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나노 소재

Search Result 1,07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Current Research Trends in Water Treatment Membranes Based on Nano Materials and Nano Technologies (나노 기술을 이용한 수처리 분리막 소재의 최근 연구동향)

  • Lee, Hee Dae;Cho, Young Hoon;Park, Ho Bum
    • Membrane Journal
    • /
    • v.23 no.2
    • /
    • pp.101-111
    • /
    • 2013
  • Nano materials having large surface area, uniform dimensions or pores can be utilized in various membrane applications. Recently, many studies have been focused on the application of nano materials and nano technologies in membrane applications by the help of the discovery and development of nano technologies. in terms of mass transport channels or functional modification. However, there have been several technological limitations for commercialization. Nano materials and nano technologies can improve 1) permeability, selectivity, 2) mechanical, chemical, thermal stability or fouling tolerance of conventional membranes and even 3) introduce new functionalities such as specific affinity and reactivity.

나노카본를 이용한 기능성 필름 연구

  • Han, Jong-Hun;Sin, Gwon-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8a
    • /
    • pp.110-110
    • /
    • 2012
  • 탄소나노튜브와 그래핀 소재는 나노 스케일의 탄소를 대표하는 소재로서 전기적, 기계적인 특성이 뛰어나며,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환경 친화성을 가지고 있다. 탄소나노튜브의 경우 전기적으로 도체 및 반도체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이 아니라 직경이 최소 1 nm 수준으로 종횡비 및 비표면적이 매우 큰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차세대 정보 전자소재, 고효율 에너지 소재, 고기능성 복합소재, 친환경 소재 등의 분야에서 많은 응용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래핀의 경우 실리콘의 100배에 이르는 전하 이동도, 구리의 100배에 이르는 전류밀도를 가지며, 열전도도 및 내화학성이 뛰어나고 다양한 화학적 기능화가 가능할 뿐 아니라 뛰어난 유연성과 신축성을 보이면서 그래핀 자체의 물리화적 특성구명과 더불어 투명전극, 반도체, 에너지 전극, 구조체, 가스 베리어 등의 응용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최근의 나노카본 기반의 투명전극 및 기체 차단 필름의 연구 개발동향 등에 대해 발표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and Prospect of Nanomaterials Industries from the Perspective of Mechanical Engineering (기계공학 관점에서 살펴본 나노소재 산업의 발전 및 비전)

  • Kim, Dae Seong;Choi, Mansoo
    • Transactions of the KSME C: Technology and Education
    • /
    • v.5 no.1
    • /
    • pp.69-77
    • /
    • 2017
  • Nanotechnology, along with Information Technology (IT) and Bio-technology (BT), has been regarded as a core area that will drive technological revolution of $21^{st}$ century. South Korea and other countries with advanced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research programs are investing heavily in the field, and among its various aspects, nanomaterial industry is considered to be at the heart of this global competition. In this review, we look at nanomaterials industry from the perspective of mechanical engineering. Nanomaterials exhibit unique characteristics differing from those of micron, or sub-micron sized materials, and hence are potentially able to open up new opportunities. Specifically, environmental and biological sciences, energy, and catalysis are areas that are expected to benefit from these developments.

Stretchable Electrode using Silver Nanowire (은 나노와이어를 사용한 스트레처블 전극 연구)

