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낙양보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 study on the Changes in the water level-flow relationship curve by the operation of Nakyang Weir in the Dongjin River (동진강 낙양 보 운영에 의한 수위-유량 관계곡선식의 변화)

  • Young Jun Ohk;Seung Hyun Kim;Kang Han Lee;Da Ji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12-312
    • /
    • 2023
  • 동진강 유역은 김제평야를 품고 있어 다른 지역에 비해 농지면적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며, 이에 따라 전체 용수 사용량에서 농업용수의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은 유역이다. 낙양 보는 동진강 중·상류에 위치한 이수시설로 상류에 위치한 섬진강댐과 같이 동진강 유역의 농업용수 공급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낙양 보는 현재 동진강 방수문 4문, 김제간선 취입수문 2문, 정읍간선 취입수문 1문이 설치되어 있다. 관개기에는 동진강 도수로의 수문을 폐쇄하여 동진강 본류로의 하천유지용수를 차단하고 김제 배수로의 수문을 운용하여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있으며 수혜구역의 용수수요 변화 및 기상상황, 하천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가동 보 운영으로 인하여 다양한 수위-유량관계의 변동성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동 보 운영에 따른 수위-유량관계 곡선식의 변동성을 확인하기 위해 동진강 유역 낙양보 상류에 위치한 정읍시(거산교)관측소를 대상관측소로 선정하였다. 정읍시(거산교)관측소는 2012년에 개발된 수위-유량관계곡선을 2021년까지 사용하였고, 2022년 수위-유량관계곡선식 검증과 재개발을 위하여 유량측정을 실시하였다. 2012년에 개발된 수위-유량관계곡선은 검토 결과 강우에 의한 수위 상승시 보 완전 개방 상태의 측정성과를 확보하여 수위-유량관계 곡선식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가동 보를 운영하는 3월~9월은 상류에 위치한 정읍시(행정교)관측소와 상하류 역전 현상이 발생하였고, 매년 비정상적인 유량이 산정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2022년 신뢰도 높은 유량자료와 수위-유량관계곡선식 개발을 위해 낙양 보 완전개방 및 부분개방에 따른 다양한 유량측정성과와 낙양 보 수문 모니터링 결과를 확보하였다. 낙양 보는 2022년 1월~3월, 10월~12월은 수문 6문을 완전 개방하여 동진강에 하천유지용수를 공급하고, 4월부터 동진강 방수문을 폐쇄하여 농번기 농업용수를 확보한 후, 5월~9월에 확보된 농용수를 김제 배수문 2문을 부분개방하면서 공급하는 방식이다. 이 기간동안 낙양 보 수문에 대한 모니터링을 위해 정읍시(거산교)관측소 수위자료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으며, 유량측정시에는 정확한 유량측정성과와 곡선식 확인을 위하여 동일한 위치에서 측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수위 또는 유량이 변하는 구간은 연속측정을 실시하였으며, 모니터링 결과와 유량측정성과를 바탕으로 수위-유량관계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저수위1식은 수문 완전개방, 저수위2식은 수문 완전폐쇄, 저수위3~6식은 수문 부분개방 곡선식을 개발하였으며, 저수위 구간은 낙양보 운영에 따라 총 27차례 기간분리가 발생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낙양 보 운영에 따른 다수의 유량측정성과와 모니터링 자료를 확보하였으며, 확보한 유량측정성과의 분석을 통한 신뢰도 높은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였고 이를 통해 생산된 유량자료는 정확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평악곽씨정골전통약물적현대연구(平樂郭氏正骨傳統藥物的現代硏究) -평악곽씨(平樂郭氏) 정골(正骨)에 대한 전통약물의 현대적 연구-

