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김치유산균

Search Result 219,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V+대동여지도_(주)바이오리듬 - 김치유산균의 세계화를 향한 큰 걸음

  • Lee, Hyeon-Gu
    • Venture DIGEST
    • /
    • s.135
    • /
    • pp.25-27
    • /
    • 2009
  • 2000년부터 김치유산균의 효능을 담은 건강식품 개발에 매진해온 (주)바이오리듬(대표 정용현, www.biorhythm.kr)이 지난해 10월 벤처법인을 설립하여 새로운 출발을 알렸다. 요구르트유산균이 잠식하고 있는 유산균제조시장에 '순식물성 유산균'이라는 차별화 전략으로 도전장을 내만 (주)바이오리듬. 김치유산균의 상품화를 통해 우리의 전통음식 '김치'의 뛰어난 가치를 전 세계에 알리는 첨병역할을 하고 있다.

  • PDF

Biolog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in Different Kimchi (김치 종류에 따른 유산균의 생물학적 및 기능적 특성)

  • Ko, Kang Hee;Liu, Wenli;Lee, Hyun Hee;Yin, Jie;Kim, In Cheo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2 no.1
    • /
    • pp.89-95
    • /
    • 2013
  • Biolog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LAB) were investigated in mustard stem/leaf kimchi (MK), cabbage kimchi (CK), young radish kimchi (YRK), and cubed radish kimchi (CRK). LAB of young radish kimchi were mainly composed of bacilli in contrast to the other kimchi. 89.2% LAB isolated from all kimchi harbored plasmids. However, LAB had an average of $4.1{\pm}0.5$ plasmid bands in YRK, more than MK, CK, and CRK. Exopolysaccharides were produced by 10.9~11.1% of LAB, and were especially by LAB isolated from radish kimchi. A significant percentage of LAB (69.5%) ha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one sensitive strain or more. LAB from CK, YRK and CRK had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Bacillus sp., Listeria monocytogenes, and Salmonella Typhimurium, while the LAB from MK had activities against Vibrio parahaemolyticus higher than those from the other kimchi. In YRK and CRK, acid-tolerant LAB were twice as prevalent as those in MK and CK. Bile-tolerant LAB isolated from CRK were more prevalent than other kimchi. When $10^8$ CFU of LAB were added to Caco-2 cells, 12.1% of LAB isolated from all kimchi showed similar adherent activity to Lactobacillus rhamnosus GG. LAB of MK particularly adhered to Caco-2 cells, 2.0~4.1 fold higher than LAB in the other kimchi. From these results, biolog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LAB varied according to the type of kimchi and LAB existing in kimchi were limited to their respective species.

연구여적 - '송어 김치먹이기'로 양어 혁명

  • Jeong, Ga-Jin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3 no.10 s.377
    • /
    • pp.88-91
    • /
    • 2000
  • 백산연구를 통해 송어양식장을 자주 찾던 나는 양식장 주인이 일본제 분말을 송어에게 먹이는 광경을 보았다. 그것은 바로 일본에서 만든 유산균이다. "우리가 먹는 김치에도 훌륭한 유산균이 있는데..."라고 생각한 나는 김치에서 세가지 유산균을 분리해 이를 배양해서 양식장에 보냈다. 내가 보낸 유산균을 먹은 송어들은 건강하게 잔병도 없이 잘 자란다는 것이다. 이것이 인연이 되어 군청과 손잡고 자동화 김치공장도 세우게 되었다.

  • PDF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과 starter를 첨가한 김치의 항암효과

  • Yang, Hui-Jin;Hwang, Gyeong-A;Hwang, Yu-Jin;Lee, Su-Won;Lee, In-Seon;Park, Yong-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5.05a
    • /
    • pp.367-370
    • /
    • 2005
  • 본 연구는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과 starter를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의 항암효과가 in vitro 상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기위해 실시하였다. 유산균의 균체 자체로는 모든 암세포에 있어서 세포독성을 거의 나타내지 못하였으며, 김치액의 경우는 평균적으로 $30{\sim}40%$정도의 세포독성을 보여주었다. 김치액인 K2가 K1에 비하여 다소 높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어 첨가된 starter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유산균의 파쇄액의 경우에는 모든 암세포에서 50%이상의 세포독성을 보였고 대장암 세포인 WiDr과 위암세포인 MKN-45에서 $70{\sim}80%$ 정도의 세포독성으로 암세포 성장 저해에 상당히 효과적으로 관찰되었다. 유산균의 종류에 따른 세포독성을 비교해보면, 혼합 균체 파쇄액인 E3가 단일 균체 파쇄액보다 전반적으로 약간 높은 경향을 보여주었다.

