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낙동강 하구 하류역

Search Result 21, Processing Time 0.097 seconds

Simulation of Topograhy Change in the Downstream of Nakdong River Estuary (낙동강 하구 하류역 지형변화 예측)

  • Kim, Kang-Min;Lee, Joong-Woo;Huh, Myung-Kyu;Jeong, Dae-Duck;Lee, Hyeong-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38-39
    • /
    • 2018
  • 낙동강 하구 하류역의 지형변화는 장기간에 걸쳐 변화가 발생하고, 이러한 지형변화의 메커니즘을 파악하는 것은 하구의 관리방안과 처리방법 등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구 하류역의 지형변동에 관한 기초자료를 수집 분석하였으며, 이를 근거하여 지형변화 예측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하굿둑 건설과 부산신항 건설 등의 대규모 개발사업으로 인한 해수면 축소로 인한 유속감소로 인하여 전반적인 퇴적우세 현상이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빈류 실험결과 울타리선 남쪽과 동서쪽으로 지형 발달 및 성장이 지속될 것이라 판단된다.

  • PDF

Variations of Physical Oceanographic Environment Caus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Floodgate in Nakdong Estuary (수문개폐에 따른 낙동강 하구둑 하류부의 해양물리환경변화)

  • Kim Ki-Cheol;Yang Han-Soeb;Kim Cha-Kyum;Moon Chang-Ho;Jang Sung-T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2 no.2
    • /
    • pp.49-59
    • /
    • 1999
  • Nakdong Estuary is complex water system, where sea water and fresh water meet each other. After construction of Nakdong River Barrier, the flow pattern and mixing processes have been changed. Variations of physical oceanographic environment in Nakdong Estuary due to opening and closing the floodgate of Nakdong River Barrier are analysed focusing the movement of outflows from the barrier. Surveys and analysis were made for the three cases. 1. Ordinary times (opening and closing the gate by the tidal period) 2. A period of flood time (opening the gate) 3. A period of water shortage (closing the gate).

  • PDF

Regional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y in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 하류 권역별 조류군집의 특성)

  • Hong, Soon-Bo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7 no.5
    • /
    • pp.269-281
    • /
    • 2004
  • The survey of birds in Nakdong River Basin was conducted from March in 2003 to February in 2004. This study shows that the population of birds was 94,481 individuals and 114 species. The bird recorded in Daemadeung (Ⅰ) was 21,781 individuals and 55 species. It is surrounded with silt to have a better condition for a habitat and the rest place than other areas in the Nakdong River Basin. In the traits of the groups, Grebes were well established in the lower estuary(Eulsook islet), Cormorants in the main stream of the Nakdong River and around West Nakdong River (F). Swans, Shelduck and Shorebirds were using silt in the lower estuary where the depth of water is shallow, dabbling ducks were also established in West Nakdong River (F) and Yummak (C), diving ducks in the upper Nosan Watergate in West Nakdong River (F). Besides, land birds was distributed in the Yummak (C), Eulsook islet (A) and West-Nakdong River (F). Because they are connected with the artifical forest in Eulsook Islet Garbage Field and Ⅱwoong islet, it is good for the land birds and the water birds to have a habitat in this kinds of vacant lot. The Nakdong River Basin is not only an important area as the habitat and rest place for ducks and geese but also one of the areas where we can not get out of the temptation to development. To preserve effectively the natural habitat from human s intervention, it needs to keep supervising in Daejeo Watergate (E) and the upper area Noksan watergate in West Nakdong River (F) and Yummak (C).

Analysis of the estuary outflow characteristics of floating debris in the downstream of Nakdong River using satellite location tracking buoys (위성 위치 추적 부이를 활용한 낙동강 하류 부유쓰레기의 하구 유출 특성 분석)

  • Jang, Seon-Woong;Yoon, Hong-Joo;Seo, Won-Cha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0 no.2
    • /
    • pp.157-164
    • /
    • 2015
  • The present study is to identify discharge characteristic from the mouth of floating debris in the Nakdong River through real time tracking of moving route and by analyzing hydrometeorologic environmental. To identify the path and route of outflow through the mouth of the river of floating debris, small-sized buoy equipped with satellite location transmitters was used. Moreover, to identify hydrometeorologic environmental, flux of the river, change of discharge of the River-Mouth Weir and wind direction of the mouth of the river area were analyzed. From now on, the present study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to identify damage and flowing into nearby ocean of the floating debris of Nakdong River in time of severe rain storm.