  • Gwak Yeom-Haeng;Du Ji-Gyeom;Jo Gyeong-An;Gwak Yeom-Geum;Lee Mu-Eum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 /
    • v.15 no.1
    • /
    • pp.219-227
    • /
    • 2001
  • 중국 낙양의 평악곽씨(平樂郭氏) 정골법은 중국의학의 골상과(骨傷科) 중에서 중요한 학술유파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 치료법에 있어서 독특하고 체계적인 시술법을 갖추고 있는데, 교정 수기법, 고정방법, 기능훈련, 약물치료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창상(創傷)에 대한 약물요법에서 "파(破) 화(和) 보(補)" 3단계로 분류된 약물사용 원칙을 제시하였는데, 즉 골정손상의 초기에는 기혈어체(氣血瘀滯)의 병리기전에 입각하여 약물은 활혈화어제(活血化瘀劑)를 주로 사용하고, 중반에는 기혈부화(氣血不和) 경락부통(經絡不通)의 기전으로 파악하고 주로 활혈통락(活血通絡)시키는 약물을 사용하며, 말기에는 구병(久病)으로 기형(氣血)이 휴손(虧損)되므로 보기혈(補氣血) 및 장근골(壯筋骨)의 약물을 주로 사용한다. 이와 같은 평악곽씨(平樂郭氏)의 正骨(정골)에 관한 약물사용 원칙을 토대로 선조의 처방과 경험방 및 후세의 통용방(協定方)을 근간으로 심은 평악곽씨(平樂郭氏)의 正骨(정골)에 대한 전통약물시리즈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처방들은 장기간의 임상활용에서 그 효과가 뛰어나고 안전성이 확보된 것으로 입증되었다. 근골통소환(筋骨痛消丸)은 활혈행기(活血行氣), 온경통락(溫經通絡), 소종지통(消腫止痛)의 효능이 있어 근골의 퇴행성 질환이나 만성 노손(勞損)으로 일어나는 종창(腫脹), 통증, 관절활동의 제한, 목 어깨 허리 다리 등의 통증, 발꿈치 통증, 골절 후 지체(肢體)의 종통(腫痛), 어혈 등에 활용한다. 활혈접골지통고(活血接骨止痛膏)는 접골속근(接骨續筋), 통락지통(通絡止痛)의 효능이 있어 골상(骨傷)을 입은 후 지체(肢體)의 종창(腫脹)이나 통증 또는 골절 등에 사용한다. 이 약은 크림제와 고약제 두가지가 있다. 평악내복접골교양(平樂內服接骨膠襄)은 활혈소종(活血消腫), 접골속근(接骨續筋)의 효능이 있어 각종 근육의 손상이나 골정상에 활용된다. 평낙전근단(平樂展筋丹)은 활혈화어(活血化瘀), 서근지통(舒筋止痛), 통리관절(通利關節), 등의 효능이 있어 타박상으로 인한 지체(肢體)의 종통(腫痛), 관절강직, 활동제한 및 골관절 질환과 풍습비통(風濕痺痛) 등을 치료한다. 전통적으로 외용(外用)에 사용되는 산제(散劑)는 마사지에 주로 활용된다. 임상에서 다양한 제형(劑型)으로 개발되어 분무형태로 쓰이는 근상정(筋傷酊)과 마사지 크림으로 사용되는 평악낙전근접마유제(平樂展筋接摩乳劑)가 있다. 소종활혈(消腫活血) 대포제(袋泡劑)는 산제(散劑)를 티팩 형식으로 사용하는 외용제형(外用劑型)이며, 서근활혈(舒筋活血), 소종지통(消腫止痛)의 효능이 있어 타박상 말기에 근육이 굳어지고, 어반이 형성되면서 통증이 나타나며, 종창(腫脹) 등이 생길 때 사용한다. 사용방법은 따뜻한 물에 담가 우려낸 다음 상처부위를 씨어주면 된다. 특별히 제작된 접골환(接骨丸)은 배보간신(培補肝腎), 익기건비(益氣健脾), 활혈통락(活血通絡), 강근건골(强筋健骨) 등의 작용이 있어 파박상이나 골절이 잘 치유되지 않고 오래 지속되는 경우에 사용된다. 이와 같은 다양한 평악곽씨(平樂郭氏)의 전통적인 정골(正骨)에 관한 약물들은 약리학적 실험을 거쳐 그 독성반응이나 부작용 및 임상효과를 관찰한 결과 통제학적으로 p<0.05-0.01로 나타나 98%의 치료효과를 보였으며, 독성 및 부작용이 없어 안정성이 인정되었으므로 긍정적인 치료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The Development and Originality of Wind Chimes of the Goryeo Dynasty (고려시대 풍탁(風鐸)의 전개와 독창성)