  • PDF

김치의 유산균 생태

  • 한홍의
    •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 /
    • v.17 no.3
    • /
    • pp.68-75
    • /
    • 1991
  • 김치란 상품의 가치를 유지하기 위하여서는 지금까지 시도된 물리, 화학적 방법만으로는 성공적이 될 수 없다. 그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는 고유한 우리 김치의 풍미를 만들어내는 주된 유산균은 어떤 종이며 그 특성이 무엇인가가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시행착오적인 물리, 화학적 처리 방법의 도입으로 인하여 고유의 윤산균이 증식하지 못한다면 김치의 고유성을 상실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김치의 산패와 연부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서 군집제어적으로 일어나며 그 고유성과 풍미를 유지하기 위하여 새로운 도태압의 개념이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김치의 미생물생태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으므로 본 절에서는 필자의 연구실에서 진행되고 있는 배추김치의 미생물에 대한 연구내용을 요약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 PDF

부추 김치 우세 유산균의 항유전독성 효과와 항암 효과

  • Yuk, Jin-Yeong;Gwon, Eun-Hye;Jo, Gyu-Seong;Sin, Hyeon-Gil;Jeong, Gu-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4.05a
    • /
    • pp.357-361
    • /
    • 2004
  •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부추 김치에서 분리된 대부분의 유산균은 항유전독성 효과를 갖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전에 시행되었던 각종 김치의 유산균을 이용한 항유전독성 효과 조사에서도 다른 김치유산균에 비해서 부추김치의 유산균이 항유전독성효과가 높다는 것을 통해서도 증명되었다. 유산균 섭취시에 균주가 장내의 혐기성 상태에서 존재하게 되는데 아직까지는 혐기성 상태에서 배양된 균주의 항유전독성효과가 그다지 높지 않은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혐기성 상태에서 배양된 항유전독성효과가 높은 균주를 찾는 것이 시급하다고 본다. 그러나 호기성 상태에서 배양된 항유전독성이 높은 균주들이 혐기성 상태에서도 배양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 균주들의 장내 생존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물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서 이 유산균들이 위와 장내의 조건에서 생존가능하는지에 대해 pH 생존 조사를 해야 할 것이다. 또한 혐기성 상태에서 배양되었을 때에도 이 균주들이 항유전독성 효과가 있는지도 앞으로 실시되어야 할 과제일 것이다. 항유전독성 효과와 달리 항암효과에 대해서는 높은 효과를 보이지 않았지만 본래 CT-26 세포가 대장암 세포이기에 이 세포 자체의 DNA에 손상 복구율을 부여했다는 것에 의미를 둘 수 있겠다. 항유전독성효과와 항암효과가 있는 유산균의 분리를 통해 우리가 다음으로 해야 될 일은 첫째로 이 균주들에 대해 여러 가지 특성을 찾아 동정하고 둘째로 지금까지 밝혀진 결과를 in vivo상에서 검증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밝혀진 유산균은 대부분 발효 유제품에서 자라는 유산균인데 한국인이 주로 섭취하는 각종 김치나 부추김치 등에서 분리한 균주에서도 이 기능이 있음을 밝힌다면 이들의 소비에 도움이 될 것이고 또한 이 균주들을 이용해 향유전독성, 항암성 등이 있는 기능성 제품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첨가한 햄보다 적었다.분산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기를 단계별 복합처리로 저 allergy 처리는 단계별로 점차적으로 allergy가 감소되었다. 즉 단계별로 억제가 안되는 것부터 억제되는 처리를 복합적으로 처리한 것으로 그 단계는 천연효소처리에 인산염 처리, 여기에 초음파 처리, 마지막 단계로 3분 끓이면 억제율이 68%까지 억제되었다. 이는 단일처리시 전혀 억제를 못하는 처리를 단계별로 한 단계씩 더해가면 allergy 억제효과가 나타난다고 할 수 있겠다. 초음파 처리도 역시 저 allergy 처리 공정에 이용될 수 있는데 이것은 그 처리로 인해 새로운 알러젠이 생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복합처리로 allergy를 감소시키면 연속적이고 동시적으로 하기 때문에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환경현안에 대한 정치경제적 접근을 외면하지 말고 교과서 저작의 소재로 삼을 수 있어야 하며, 이는 '환경관리주의'와 '녹색소비'에 머물러 있는 '환경 지식교육'과 실천을 한단계 진전시키는 작업으로 이어질 것이다. 이후 10년의 환경교육은 바로 '생태적 합리성'과 '환경정의'라는 두 '화두'에 터하여 세워져야 한다.배액에서 약해를 보였으나, 25% 야자지방산의 경우 50 ${\sim}$ 100배액 어디에서도 액해를 보이지 않았다. 별도로 적용한 시험에서, 토마토의 경우에도 25% 야자지방산 비누 50 ${\sim}$ 100배액 모두 약해를 발생하지 않았으나, 오이에서는 25% 야자지방산 비누 100배액에도 약해를 나타내었다. 12. 이상의 결과, 천연지방산을 이용하여 유기농업에 허용되는 각종의 살충비누를 제조할 수 있었으며, 방제가 조사결과 진딧물, 응애 등 껍질이 연약한 곤충의 방제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조된 살충비누를 활용하면 환경친화적인 해

