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난소 반응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23초

난소화성 획분이 높은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제조 방법 (Methods for Preparing Indigestible Dextrin with High Indigestible Fraction)

  • 우동호;문태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610-617
    • /
    • 2000
  • 높은 난소화성 획분을 갖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은 열처리 덱스트린의 효소 가수분해액을 에탄올 또는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UBK 530)로 처리함으로써 제조하였다. 난소화성 획분, 식이섬유 및 수출을 고려하여 ${\alpha}-amylase$와 amyloglucosidase를 반응시킨 가수분해액으로부터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제조하기 위한 에탄올 처리의 최적 조건은 에탄올을 30%(w/w) 효소 반응액에 고형분 대비 5배로 첨가하여 상온에서 3시간 동안 방치시키는 공정이었다. 포도당을 포함하는 저분자 당류와 고분자 당류를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에 의해 분리한 결과 내열성 ${\alpha}-amylase$와 amyloglucosidase에 의한 초기 효소 반응액은 43.6%의 DPI(glucose)과 51.5%의 DP4+(maltotetaos이상)를 나타낸 반면, 양이온 교환수지에 의해 초기 효소 반응액의 50%까지 분취한 난소화성 덱스트린은 7.1%의 DPI(glucose)과 91.2%의 DP4+(maltoteoaose이상)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초기 효소 반응액의 난소화성 획분 44.5%는 저분자 당류의 분리 후 78.9%까지 증가하였다.

  • PDF

생쥐의 난소의 $\beta$-Endorphin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동정 (Immunohistochemical Identification of $\beta$-Endorphin in the Mouse Ovary)

  • 조사선;이영기;김경진;윤용달;이정주;조완규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52-157
    • /
    • 1990
  •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생쥐 난소에서 $\beta$-endorphin이 생성되는 부위를 조사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행하였다. 성숙한 생쥐를 4% neutral buffered paraformaldehyde로 관류고정하였으며 난소를 적출한 후 cryostat로 절편을 만들어 avidin-biotin complex(ABC)를 이용하여 면역색을 하였다. $\beta$-endorphin에 대한 항체반응은 주로 황체에서 일어났으며, theac interna와 theca externa에서는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황체에서의 염색 양상은 퇴화가 많이 진행된 황체세포에서 보다 강한 연색반응을 관찰할 수 있었다. 때로 황체세포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이는 간질세포에서도 양성반응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외에도 large antral follicle의 여포강에 인접한 과립세포에서 약한 반응을 보여주었으나, 제 1차 여포에서는 양성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열처리 덱스트린을 이용한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제조 (Preparation of Indigestible Dextrin from Pyrodextrin)

  • 우동호;문태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618-628
    • /
    • 2000
  • 열처리 덱스트린을 내열성 ${\alpha}-amylase$로 가수분해함으로써 난소화성 텍스트린 I을 제조하였다. 황색 덱스트린으로부터 제조한 난소화성 덱스트린 I의 난소화성 획분과 식이섬유 함량의 평균치는 각각 50%와 25%였다. 또한, 열처리 덱스트린의 효소반응액으로부터 에탄올 처리에 의해 glucose를 포함하는 저분자의 당류를 제거함으로써 난소화성 덱스트린 II를 제조하였다. 초기 효소반응액의 80% 이상의 glucose와 maltose가 제거되어 난소화성 획분과 식이섬유 함량이 증가하였다. ${\alpha}-amylase$ 및 amyloglucosidase에 의한 황색 덱스트린의 가수분해액의 에탄올 침전으로 제조된 난소화성 덱스트린이 다른 효소 조합보다 높은 함량의 난소화성 획분 및 식이섬유를 나타내었으며, 각각 평균 83.6%와 62.8%였다. 따라서, 전분 가수분해 효소에 저항성을 갖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은 열처리 덱스트린으로부터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수용성 식이섬유로서의 생리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PMSG/hCG 투여에 의한 미경산 재래돼지의 난소반응과 외과적 채란

  • 연성흠;허태영;김종대;이동원;서국현;류일선;손동수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초록집
    • /
    • pp.57-57
    • /
    • 2002
  • 멸종위기에 있는 우리나라 재래돼지의 안전한 보존을 위해서는 수정란 동결보존이 필수적이며 동결에 적합한 수정란 생산이 선행되어야 한다. PMSG/hCG 에 의한 돼지 체내수정란 생산 연구는 주로 대형종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우리나라 재래돼지와 같은 중소형종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다배란를 유도하기 위해 투여하는 PMSG/hCG 에 대한 우리나라 재래돼지의 난소반응과 외과적 채란에 의한 수정란 회수율을 구명함으로써 재래돼지 체내수정란 생산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수행되었다. 18일 동안 20㎎/day의 Altrenogest(Regumate/sup R/, Intervert)로 발정주기를 동기화 시킨 미경산 재래돼지 11두를 3군으로 나누어 각각 500, 750, 1,000 IU의 PMSG(Folligon/sup R/, Intervert)를 주사하고 80-84시간 후 500 IU의 hCG(Chorulon/sup R/, Intervert)를 주사하여 다배란을 유도하였다. (중략)

