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난류 Richardson수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이차적인 변형률효과를 나타내는 새로운 변수의 제안 (Proposal of a New Parameter for Extra Straining Effects)

  • 명현국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184-192
    • /
    • 1994
  • The parameters such as Richardson numbers or stability parameters are widely used to account for the extra straining effects due to three-dimensionality, curvature, rotation, swirl and others arising in paractical complex flows. Existing expressions for the extra strain in turbulence models such as $k-{\epsilon}$ models, however, do not satisfy the tensor invariant condition representing the coordinate indifference. In the present pape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both the mean strain rate and the mean vorticity, a new parameter to deal with the extra straining effects is proposed. The new parameter has a simple form and satisfies the tensor invariant condition. A semi-quantitative analysis between the present and previous parameters for several typical complex flows suggests that the newly proposed parameter is more general and adequate in representing the extra straining effects than the previous ad-hoc parameters.

정상 염수쇄기의 형상과 흐름 장의 물리적 특성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flow field and the Form of Arrested Salt Wedge)

  • 이문옥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62-73
    • /
    • 1990
  • 장방형 단면의 개수로를 사용하여 정상 염수쇄기가 존재하는 흐름 장의 유동특성 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염수쇄기는 전체적으로 매우 안정하여 목시 관측이 용이하였으나, 유속의 측정과 계면파의 관측에는 가시화수법을 이용하였다. 연 직방향의 밀도변화로부터 정의되는 밀도계면은 목시관측에 의한 계면의 대략 0.5 cm정 도 아래에 존재하였으며, 밀도분포는 Hlomboe 모델을 잘 만족하였다. 계면층은 난류강 도 (turbulent intensity)가 매우 극심한 영역으로서 그 두께는 총평균 Richardson수 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상층의 약 16% 정도의 크기를 가졌다. 수 로의 횡단면상의 유속분포는 수로측변에 의한 마찰의 영향을 잘 반영하였고, 상층내에 서는 Reyonolds수가 커질수록 연직방향의 유속분포의 균질성이 증가하는 반면 하층은 대체로 방물형(parabolic type)에 가까운 분포를 보였다. 염수쇄기를 쇄기장(L/SUB o/)에 따라 하구부(x/L/SUB o/< 0.3,단 x는 하구로부터의 거리), 중앙부(0.3 0.7) 의 세 구간으로 나누어 생각하는 경우, 연행계수는 중앙부에서 작고 하구부와 선단부에서 크게 나타났다. 또한 하구부나 중앙부는 계면이 대체로 안정하여 내부표면장력파가 팔생하거나 전파하는 반면, 선단부는 매우 불안정 하여 cusping ripple 또는 bursting ripple과 같은 계면파가 발생하였다. 염수쇄기의 형상은 거의 진선적으로, densimetric Froude 수와 Reynolds 수와는 독립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