  • PDF

유산균의 분류와 생리적 특성

  • 강국희
    •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 /
    • v.17 no.3
    • /
    • pp.41-53
    • /
    • 1991
  • 우리나라에 유산균식품이 본격적으로 산업화되기 시작한것은 1971년부터이다. 물론 김치도 훌륭한 유산균식품이지만 이것은 전통적으로 가정에서 직접 담궈 먹었기 때문에 별도로 생각할 수 있다. 최근에 와서는 김치도 공업화의 추세에 있으므로 앞으로 starter의 개발과 제조공정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추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유산균식품이라하면 유산균 발효유 혹은 유산균 음료, 그리고 치즈, 발효버터 등을 가리킨다. 우리나라에서 년간 생산 판매되고 있는 이러한 유산균식품의 판매액은 1조원을 훨신 초과하고 있다. 여기에 사용되고 있는 유산균의 종류는 제조회사에 따라서 다르며, 제품의 특성에 따라서 다른 종균을 사용하고 있다. 우선, 여기서는 유산균의 개념정의, 그리고 각 균종의 분류특성 등을 중심으로 하여 정리해 본다.

  • PDF

The Effect of Sorbic Acid on the Kimchi Fermentation and Stability of Ascorbic Acid (Sorbic acid가 김치발효와 Ascorbic acid 안정도에 미치는 영향)

  • 안숙자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1 no.1
    • /
    • pp.18-26
    • /
    • 1985
  • The effect of 0.05% Sorbic acid on the Kimchi fermentation and stability of ascorbic acid were investigated at 23~$25^{\circ}C$.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Kimchi with sorbic acid showed a higher pH and a lower total acidity in general,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Kimchi. 2. Kimchi with sorbic acid contains more ascorbic acid for the fermentation period. Especially showed the higher hydro ascorbic acid than control Kimchi. 3. The Lacticacid bacteria isolated from Baechu Kimchi and Dongchimi are identifi-ed as Leuconostoc mesenteroides,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brevis, Streptococcus faecalis, Pediococcus pentosaceus. 4. The effect of sorbic acid up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and acid prod-ucibility is found least in Lactobacillus Plantarum, and most in Leuconostoc mesenter-oides. 5. The changes of Lacticacid bacteria occured during Kimchi fermentation curbed Leuconostoc mesenteroides most of all in Baechu Kimchi and Dongchimi with sorbic acid, while the least influence was had on Lactobacillus plantarum. Expecially, yeast wae completely curbed. 6. A result of a sensory evaluation reveals that a better taste is derived from the control Kimchi,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H4~4.3, whereas from Kimchi with sorbic acia in pH 3.7~3.8.

  • PDF

Effects of prunus mume Sie. extract on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and preservation of kimchi (매실 추출물이 김치 유산균의 성장과 김치의 저장성에 미치는 효과)

  • 채명희;최재순;박경남;최우정;이신호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9 no.3
    • /
    • pp.292-297
    • /
    • 2002
  • This studie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unus mume Sie. extract on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and preservation of kimchi. Prunus mums Sie. extract inhibited the growth of homofermentative lactic acid bacteria and heterofermentative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In early storage stage, the pH of Prunus mume Sie. extract added kimchi(PEAK)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The pH of PEAK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after 25 days of fermentation. Titratable acidity, viable cell of total bacteria and lactic acid bacteria of the PEAK were lower than that of control during fermentation. The sensory quality of 1% PEAK was similar to control at 10 days of fermentation But overall acceptability of 3% PEAK decreased compare with l% PEAK.

Effect of biogenic amine forming and degrading bacteria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균과 분해균이 김치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 Lim, Eun-Seo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63 no.4
    • /
    • pp.375-38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prepared with a single starter culture of biogenic amines (BA)-forming lactic acid bacteria (LAB) or a combined starter cultures composed of BA-forming and BA-degrading LAB. As the fermentation proceeded, the lactic acid bacterial count, titratable acidity, and BA content in kimchi prepared with myeolchi-aekjeot we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kimchi prepared with saeu-jeot. The amount and type of BA produced by LAB were mostly strain dependent rather than species specific. Among all of the isolated LAB strains, the highest levels of cadaverine, histamine, putrescine and tyramine were produced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MBK32, Lactobacillus brevis MBK34, Lactobacillus curvatus MBK31 and Enterococcus faecalis SBK31, respectively. BA-forming and BA-degrading starter cultur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growth rate and organic acid-producing ability of LAB in kimchi. Interestingly, BA contents in kimchi increased by adding single BA-forming LAB starter were effectively lowered by the mixed cultures with BA-degrading L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