Water Quality Modeling of the Nakdong River due to Restoration Project (낙동강 살리기 사업에 따른 수질 변화 예측)

  • Kim, Min-Ae;Seo, Dong-Il;Bae, Soon-Y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18-218
    • /
    • 2011
  • 낙동강은 4대강 살리기 사업에 의해 8개의 보(상주보, 낙단보, 칠곡보, 강정보, 달성보, 합천보, 함안보)가 하천 내에 건설되고 약 4억톤의 준설이 실시되면서 지형적으로 막대한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낙동강은 상류의 안동댐 및 임하댐에서 방류수, 중류의 구미 및 대구 등의 오염원 그리고 하류의 남강에 의한 영향 및 낙동강 하구언에 의한 정체에 의한 영향으로 지역적으로 수질 및 수리 특성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낙동강에 건설되는 수중보들 또한 이러한 유입 및 경계 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수질특성을 나타낼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대한 영향을 미리 예측하고 발생 가능한 악영향에 대한 대안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의 4대강 사업에 의한 지점별 및 시기적 영향을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 3차원 수리동역학 모델 EFDC와 수질모델 WASP을 연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안동댐 방류지점에서 낙동강 하구역까지의 총 334km의 지역을 포함하였으며 하천의 폭 방향, 수심방향 및 흐름방향에 대하여 3차원으로 격자를 구성하여 하천을 표현하였다. 수리 및 수질 보정에 필요 한 입력자료는 국토해양부 및 환경부 등에서 발표 된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2007년을 기준으로 모의를 실시하였다. 4대강 살리기 사업에 의한 8개의 보 건설 및 낙동강 전역의 준설의 영향을 예측하여 사업 전 및 사업 후로 각각 구분하여 비교하였으며 사업 후 체류시간의 증가와 준설로 인한 수심증가에 따른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수질에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 후 낙동강의 각 수중보 출구 부근 지점에서 예측된 수질 특성은 사업전에 비하여 $BOD_5$는 전반적으로 감소하나, TN 및 TP 는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Chl-a 농도는 상류와 중류에서는 체류시간의 증가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수질이 양호한 상류 지역에서 특히 큰 차이를 나타내는 경향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낙동강 하구언 지역은 Chl-a 농도가 사업에 의해 약간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어 여타 구간과 다른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낙동강 하류의 Chl-a 농도가 이미 매우 높은 상태에서 체류시간에 의한 성장 촉진 보다는 수심증가로 인한 광량제한 효과가 더욱 지배적으로 나타난 것에 의한 영향으로 추정된다.

  • PDF

Status and plan of 'Operation rule improvement and ecological restoration plan of Nakdong estuary' ('낙동강하굿둑 운영개선 및 생태복원 방안 연구 용역' 추진현황 및 계획)

  • Noh, Hee Kyung;Ryu, Hyung Kwan;Ryu, Jong Hyun;Kim, Hwa Young;Chun, Ja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1-22
    • /
    • 2020
  • 낙동강 하굿둑(이하 하굿둑)은 1987년 부산 사하구와 강서구 사이에 건설되어 하류 지역의 바닷물 유입을 막아 부산, 울산, 경남 등에 안정적으로 생활·농업·공업 등의 분야에 용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해왔다. 현재, 하굿둑의 수문은 낙동강 상류로부터 하류로 흘러내려오는 민물(담수)을 방류하기 위해서만 하굿둑 수문을 개방하고 있다. 하구는 하천의 담수와 바다의 염수가 서로 만나는 구역으로 바닷물과 염수의 밀도차에 의한 혼합으로 자연상태의 하구에서는 담수와 염수가 섞이는 기수역이 형성되며, 이러한 특성으로 하구 인근의 지역에서는 일반적인 하천 및 해양, 연안과는 분명히 구별되는 생태계가 조성된다. 하굿둑 건설이후 바닷물(해수)과 민물(담수)이 만나는 낙동강 어귀에 기수생태계가 사라지면서 바닷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생태계를 복원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으며, 하굿둑이 지역에 기여해온 사실은 분명하나 하굿둑으로 인해 생태계 단절이 발생하고 기수생태계가 파괴되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하굿둑을 개방하여 과거 기수생태계를 복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하굿둑의 기수생태계 복원을 위해서 관계기관 합동으로 의사결정을 하고 효율적인 개방 방안을 모색하는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 운영 중이고, 실무협의회 논의를 통해 5개 주요 관계기관(환경부, 국토부, 해양수산부, 부산광역시, K-water) 공동으로 "낙동강하굿둑 운영개선 및 생태복원 방안 연구용역"을 추진 중이다. 2018년 1단계 용역이 완료되었으며, 2019년부터 2단계 연구용역을 추진 중이고 하굿둑 개방의 수준별로 각종 영향을 검토한 후 대책을 마련하여 기수생태계 복원 방안을 수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단계 연구용역에서는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기수생태계 복원방안 마련을 위해서 실제로 해수를 유입시키는 3차례의 실증실험 및 수리모형실험 등을 추진한다. 기존 연구들에서도 수문개방에 따른 해수유입 영향에 대해 모델링을 통해서 분석했지만 이는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결과로 이번 용역에서는 실제 해수를 유입시키고 염분의 침투 및 각종 수생태 영향을 모니터링 한 후 그 결과를 반영하여 모델링을 고도화하고 있다. 최종적으로 고도화된 모델링 결과를 기반으로 기수생태계 조성 방안별로 염분, 수질, 수생태, 침퇴적 등 각종 분야에 대한 정확한 영향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포함하여 최종적으로 바람직한 기수생태계 복원 방안을 제시할 계획이다. 기수생태계 복원 방안이 계획에만 그치지 않고 실행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 필요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공감대를 형성해 나아가고 있으며 지역주민, 전문가, 관계기관 등 민(民)·관(官)·학(學)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하구지역내 수량-수질-수생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복원 방안을 마련 후 사회적인 합의를 추진하여 확정할 예정이며, 하구의 안정적인 관리를 위해 AI 등 4차 산업혁명기술을 적극 적용하는 스마트한 하구물관리(Smart Estuary Watershed Management)"를 활용한 "하구통합물관리" (Estuary Integrated Watershed Management) 등 과학적인 관리를 추진할 계획이다.