  • PDF

조기 난소 부전증(Premature Ovarian Failure, POF) 환자에서 난포 자극 호르몬 수용체 유전자 변이 및 발현 양상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Gene Mutation and Expression Level of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Receptor in Premature Ovarian Failure(POE) Patients)

  • 김정욱;염혜원;이형송;송견지;천강우;박용석;김계현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4권1호
    • /
    • pp.61-66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조기 난소 부전증 환자를 대상으로 난포 자극 호르몬 수용체 유전자의 돌연변이와 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돌연변이 분석을 위해 환자의 말초혈액에서 genomic DNA를 분리하고 nucleotide 566을 포함하고 있는 exon 7에 특이적인 primer쌍을 이용하여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시행하였다. 전기 영동으로 반응산물을 확인한 다음, 돌연변이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제한효소 절단분석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을 시행한 결과, 대조군과 조기 난소 부전증 환자군 모두에서 돌연변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난포 자극 호르몬 수용체의 발현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시험관아기 시술과정 중 난자 채취과정에서 얻어진 황체화 과립세포에서 total RNA를 추출하여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시행하였다. 반응 산물을 전기 영동하여 발현양상을 비교해 본 결과, 대조군에 비해 조기 난소 부전증 환자군에서 난포 자극 호르몬 수용체 유전자의 발현이 다소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조기 난소 부전증 환자에서 난포 자극 호르몬 수용체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발견할 수 없었으며 난포 자극 호르몬 수용체 유전자의 발현이 대조군에 비해 낮아 과배란 유도시에 생식소 자극 호르몬에 대해 저적응증을 보이며 난포형성과정에도 장애를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MSG로 전처치한 미성숙 래트의 초기 및 후기 난포기에 있어서 GnRH Agonist가 난소 기능에 미치는 상이 효과 (Differential Effects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GnRH) Agonist on Ovarian Function in Early and Late Follicular Phase of Pregnant Mare Serum Gonadotropin (PMS G) -Pretreated Immature Rats)

  • 윤상근;유욱준;윤영원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61-275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GnRH가 과배란 처치된 래트의 초기 난포기와 후기 난포기에서 난소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기 위해서, 30IU PMSG와 10IU hCG로 전처치된 미성숙 래트에 있어서 배란반응, 배란 난자의 형태학적 이상 유무 및 핵 성숙도, 난소 중량, 난소의 조직학적인 변화 및 혈중 스테로이드 호르몬 (17$\beta$-estradiol, progesterone 및 testosterone) 농도에 대하여 GnRH agonist의 효과를 검사하였다. GnRH agonist는 PMSG 전처치 후 초기 난포기 (PMSG 투여 후 6시간부터) 또는 후기 난포기(PMSG 투여 후 54시간부터)에 4시간 동안 20분 간격으로 경정맥 카테타를 통해 혈관내로 투여하였다. 각 실험동물은 혈중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PMSG 투여 후 54시간, 72시간에 혈액을 채취하고 72시간에 희생시켰다. PMSG로 전처치한 미성숙 래트의 초기 난포기에 GnRH agonist의 투여는 GnRH agonist를 투여하지 않은 군(대조군)에 비해 과배란 억제, 형태학적 비정상 배란난자의 증가, 난소 중량의 감소, 난포폐쇄의 증가 및 혈중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농도 감소가 보였다. 한편 후기 난포기에 GnRH agonist의 투여는 대조군에서의 반응과 전반적으로 유사하였다. 이상의 결과, PMSG 및 hCG 처치로 과배란된 래트의 초기 난포기에 GnRH agonist의 투여는 난소기능을 전반적으로 억제하지만, 후기 난포기에 GnRH agonist의 투여는 난소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참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의 난황단백질 분리와 특성 (Purificatio and Characterization of Yolk Protein in an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정태항;한명숙;김대중;임상구;김명희;한창희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71-278
    • /
    • 1998
  • 전복의 난황단백질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성숙한 참전복 암컷의 난소난 추출물로부터 sepharose Cl-4B gel chromatography을 사용하여 난황단백질을 분리하였다. 암컷과 수컷의 혈청과 난소난 추출물에 대한 항혈청을 이용하여 암수혈청과 난소난 추출물을 면역전기영동과 Ouchterlony 면역확산을 한 결과, 성숙한 암컷 혈청에는 암컷 특이 혈청 단백질(female specific serum protein) 이 존재하였으며, 이것은 난소난 추출물과 동일한 항원성을 가지고 있었다. 한 종류의 난황단백질이 난소난 추출물로부터 분리되었으며, 이 난황단백질은 SDS 전기영동에 의해 분자량이 각각 181kDa과 113kDa이 되는 2개의 subuit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들 난황단백질에 대한 항혈청은 성숙한 암컷 특이 혈청단백질과 간췌장 추출액과 침강반응을 보였으며 서로 교차반응이 일어났으나, 성숙한 수컷 간췌장 추출물에 대해서는 반응이 일어나지 않았다.

