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나주시

Search Result 12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udy on Provenance of the 5th Century Jar Coffin using Neutron Activation Analysis (중성자 방사화분석에 의한 5세기 옹관의 산지 연구)

  • Chung, Kwang-Yong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26 no.4
    • /
    • pp.459-465
    • /
    • 2010
  • The 5th century kiln that produced pottery coffins was foun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located in the Oryang-dong remains in the city of Naju. This kiln, located in the central area of the Yeongsan River, provides important data for research on mortuary practices in prehistoric society, including the structure of production and patterns of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For this study, the remains of five ancient tombs and pottery coffins excavated from the 4th century Mandong archaeological site were chosen to determine the area of consumption of pottery coffins produced at the Oryang-dong kiln. The samples from each area of remains were analyzed for minor elements using neutron activation analysis method, and from these results, the identities of the corresponding production areas were investigated using the multi-variant statistical analysis of discriminant analysis. The evidence strongly suggests that pottery coffins produced at the Oryang-dong kiln in Naju were used in ancient tombs of the Bannam mound in Naju, the Okyari mound in Yeongam, and the Banam mound in Hampyeong, reaching those sites through trade and distribution.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pottery coffins from the Mandong archeological site in Gochang and the Inpyeong mound in Muan were not produced at the Oryang-dong kiln in Naju, but rather were brought from pottery kilns in different production areas, through trade and distribution.

A Chaos Characteristic Analysis of Nonlinear Rainfall-Runoff Data (비선형 강우-유출량 자료에 대한 카오스 특성 분석)

  • Park, Sung-Chun;Jin, Young-Hoon;Oh, Chang-Ry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614-618
    • /
    • 2005
  • 수문시계열 분석과 예측은 대부분 ARMA(AutoRegressive Moving Average) 형태의 선형적인 추계학적인 모형을 이용하였으나 자현현상이 복잡해지고 비선형적인 특성을 가짐에 따라 선형적인 해석은 수문시계열의 분석과 예측에 있어서 많은 오류를 내포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로 Chaos이론이란 개념이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수자원분야에서는 1980년대 후반부터 물수지 방정식 및 강우유출에 대한 카오스적 특성분석 등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유역의 본류를 대표하는 나주지점을 대상으로 2003년 1월 1일 00시부터 2004년 12월 31일 23시까지 17,544개의 시수위 자료에 대하여 해당 년도의 Rating-Curve식을 적용 환산한 유출량자료에 데한 카오스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카오스적 특성을 분석하기에 앞서 원자료에 대하여 이동평균법과 Savitzky-Golay Filter를 적용하여 잡음을 제거하였으며, 1차원의 단일변량의 자료에 대한 상태공간(Phase Space)의 재건을 통하여 비교검토 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거친 자료에 대하여 상관차원법을 이용하여 영산강 유역의 나주지점의 시유출량 자료에 대한 카오스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저차원의 수렴으로 카오스 특성을 가졌다.

  • PDF

The Study on the Spatial DB Construction of local Government by Local Government Needs (지방자치단체의 공간정보수요에 따른 공간DB 구축방안 연구)

  • Lim Young-Taek;Choi Bong-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11a
    • /
    • pp.317-323
    • /
    • 2005
  • Having been speed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Local Governments have been constructed the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for supporting regional development. This paper will intend to find the problems of constructing spatial DB, the scheme of solving the problems. In addition, this paper will intende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establishing spatial DB, which reviewed the case of Naju City on constructing GIS.

  • PDF

Application of SWAT Model for the Detection of Long-term Change of Runoff and Water Quality Data in a Watershed (유역내 유출 및 수질자료의 장기적 변화 파악을 위한 SWAT 모형의 적용)