  • PDF

Trends of Phytoplankton Community and Water Quality and Implications for Management in Estuarine River Systems (국내 연안 하구역의 식물플랑크톤 생체량 (chlorophyll a) 및 수질 동향)

  • Lee, Chang-Hee;Cho, Ki-An;Song, Eun-Sook;Sin, Yong-Sik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8 no.2 s.112
    • /
    • pp.160-180
    • /
    • 2005
  • Long-term data (Ministry of Environment Water Quality Monitoring data) of phytoplankton biomass (chlorophyll a) and water quality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rends in biomass of the primary producers and water quality for the estuarine systems in Korea: Sumjin River, Han River, Asan Lake- Bay, Youngsan River, Keum River and Nakdong River. The literatures were also review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biomass and water quality in the estuarine systems. The Sumjin River estuary, the single estuary without a dike in Korea showed the characteristics similar to other typical estuarine systems. Phytoplankton biomass was high during the fall at transitional regions (5 ${\sim}$ 15 psu) after riverine freshwater inputs were increased in summer. Concentrations of the nitrate and silicate were increased with the high river discharge rates. Phytoplankton biomass and nutrient concentrations were high during spring at the lower regions in the Han River whereas phytoplankton biomass and nutrient concentrations were high during spring at the upper regions in the Youngsan River. Phytoplankton biomass was the highest in the Asan Lake and nutrient concentrations were high at the upper region of the lake. In Nakdong River, phytoplankton biomass was high during winter and the biomass was slightly higher at upper region than at lower region. Long-term trends showed that total nitrogen and total phosphorus were mostly increased in the river systems.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relevant to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for the river systems were also discussed.

A study on the precise prediction of tides using long-term tidal observation data at the Nakdong River Estuary (낙동강 하구 장기조석관측 자료를 이용한 조위의 정밀예측 연구)

  • Park, Byeong Woo;Kang, Tae S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69-269
    • /
    • 2022
  • 최근 낙동강 하구 기수생태 복원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하굿둑 외해측의 보다 높은 정도를 가지는 조석예보치 산정과 이를 통해 하굿둑 방류량과 해수 유입량을 추정하여 주변 환경 등을 예측할 수 있다. 기수생태 복원이 본격으로 논의가 진행 전인 2016년까지는 하구에서 수km 떨어진 기존 조위관측소(부산 및 가덕도)를 활용하여 하류수위를 예측하여 왔지만 조위 높이와 위상 차이로 인하여 활용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낙동강 하굿둑 인접 외해역에서 조석 영향을 받는 수위관측치를 이용하여 조석조화분해를 통해 조위 예측을 보다 정밀하게 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구방법으로는 낙동강 하굿둑 외해역에서 관측된 2016년, 2017년 각각 1년간 10분간격으로 관측자료의 저장상태 및 이상자료 유무를 확인하고, 조석조화분해 프로그램인 TASK2000(Tidal Analysis Software Kit) Package를 이용하여 2016년, 2017년 낙동강 하굿둑 인접 외해역에서 관측된 조위자료를 각각 조석조화분해한 결과로 관측조위와 예측조위 비교하였고, 관측조위와 예측조위를 뺀 성분인 조석잔차성분을 구했다. 조화분해결과, 낙동강 하굿둑 외해역은 일반적인 연안역의 조석과는 달리 하천수의 유출, 배수갑문의 조작, 연안사주지형에 의한 조석변형 등 매우 복잡하고 불규칙적인 특성인 기상성분(기압, 바람 등)에 의한 교란을 고려한다면 예측정확도가 상당부분 확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주기 성분과 비선형 조석성분의 크기를 비교해 볼 때 거의 편차가 없이 나타나 조석조화상수를 이용한 예보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위검증은 2016년의 1년치의 조석자료를 이용하여 조화분해된 조화상수 63개를 이용하여 2017년의 조석 예보치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2017년의 낙동강 하굿둑 외해역의 조석관측치와 조석예측치를 1대 1 비교하는 방식으로 검증하였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두 성분에 대하여 Regression Analysis를 수행하여 예측조위와 관측조위 사이에는 Pre=0.9535×Obs+0.396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두 성분간의 상관도는 0.9535로 높게 나타났다. 조위예측 프로그램인 TASK2000 Package 중 MARIE를 이용한 조위예측 프로그램의 신뢰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되고, 해당년도 조위예측 시에는 가능하면 직전년도의 1년 조석관측자료를 조화분해하고 얻어진 조화상수를 이용하여 조위예측을 실시하면 보다 정확한 자료를 얻을 수 있다.