  • PDF

방사선 조사선량에 따른 생쥐 난소의 형태학적 변화 (Morphological Changes of Mouse Ovary by X-Ray Irradiation)

  • 윤철호;최종운;윤석환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2권4호
    • /
    • pp.140-156
    • /
    • 2007
  • 본 연구는 방사선 조사선량에 따른 난소조직의 형태학적 변화과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X-선을 생쥐에 전신조사한 후, BrdU, TUNEL, p53, p21, PCNA, $inhibin-{\alpha}$ 등을 면역조직화학반응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난포의 미세구조적 변화를 고배율의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X-선을 조사한 난소조직은 방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성장 난포의 형태적 변화가 뚜렷하였으며, 특히 과립층세포의 변성에 의한 핵은 응축과 투명대의 변화가 현저하였다. 또한 Masson's trichrome 염색과 세망섬유 염색을 통한 조직화학반응의 결과 과립층세포의 변화와 난포기저막의 변형, 그리고 세망섬유의 비정상적 배열이 확인되었다. BrdU 반응결과, 방사선 조사량이 증가함에 따라 양성반응을 보이던 정상난포의 과립층세포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세포예정사(apoptosis)를 확인하기 위한 TUNEL 반응에서는 정상난소의 퇴화난포에서만 양정반응을 보이던 과립층세포들이, 방사선량의 증가에 따라 성장난포 및 원시난포 등으로 확대되었으며, X-선 600 cGy 조사량에서는 난모세포의 세포예정사도 확인되었다. 세포주기 조절단백질인 p53 단백질의 난소 내 발현을 면역조직화학반응으로 관찰한 결과, 방사선량의 증가에 따라 p53의 발현도 증가하였으며, X-선 600 cGy 조사된 실험군에서는 난포막세포를 포함한 난포의 거의 모든 세포에서 광범위한 발현이 확인되었다. 또한 유사분열 억제단백질인 p21 단백질의 발현은 난포의 과립층세포에서 현저하였으며, 조사량이 증가함에 따라 난포강 주위에서 강한 양성반응이 관찰되었다. 생식세포의 증식을 확인하기 위한 PCNA 반응에서는 정상 대조군의 성장난포와 성숙난포 및 원시난포 등에서 모두 강한 양성반응을 보였으나, 방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반응도가 현저히 감소되었다. 특히 난모세포 주위의 과립층세포가 난포막에 인접한 세포에 비해 반응도의 차이가 심한 점으로 미루어, 난모세포와 난포동에 인접한 세포들이 방사선 조사에 의해 가장 먼저 손상을 받는 것이 확인되었다. 난포의 $inhibin-{\alpha}$ 단백질의 발현은 난포의 성장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여, 난포동이 형성된 성숙난포에서 강한 양성반응을 보였다. 난포막 주변의 과립층세포에서 강한 양성반응이 관찰되었으나, 난포막을 구성하는 난막세포에서는 전혀 발현되지 않았다. 방사선 조사에 의해 $inhibin-{\alpha}$의 발현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X-선 600 cGy의 선량에서는 약간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는데, 이는 과립층세포의 세포사에 따른 현상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방사선 조사에 따른 난소조직의 미세구조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고배율의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방사선량의 증가에 따라 성장난포의 과립층세포에서 핵과 세포질의 미세구조 변형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난포동에서는 세포사의 부산물인 세포 잔유체들과 백혈구 및 대식세포 등이 관찰되었다. 과립층세포의 미세구조적 변형은 주로 핵의 응축에 의한 전자밀도의 증가와 핵의 분절화, 그리고 세포질의 위축 등, 전형적인 세포예정사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세포의 괴사도 일부 확인되었으나 그다지 현저하지 않았으며, apoptotic body와 함께 대식세포가 산재되어 있었다. 방사선(X-선) 조사 및 선량증가에 따라 정상 난소조직의 난포액의 불균질 물질의 생성, 난포의 기저막의 염색성출현, 세포예정사 발생, 대식세포들의 변화 등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통하여 여성 자궁암을 방사선치료 시 방사선조사범위내에 포함되는 정상 난소조직에 초래 될 수 있는 방사선 생물학적 장해를 이해할 수 있다 하겠다.