  • Park, Sung-Cheon;Jin, Young-Hoon;Yang, Dong-Hyeon;Kim, Jae-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149-1153
    • /
    • 2010
  • 본 연구는 SWAT모형을 이용하여 지석천유역의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상태에 따른 유출량 및 수질을 모의해 보았다. 대상지점은 유출량 및 수질 실측자료의 수집이 용이한 지석천유역의 말단부의 남평지점을 대상지점으로 선정하였다. 남평지점의 2002~2005년 일별 유출량 및 8일 간격 수질측정 자료와 지석천유역내에 위치한 나주댐의 방류량자료를 바탕으로 2002년 자료를 활용하여 모형의 보정을 실시하였으며, 2003~2005년 자료를 사용하여 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세밀한 모의를 위해 지석천유역에 해당하는 나주시와 화순군의 1차 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보고서를 활용하여 점오염원의 유입조건을 추가 하였다. SWAT 모형에 의한 모의결과 유량자료에 대해서는 실측자료와 모의값이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나, 수질자료에 대한 모의결과는 유량자료에 대한 결과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오차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이는 대상유역 내에 산재해 있는 점오염원 자료의 보다 정확한 확보와 입력에 의해 보완되어 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대상지점인 남평지점의 유출량 및 수질자료 모의를 위하여 SWAT 모형의 적용성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Research about characteristic analysis by operation data of PV/Wind system and solar radiation/wind speed at Naju city (나주시 일사량/풍속 및 PV/Wind 시스템 운영 데이터를 이용한 특성 분석 연구)

  • Jeon, Gwang-Yeon;Choi, Hong-Jun;Cha, In-Su;Yoon, Jeong-Phil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7.07a
    • /
    • pp.58-60
    • /
    • 2007
  • 국내 신재생에너지의 보급은 정부 보조금 지원을 통해 국내 지역별로 다양한 형태, 발전 용량으로 보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태양광 발전의 주택보급과 산간지역의 풍력발전 보급은 발전 규모와 설비가 대형화 되어 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발전 시스템 지원을 위한 지역 기후 현황 분석과 발전 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해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PDF

Water quality and runoff simulation in the Jiseok Stream Basin using SWAT Model (SWAT 모형을 이용한 지석천 유역의 수질 및 유량 모의)

  • Park, Sung-Chun;Yang, Dong-Hyun;Jin, Young-Hoon;Kim, Dong-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014-2017
    • /
    • 2009
  • 유출량과 수질자료는 하천을 관리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수문자료이다. 미계측 유역의 경우 유출량은 면적비유량법 및 강우-유출모형을 통해서 유출량을 산정하고 있다. 강우-유출 모형에는 HEC-1, HEC-HMS, SWMM등의 여러 가지 모형이 쓰이고 있으며, 수질자료는 Qual2K, Qual2E 등의 모델을 이용하여 자료를 산출하고 있다. 기존의 모델들은 토지이용과 토양의 특성을 반영하기 어렵다. 토지이용과 토양의 특성을 반영하기 어려웠던 기존의 모형과는 달리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의 경우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이용함으로써 정확한 토지이용과 토양특성을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시 공간적 변화를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유역을 소유역으로 세분화함으로써 수문학적 응답 단위(Hydrologic Response unit : HRU)로 계산이 가능하여 더욱 세밀한 모의가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SWAT모형을 전남 나주시와 화순군에 걸쳐 흐르는 지석천 유역에 적용하여 유출량과 수질을 모의함으로써 실제유역과 유사한 물리적 모의를 실행하였다. 그 결과 SWAT모형이 대상지역의 부하량과 유출량 모의에 높은 적용성을 나타냈다.

  • PDF

Analysis of Runoff Change in YeongSan River Watershed on the Dam Operation (영산강 유역의 댐 운영에 따른 유역 유출 변화 분석)

  • Kim, Nam-Won;Shin, Ah-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00-400
    • /
    • 2011
  • 영산강 유역은 한강, 낙동강, 금강과 더불어 우리나라 4대강 유역 중의 하나로 전라 남 북도에 걸쳐 위치하고 있어 우리나라 남서부의 수자원 공급 및 용수이용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유역 특성상 나주평야와 같이 하천을 따라 평야가 발달되어 곡창지대를 이루고 있으며, 타 유역에 비하여 농경지의 비율이 높기 때문에 용수 이용에 있어 농업용수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따라서 영산 본류 및 지천 상류에는 농업용수의 안정적인 공급을 목적으로 제 1단계 영산강수계 대단위 농업종합개발사업에 의하여 4개의 농업전용 댐(장성댐, 나주댐, 담양댐, 광주댐)이 건설되었다. 이들 댐은 농업전용 댐으로 건설되었으나 댐의 규모와 저수 용량을 기준으로 장성댐, 나주댐, 담양댐은 대규모, 광주댐은 중규모의 댐에 속하기 때문에 농업용수의 안정적인 공급뿐만 아니라 시 공간적으로 유역 전체의 유출 변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역모형인 SWAT-K 모형을 이용하여 영산강 유역의 댐 운영이 유역 유출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장기간의 유출 분석을 바탕으로 모형의 댐 모의기작에 의하여 댐 모의를 제한하여 유역 내에 댐이 없는 상태를 가상으로 모의하여 유역의 자연유량을 산정하고, 이에 따른 유역의 전체 유출 변화에 댐이 미치는 영향을 시 공간적으로 분석하여 유역의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A Factor Analysis on the Satisfaction of Administrative Service of Community (요인분석을 통한 지역사회 공공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연구)