  • Lee, Young-su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2 no.2
    • /
    • pp.292-307
    • /
    • 2019
  • Buddhists have always tended to adorn and embellish Buddhist statues and their surrounding spaces in order to exhibit the grandeur and sublime nature of the Buddha. The various kinds of splendid instruments and implements used in such ornamentation are collectively called jangeomgu in Korean. Thus, the term jangeomgu encompasses articles used to decorate Buddhist statues, halos, and baldachin, as well as Buddhist banners and wind chimes, which are generally hung outside a building. Wind chimes are still widely used at Buddhist temples. In China, judging from various structures such as the Wooden Stupa of Yongningsi in Luoyang and the Dunhuang Caves, wind chimes began to be used around the sixth century. As for Korea, Buddhism was first introduced from China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Koreans accordingly began to build Buddhist temples and buildings. It would appear that wind chimes came to be used around the time that the first temples were built. The oldest extant wind chime in Korea is the gilt-bronze wind chime of Baekje, discovered at the Mireuksa Temple Site in Iksan. In general, Korean wind chimes dating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are classified into two general types according to their shape and elevation, i.e., those shaped like a Buddhist bell and those shaped like a trapezoid. As these two forms of wind chimes have influenced each other over time, those made during the Goryeo dynasty, having inherited the style, structure, and design of the preceding period, display such features. At the same time, the artisans who produced wind chimes pursued technical development and adopted free, yet not extravagant, designs. In particular, Goryeo wind chimes are characterized by original designs created through exchanges with other Buddhist art forms of the same period, such as the embossed lotus design band of Goryeo bells; the bullmun design, which served to display the grandeur of the royal family; the samhwanmun design, which consisted of decorating the interior of a Goryeo incense burner with three holes; Sanskrit designs; and designs inspired by the windows and doors of stone pagodas. In this way, the production of Goryeo wind chimes developed with a focus on purpose while being free of formal constraints. This study started out from the fact that the largest number of Korean wind chimes were produced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refore, research on wind chimes should be based on those of the Goryeo dynasty, especially since fewer relevant studies have been conducted compared to studies on other forms of Buddhist art.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 reasons for the production of wind chimes will be examined first, followed by an examination of the various styles of Korean wind chimes. The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investigation,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wind chimes produced during the Goryeo dynasty will be explored for each period.

A Study on the Location Relationship between Ancient Royal Garden and Royal Capital in North-East Asia (동북아시아 고대 궁원과 왕도의 위치 관계에 대한 연구)

  • Jeon, Yong-H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40 no.4
    • /
    • pp.1-14
    • /
    • 2022
  • The ancient North-East Asian royal garden is divided into three types, located in the north inside the palace, in the north outside the palace, and in the south inside or outside the palace, depending on the loc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royal capital and the royal palace. The first is a typical royal garden that follows the ancient Chinese court system of the Chao-hu-chim(前朝後寢). The second is a royal garden located independently of the royal palace, which extends to Geumwon(禁苑). The third is located in the south of royal palace and is the royal garden specialized in Yurak(遊樂) or Hyangyeon(饗宴). The types of ancient North-East Asian royal garden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main palace(正宮) and secondary palace(別宮), detached palace(離宮), and Geumwon(禁苑), and each has unique characteristics. The first has been established as the garden of the main palace, including the royal garden at Wanggung-ri site in Iksan(益山 王宮里 遺蹟), Han Chang'an capital(漢 長安城), BeiWei Luoyang capital(北魏 洛陽城), Jiankang capital in Southern Dynasties(南朝 建康城), and Daminggong(大明宮) in Tang Dynasty. Here, the royal garden is divided into Naewon(內苑) inside the royal palace and Geumwon(禁苑), outside the royal palace.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is the royal garden that the royal palace and Geumwon(禁苑) are united. The third is the royal garden that forms part of the royal palace or is independent of the royal palace, and has been specialized as a secondary palace(別宮) and detached palace(離宮). China created the model of ancient North-East Asian royal gardens, and based on this, Baekje, Silla, and Japan of Korea influenced each other and developed a unique palace by showing their originality. The royal garden at Wanggung-ri site in Iksan(益山 王宮里 遺蹟) was influenced by royal gardens of Wei-Jin and Northern & Southern Dynasties(魏晉南北朝). And royal gardens of the Sabi Capital(泗沘都城) were influenced by royal gardens of Jin(秦), Han(漢), Sui(隋), and Tang(唐), and royal gardens of Silla(新羅) were influenced by the royal gardens of Baekje(百濟) and Silla. However, each of these royal gardens also has its own unique characteristics. From this aspect, it can be seen that the ancient North-East Asian court had different lineages depending on the region. Anhakgung Palace in Pyongyang(平壤 安鶴宮) is more likely to be viewed as the Three Kingdoms period than the Goryeo Dynasty. However, it is difficult to raise it to the 5th and 6th centuries due to the overlapping relationship and relics of the lower part of Anhakgung Palace(安鶴宮), and it is generally presumed to be the middle of the 7th century. The royal garden at Anhakgung Palace is a secondary palace(別宮) or detached palace(離宮) that corresponds to the palace of Jang-an capital(長安城) in Pyongyang and is believed to have influenced Dongwon garden(東院庭園) of Heijokyu(平城宮) and Donggung(東宮) and Wolji(月池) in Gyeongju. From this point of view, Dongwon garden(東院庭園) of Heijokyu(平城宮) seems to be related to the palaces of Goguryeo, Baekje, and Silla. This study has many limitations as it focuses on its characteristics and transitions due to the location of the palace in the large framework of ancient North-East Asian royal capital. If these limitations are resolved little by little, it is expected that the understanding of ancient North-East Asian royal gardens will be much wi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