  • PDF

Bacterial Biomass and Secondary Productivity in Naktong River Estuary (낙동강 하구생태계의 세균 생물량과 이차생산성)

  • Song, Sung-Joo;Kwon, O-Seob;Lee, Hye-Joo;Lee, Jin-Ae;Kim, Young-Eui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32 no.3
    • /
    • pp.238-244
    • /
    • 1994
  • To investigate the bacterial potentials for utilizing dissolved organic matter in highly eutrophic estuary, the annual fluctuations of micro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environmental parameters were analyzed in Naktong River Estuary. Total bacterial number ranged from 0.33 to $2.09{\times}10^7$ cells/ml, and correlated with the heterotrophic bacterial numbers in more eutrophic sites, especially. Bacterial biovolume and biomass varied between 0.064 and 0.156 2.09${\mu}m^3$/cell, 0.163 and 1.036 ${\mu}g$-C/ml, respectively. Bacterial secondary productivity ranged from 0.24 to 60.86 ${\mu}g$-C/l/h, and showed high correlations with the environmental parameters of pollution indicator. The seasonal variation pattern of bacterial productivity in freshwater sites was high in winter and low in summer, which was interpreted as the results of pollution loads varied with the amount of rainfall. In seawater site, the pattern was different from those of freshwater sites; high in summer and low in winter. In this site, the values of bacterial productivity showed positive correaltions with chlorophyll a, heterotrophic bacterial number, and temperature (r>0.5, p<0.05).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main source of organic matter which influences the bacterial productivity may be allochthonous materials in the upper freshwater zone of Naktong River Barrage, and autochthonous algal excretory products in the lower seawater zone of Naktong River Barrage.

  • PDF

Characteristics of Fish Fauna Collected from Near Estuaries Bank and Fish-way on the Bank of Naktong River (낙동강 하구둑 수역의 어류 군집구조와 어도 이용 어류)

  • Kang, Eon-Jong;Yang, Hyeon;Lee, Heung-Hun;Kim, Kwang-Sug;Kim, Chi-Hong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24 no.3
    • /
    • pp.201-219
    • /
    • 2012
  • The estuaries bank of Nakdong River, Korea, was constructed in 1987 and many arguments have been under discussion on the subject of ecological impact on ecosystem during 20 years. In this context, however, it was not focused on the role of fish-way and the way of improvement to promote fish movement to complete its life history. This paper was the result of investigation on fish fauna of upper and lower part of the bank and the analysis of comparison of the fishes with those using fish-way which were installed in each side of bank as ladder type and fish gate. The authors discussed the importance of fish gate and its management base on the result. The number of fishes collected in this study for upper part of estuaries bank was 31 species, among them 71% was the pure freshwater residents indic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s a freshwater ecosystem. It was observed that 9 species of coastal fishes were found in this region including Coilia ectens and Neosalanx sp. which is anadromous to spawn. Excluding 6 freshwater fishes, 30 fish species collected in lower part of estuaries bank were coastal fishes indicating that former brackish ecosystem was changed into marine one. The freshwater fishes found in this region were restricted the appearance only in the season of discharging freshwater into the sea. The number of fishes found in fish-way was 39 species, more than that of river and coast. But only 19 species founded in fish ladder was comparable with the result of investigation on fish gate including 32 species. It was considered that the fish gate has more important role as a fish passage from the fact that only it allowed to movement of numerous number of fry of Neosalanx sp. and Engraulis japonicus. These results indicates that two-way movement system is more efficient than downward only one in estuaries bank for fish mig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