  • Choi, Rack-I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1 no.5 s.43
    • /
    • pp.299-310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 effect for the resident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against public administrative service to provide for community residents by the rural-urban consolidation community in the case of 3 cities (Sunchon, Gwangyang, Naju) that have consolidated since January 1995 and Yeosu city that has consolidated in March 1998. This study attempted to empirical survey and analyzed 270 number of 4 cities residents samples in Jeollanamdo through SPSSWIN. As a result of this factor analysis, equality of public administrative service, counterplan of residents, efficiency and access of administrative organ are showed as factors are associated with the satisfying degree of public administrative services for community residents.

  • PDF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Properties of Clay-silt sediments Exposed in Jangdongri, Naju, Korea (전남 나주시 장동리 지역에 노출된 적갈색 점토-실트 퇴적물의 광물 및 지화학적 특성)

  • Kwak, Tae-Hun;Jeong, Gi Young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0 no.1
    • /
    • pp.11-19
    • /
    • 2017
  • Reddish brown clay-silt sediments covered granitoid weathering crust in the Jangdongri area, Naju, Korea.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properties of the ~2 m sediment section were investigated. The sediments were composed mainly of quartz (50%) and clay minerals (45%) with minor contents of K-feldspar, goethite, hematite, and gibbsite. The clay minerals were illite, illite-smectite mixed-layers, vermiculite, hydroxy-Al vermiculite, kaolinite, and halloysite. Mineral composition varied little through the section with the minor upward enrichment of plagioclase and chlorite. Abundant illitic clay minerals indicated the remote source of the sediments because clays derived by granite weathering in Korea were dominated by kaolin minerals. A comparison with the mineral composition of Asian dust (Hwangsa) suggested that plagioclase and K-feldspar disappeared by chemical weathering after deposition, resulting in the quartz and clay-rich sediments. Plagioclase and chlorite altered to kaolin and vermiculite, respectively. Goethite and hematite derived by the weathering of iron-bearing minerals stained the sediment to reddish brown color. The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properties of the reddish brown clay-silt sediments were consistent with those of eolian deposits identified in Korea, supporting eolian origin of the Jangdongri sediments, requiring future confirmation including age dating and isotopic analysis.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one-Cultural-Properties and Weathering Phenomena of the Rocks for Conservation(II) - Naju, Hwasun, and a Part of Jangheung, Cheollanam-do (보존을 위한 석조문화재의 특징과 암석의 풍화현상에 대한 연구(II) -전라남도 나주시, 화순군, 장흥군 일부지역-)

  • Lee, Sang Hun;Shin, Cheol Kyun;Choi, Gi Ju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6 no.1 s.7
    • /
    • pp.31-60
    • /
    • 1997
  • Stone-cultural-properties, distributed in Naju, Hwasun and a part of Jangheung, have been investigated and studied on the characteristics, rock weathering and phases in the geological and conservational points of view. The properities involve pagoda and twelve stupas, four stone-buddha, three stone monuments, two stone-lantern, four stone-Jangseung, one and flag-pole. The rocks used are mainly pebble-bearing tuffaceous rocks of the Cretaceous age which are widely distributed in the area. However, granites are also used in some properties. These rocks are strongly influenced by weathering and pervasive moss. The mottled rock surfaces in some properties are in colors due to pervasive moss different. Parts of some cultural properties are broken which results in structurally unstable. Cultural properties in the area are relatively well conserved at the earth consolidated by ramming and by iron fence. However some cultural properties are partly repaired by using other hinds of rock phases which results in different colors in weathered rock surface. For conservation, rock phases, weathered surface colors, and relationships with original parts must be scientifically considered in repairment forwar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