  • Choe, Ju-Yeon;Jeong, Seong-Hun;Kim, Hyo-Jeong;Kim, Do-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8.06a
    • /
    • pp.49.1-49.1
    • /
    • 2018
  • 신축성 디바이스는 다양한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고 형태에 대한 제약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신축성 디바이스의 핵심인 신축 전극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물결무늬나 코일 형태의 금속 전극, 탄소 소재를 사용한 전극, 하이드로젤 전극 등이 연구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공정과정이 복잡하거나, 변형시 전기적 저항 변화가 크다. 또한 단일 소재를 활용한 신축성 전극은 물질적인 한계로 인하여 신축성을 향상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 신축 전극에 많이 사용되는 은 나노와이어는 용액에 분산되어 있어 공정이 쉽고, 좋은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소재이다. 은 나노와이어는 네트워크 형태로 얽혀있어 신축성 있는 배선의 재료로써 좋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지만, 은 나노 와이어만 사용하여 제작한 배선은 늘렸을 때 나노와이어들 간의 접촉 불량으로 저항이 증가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배선을 형성하고 있는 금속 나노소재 간 전기적 접촉을 향상시키기 위해 은 나노와이어와 은 나노입자를 섞어 하이브리드 잉크를 제작하여 전극을 형성했다. 하이브리드 잉크로 제작한 전극을 신축성 있는 고분자에 함입하여 신축률에 따른 저항을 평가했다. $175^{\circ}C$에서 열처리한 전극을 5% 늘렸을 때, 단일 소재인 은 나노와이어나 은 나노입자만을 사용한 경우는 전극이 끊어지거나 저항이 175%나 증가했지만, 하이브리드 잉크를 사용했을 때는 16.5% 증가했다.

  • PDF

다차원 구조의 그래핀-산화구리 나노선 복합 필러의 열전도도 특성

  • Ha, In-Ho;Lee, Han-Seong;An, Yu-Jin;Park, Ji-Seon;Seo, Mun-Seok;Jo, Jin-U;Lee, Cheol-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433.2-433.2
    • /
    • 2014
  • 그래핀(graphene)은 탄소나노튜브(CNTs)에 비해 가격 경쟁력이 있고 우수한 광투과성과 전기 및 열 전도성을 갖고 있어 반도체 소재, 방열 소재, 접점 소재 등에 적용 가능성이 높은 재료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모바일 디바이스의 소형화, 고집적화 등의 이슈로 인해 그래핀 소재의 방열 소재 적용을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산화 구리 나노선(CuO Nanowire)은 전기 및 열전도도가 우수하고 1차원 나노 구조는 부피대비 큰 표면적, 종횡비가 커서 뛰어난 열전도 구조로서 방열 소재로 응용되기 좋은 조건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차원 구조의 그래핀 나노플레이트(Graphene Nanoplatelet)와 1차원 구조의 CuO NW를 하이브리드화를 통해 열전도도 향상를 개선시키고자 하였다. 소재 합성은 GNP에 Cu 무전해 도금을 진행한 후 열산화 방식을 적용하여 CuO NW를 직접 성장시키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합성된 GNP-CuONWs 다차원 나노구조체의 열전도도 측정은 에폭시에 분산시켜 레이져 플레쉬법을 이용하였다. 미세 구조 관찰 결과, CuO NW 성장 거동은 열처리 온도 및 시간 그리고 O2 가스의 순환 환경이 주요인자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열전도도 향상은 다차원 구조의 특성으로 인해 면접촉과 선접촉이 동시에 이루어졌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러한 CuO NWs morphology와 열전도도 향상과의 상관 관계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 PDF

Science Technology - 꿈의 나노 물질 그래핀, 전자산업 패러다임을 바꾼다

  • Kim, Hyeong-Ja
    • TTA Journal
    • /
    • s.124
    • /
    • pp.16-17
    • /
    • 2009
  • 탄소나노튜브, 나노기술과 연관돼 누구나 한번쯤 들어봤을 만한 용어다. 튜브 모양의 이 탄소 덩어리는 나노 분야에서 가장 촉망 받는 소재이다. 그런데 최근 탄소나노튜브가 그간 누려온 맹주의 자리를 위협받고 있다. 형태가 약간만 바뀌어도 전기적 성질이 바뀌는 등 시간이 지나면서 여러 한계가 드러나자 이를 극복할 새로운 형태의 물질을 만들려는 연구가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나노전자소자의 다음 시대를 이끌어갈 소재, 바로 그래핀이다.

