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김홍도(金弘道)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시(詩)의 변주, 시의도(詩意圖)와 서발(序跋) - <음중팔선가(飮中八仙歌)>, <음중팔선도(飮中八仙圖)>, <음중팔선도서(飮中八仙圖序)> - (Variations of the poem Song of Eight Drunken Celestials by Du Fu - Paintings Expressing the Poetic Ideas and the Preface and Postscript to the painting)

  • 강경희
    • 동양고전연구
    • /
    • 제37호
    • /
    • pp.189-216
    • /
    • 2009
  • 두보(杜甫)의 <음중팔선가(飮中八仙歌)>와 이를 화제(畵題)로 삼아 회화화(繪?化)한 시의도(詩意圖) 3편과, 원텍스트를 패러디한 <음중팔선도(飮中八仙圖)>를 다시 원텍스트로 삼아 패러디한 세편의 서발(序跋)을 살펴보면서 시라는 양식의 원텍스트가 그림이라는 양식으로, 다시 산문이라는 양식으로 그 모습을 바꾸면서 패러디되는 모습을 보았다. 개원(開元) 천보(天寶) 연간에 취중기행(醉中奇行)로 유명했던 여덟 명의 기인(奇人)을 노래한 두보(杜甫)의 <음중팔선가(飮中八仙歌)>는 많은 화가들에 의해 사랑받는 화제(畵題)가 되어 송(宋) 원(元) 명(明) 청(淸), 조선(朝鮮), 일본(日本) 등지에서 <음중팔선도(飮中八仙圖)>로 다시 태어났다. 이처럼 화가가시에 대한 해석을 회화적으로 재창조한 것을 시의도(詩意圖)라고 하는데 시의도(詩意圖)는 이미 존재하는 시를 전제로 하고 있으므로 이 둘 사이에는 원텍스트와 패러디 텍스트라는 관계가 성립한다. 두보의 마음에 공명한 화가들의 그림 3점, 명대(明代) 우구(尤求)의 <음중팔선도(飮中八仙圖)>, 조선(朝鮮) 김홍도(金弘道)의 <두보시의신선도(杜甫詩意神仙圖)>, 일본모모야마(桃山)시대의 가이호유쇼(海北友松)의 <음중팔선도(음중팔선도(飮中八仙圖)>를 살펴보며 원텍스트를 반복하면서도 각 화가의 개성에 따른 차이를 고찰하였다. 언어로 표현된 <음중팔선가(飮中八仙歌)>를 원텍스트로 삼아 패러디한 시의도(詩意圖) <음중팔선도(飮中八仙圖)>는 문인들이 그림에 부친 서문(序文) 및 제발문(題跋文)을 통해 다시 언어화된 텍스트로 패러디되었다. 화가의 마음에 공명한 조선의 세 문인 이덕무(李德懋), 박제가(朴齊家), 이봉환(李鳳煥)의 서발(序跋)을 통해 <음중팔선가(飮中八仙歌)>가 어떻게 변주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원텍스트와 연속적인 관계에 의한 반복과 각 작가의 독자적인 해석에 의한 차이를 알 수 있었는데, 이덕무(李德懋)는 집정자에 대한 경계로, 이봉환은 회재불우(懷才不遇)한 현인(賢人)으로, 박제가는 현세의 규율을 초월한 천연(天然)스러운 선계(仙界)를 꿈꾸게 하는 대자유인으로 음중팔선(飮中八仙)을 이해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의 풍속화첩(風俗畵帖)에 나타난 서민복식(庶民服飾) 연구 (A Study on the Civil Costume in Genre of Hong-Do Kim)

  • 조오순
    • 패션비즈니스
    • /
    • 제4권3호
    • /
    • pp.91-102
    • /
    • 2000
  • As an economy approach new state of affairs under the influence of the Shil-Hak philosophy, the Joshun society at 18th century gave common people to a chance to impress and to patronize the Arts. This social environment made an artist to drawing see and feel, this is a genre picture. Hong Do Kim(1745-1816 or 1818) was a typical genre picturer of Joshun, his picture reflected the time truthly and honestly and described vividly a life of common people, so expressed Realism what based on the actual.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to study costume of common people and their life style. The costume in a genre picture books are summarized. Man's basic dresses were Jugori and Baji uniformity, but based on the job or situation those had a little variation. People of a blacksmith shop wore that to enlarge sleeve of Bagi and Jugori and wore Strow Sandle exactly, in that way prepared for danger of treating hot iron. On the side, in the summer, Soikojambangiee and Deungguri jucksam wore at grain. The majority of hair style was Minsangtoo that Manggun not to be surrounded a head. Womam's basic dresses were Chima and Jugori, it was not to be different in compare with a woman of the aristocratic class, extremely appeal simplicity. But it was not to be of no accent on fashion even if common people, they wore a shot Dangko jugori that busts were seen below Jugori. A hair style was simple hair that her braid placed aboved a head, different with very richful hair style, Gachae that one‘s braid hair placed above a head, a hair style of woman of the aristocratic class and Kinuer. Because of common people's costume are not a special thing expect for basic dress-Jugori, Baji, Chima, many historical books or articles about costume are not existed.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costume of common people's life, we found that basic dresses appeared to a various types based on the job and the situ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