주어 HS를 유도하는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 HS처리 효과가 도축장 유래 난소에서 채취한 난자의 체외 성숙율, 난할율 및 수정란의 발생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검토하였다. 대조군으로서 COCs를 $38.5^{\circ}C$에서 22시간 배양하였으며 실험군은 전배양을 동일하게 21, 18 및 12시간 배양 후 $40.5^{\circ}C$에서 각각 1, 4 및 12시간 동안 후배양하여 HS를 유도하였다. 22 시간 숙성시킨 후, COCs를 체외수정하여 mSOF 배지에서 8 일 동안 배양하였을 때 난자의 성숙율과 수정란의 발생 능력을 조사 하였다. 대조군과 1 및 4 시간동안 HS처리된 난자에서 성숙율과 난할율에는 차이가 없었으나(p > 0.05), 4 시간 HS처리군에서 배반포 형성율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 < 0.05). 또한, 4시간 이상의 지속적인 HS에 대한 노출은 배반포 형성율과 세포사멸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관찰되었다(p < 0.05). 이러한 결과는 HS가 난자의 성숙 과정에서 유도되면 수정란의 발생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하며 HS에 의한 소 배반포에서 세포사멸현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