인삼 추출물이 난소를 절제한 백서의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nax Ginseng Extract on Antioxidative Enzyme Activity in Ovariectomized Rats)

  • 하배진;황일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49-356
    • /
    • 2002
  • 노화과정에 산소라디칼이 관여할 가능성을 노화유도된 쥐를 동물모델로 하여 알아보았다. 난소를 절제한 rat와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정상의 rat에서의 생리활성에 미치는 인삼 추출물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난소를 절제한 rat에 각각 GTS (Ovx+GTS 군)와 GW (Ovx+GW 군)를 투여하고, 이것과 비교하기 위해 난소를 절제한 대조군(Ovx군)과 마지막으로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정상군(Sham군)으로 하여 항산화효과에 관한 실험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노화유도된 쥐의 각 조직에서 lipid peroxidation이 증가되었고 free radical반응이 더 심하게 일어난 간 조직에서 노화진행이 그만큼 촉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간소라디칼반응이 항진된 원인을 규명코자 간 조직에서 미토콘드리아와 세포질분획에서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조사한 결과, SOD와 glutathion reductase활성이 감소되었으며 노화나 지질과산화가 심하게 진행되었던 간 조직에서 이들 항산화효소의 활성감소가 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생체는 free radical을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항산화계가 존재하여 free radical을 효율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생체의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항산화계에는 superoxide dismutase (SOD), glutathion (GSH) peroxidase, GSH reductase, GSH S-transferase, catalase등의 항산화효소가 있다. SOD는 반응성을 가진 산소species인 superoxide anion을 macrophage와 polymorphonuclear leucocyte의 항균작용같은 세포방어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원칙상 눈, 피부등의 byaus이 공기중의 산소에 노출되면 oxidative stress가 커짐으로서 조직이 훼손되나 SOD같은 효소에 의해 보호되고 손상이 방지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실제로 신체부위에 적용해 보면 쉽게 활성상실이 일어나므로 fatty arid와 공유결합시켜 효과적으로 superoxide radical을 제거할 수 있다. AST의 활성은 Ovx군이 Sham군에 비해 2.11배 높게 나타났으며, ALT 활성은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AST 활성에서는 각각의 물질을 투여한 군에서는 유의적인 감소 경향을 보였다. 과산화지질함량은 Ovx군이 Sham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각각의 인삼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는 62%∼72%의 저해률을 보였다. 항산화 효소들은 Sham군에 비해 Ovx군에서 낮게 나타났는데, 각 물질의 투여 군에서는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서 보듯이, 난소 절제로 생성된 많은 free radical은 항산화효소에 의해서 감소되었으며, 그리고 인삼 추출물이 항산화 효소 대신에 노화를 저해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방사선 조사선량에 따른 생쥐 난소의 TUNEL 염색반응에 관한 형태학적 연구 (Morphological Study on the TUNEL Reaction of Mouse Ovary by X-ray Irradiation)

  • 윤철호;장병수
    • Applied Microscopy
    • /
    • 제37권2호
    • /
    • pp.135-142
    • /
    • 2007
  • 본 연구는 6 MeV LINAC에서 발생한 X-선을 생쥐 생체에 조사한 후 난소에서 난포의 형태적 변화 양상과 난포의 세포자연사가 일어나는 과정을 TUNEL 염색방법을 이용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정상난포와 퇴화난포 및 방사선이 조사된 난포에서 세포예정사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 TUNEL 염색을 실시한 결과, 정상난소의 퇴화난포에서 양성반응을 보이는 과립층세포들은 갈색을 띠고 있었고, 핵은 응축되어 나타났다. 그러나, 정상난포에서는 양성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X-선을 조사한 난소의 난포는 TUNEL 염색에 강한 양성반응이 나타났고, 600 cGy의 X-선 조사에서 난모세포는 이미 세포예정사가 진행되어 파괴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난포막을 형성하고 있는 난막세포의 핵들도 양성반응으로 나타나, 갈색으로 염색이 되었으며, 수질의 결합조직세포들의 핵도 갈색으로 염색되어 관찰되었다. 또한, 대부분의 세포들은 세포예정사가 진행되어 있으며, apoptotic body들이 난포 내에 산재되어 있었다. 이 시기의 난소조직의 전반적인 염색도는 저선량의 X-선 조사에서보다 더 현저히 강한 염색성이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