  • PDF

플라즈마 나노신소재 제조/처리 공정 및 응용

  • Kim, Seong-In;Son, Byeong-Gu;Choe, Seon-Yong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2.05a
    • /
    • pp.53-53
    • /
    • 2012
  • 철원플라즈마산업기술연구원에서 개발된 나노신소재를 제조/합성/처리하는 플라즈마 기술을소개한다. RF열플라즈마를 이용하여 나노Si, CIGS, Nickel, Oxide 등의 나노소재의 제조하는 공법과 그 나노소재의 크기와 물성을 조절하는 조건을 소개한다. 특히 그동안 습식 방법으로만 생산하여온 나노그래핀/나노메탈 융합체를 RF플라즈마 공법을 통하여 이루었다. 나노메탈의 그래핀 판상에서 nucleation site, density등을 조절하는 공법도 소개 한다. 나노신소재 특히 그래핀의 건식 분산을 위하여 대기압플라즈마처리 장비를 개발하였다. 대기압플라즈마 장비를 이용한 그래핀의 functional group 공정도 소개 한다.

  • PDF

Biomass Based Nano Materials and Its Application (바이오매스 기반 친환경 나노소재 개발현황)

  • Han, Seong-Ok;Kim, Hong-Soo;You, Yoon-Jong;Kim, Hee-Yeon;Jeong, Nam-J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6a
    • /
    • pp.434-435
    • /
    • 2009
  • 최근 바이오매스를 친환경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개발 및 응용연구가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바이오매스를 기반으로 한 대표적인 친환경 소재는 바이오복합재료로서 현재 자동차의 내 외장재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응용분야가 전자재료, 포장재료 등으로 다양하게 확대되고 있다. 바이오매스는 이산화탄소 흡수원일 뿐만 아니라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바이오복합재료는 경량재료로서 자동차에 사용될 때 연비향상에 의해 이산화탄소 저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최근에는 바이오매스를 기반으로 하여 고강도 특성 등 기존재료에 비해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나노소재를 제조하고 이를 다양한 에너지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바이오매스를 기반으로 한 친환경 소재로서 바이오매스를 기반으로 한 바이오복합재료 및 친환경 나노소재의 연구동향 및 응용분야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탄소섬유 상 Seed 입자의 결정구조에 따른 은나노구조체 형상 제어

  • Lee, Su-Min;Lee, Jae-Hyeok;Kim, Gwang-Beom;Kim, Seon-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8a
    • /
    • pp.383-383
    • /
    • 2012
  • 최근 나노 소재의 활용 가능성이 확대되어감에 따라 다양한 소재의 나노구조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 중 은(Silver)은 열전도율과 전기전도율이 가장 우수한 금속으로 다양한 형태의 은 나노 입자를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탄소, 비석, 고분자 등의 기판에 다양한 방법으로 성장시키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기판으로 사용되는 재료 중 탄소 복합소재는 내열성, 화학적 안정성, 열전도성, 저열팽창성에 따른 치수 안정성, 유연성 등의 우수한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최근까지 방열 소재로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섬유의 표면에 다양한 결정 구조를 가지는 Ag seed 입자를 형성하고 폴리올 공정을 통하여 와이어 형태의 나노구조체를 성장시켜 그 형상제어 특성을 FE-SEM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Reactivity SiO2 Nano-Materials as Cement Composites (실리케이트계 반응성 나노소재의 시멘트 혼화재로써 적용 가능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 Kim, Won-Woo;Moon, Jae-Heum;Baek, Chul-Woo;Yang, Keun-Hyeok
    •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 /
    • v.9 no.4
    • /
    • pp.529-536
    • /
    • 2021
  • In this study, nano-silica and nano-titanium were selected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binder to reactive nano materials.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nano material candidate group were reviewed. and the reactivity of nano materials was reviewed through K-value. The reactivity of the nano silicate materials was measured to be high. Therefore, as a final candidate group, nano silicate materials were selected. The finally selected reactive nano material was reviewed for its usability as a construction binder.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unit weight of cement paste were reviewed using silica fume and blast furnace slag and nano materials. When cement composites with nano silicate materials,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mechanical performance and decrease the unit weight of cement composi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