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길항제

검색결과 338건 처리시간 0.032초

PAF 길항제가 허혈성 대뇌 피질내 Nitric Oxide 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F Antagonists on the Nitric Oxide Synthesis in Ischemic Cerebral Cortex)

  • 노순기;박규현;이원석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권6호
    • /
    • pp.665-672
    • /
    • 1997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cerebroprotection of platelet-activating factor(PAF) antagonists in transient cerebral ischemia of rat. Right middle cerebral artery(MCA) of Sprague-Dawley rat was occluded for 2 hours using an intraluminal filament technique. After 22 hours of reperfusion, morphometrically detectable infarct was developed in the cortex and striatum identical to the territory of MCA. The infarct size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PAF antagonists, BN 52021 and CV-6209, as well as an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iNOS) inhibitor aminoguanidine(1 mg/kg, i.p., respectively) administered 5 min after MCA occlusion. PAF antagonists significantly inhibited the enzymatic activities of both myeloperoxidase and iNOS in the cerebral hemisphere ipsilateral to ischemia, whereas aminoguanidine did not inhibit myeloperoxidase activity bu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iNOS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PAF antagonists exert a cerebroprotective effect against ischemic brain damage through inhibition of leukocyte infiltration and iNOS activity in the postischemic brain.

  • PDF

5-HT 수용체 길항제를 이용한 파킨슨 환자의 정신 증상의 치료 (Psychosis in Parkinson's Disease-Treatment with 5-HT Receptor Antagonist)

  • 고성범;박건우;이대희
    • 생물정신의학
    • /
    • 제4권1호
    • /
    • pp.132-135
    • /
    • 1997
  • Current treatment strategies for levodopa-induced psychosis in advanced Parkinson's disease have had limited success. Reduction or discontinuation of levodopa and coadministration with dopamine-blocking neuroleptics may attenuate the psychotic symptoms, but these strategies are associated with worsening of parkinsonian symptoms. Administration of 5-HT3 receptor antagonist ; ondansetron, a newer strategy to attenuate psychosis of Parkinson'disease without motor deterioration was introduced. A 41-year-old young-onset male, who was diagnosed as Parkinson's disease 7 years ago, was treated with levodopa therapy, and had levodopa-induced psychosis(delusion, hallucination, paranoid, insomnia). After trial of ondansetron, he showed improvement in the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from 21 points to 9 points) in spite of increasing the dosage of levodopa. With ondansetron, we could increase the dosage of levodopa without psychotic complications(esp, hallucination), and he showed improvement in the motor fluctuation.

  • PDF

N-methyl-D-aspartate 수용체 길항제가 몰핀 신체의존성 및 진통내성에 미치는 영향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MK-801 and Dextromethorphan on Opioid Physical Dependence and Analgesic Tolerance)

  • 이선희;신대섭;유영아;김대병;이종권;김부영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1권1호
    • /
    • pp.63-68
    • /
    • 1995
  • N-methyl-D-aspartate(NMDA) receptor has been well known as an important mediator of several forms of neural and behavioral plasticity. But different results were reported about the effect of MK-801 or dextromethorphan on opioid dependence. The present studies examined whether NMDA receptor antagonists can alter the opioid dependence and tolerance in rodents. Naloxone precipitated withdrawal symptoms and changes of locomotor activities were observed in MK-801 or dextromethorphan pretreated morphine-dependent rats. Tail-flick assay was used for morphine analgesia and tolerance was found after 4 day's consecutive injections (10 mg/kg, s.c., twice/day) of morphine in mice. Locomotor activity was increased and the withdrawal symptoms were decreased by the pretreatment of MK-801 in morphine-dependent rats. But 0.3 mg/kg i.p. of MK-801 intensified the body weight loss and produced severe ataxia and rotation although some withdrawal signs were attenuated. Morphine induced analgesic tolerance was inhibited by the pretreatment of MK-801 and dextromethorphan. Dextromethorphan was more potent than MK-801 in inhibiting the development of the analgesic tolerance in mi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NMDA system may be involved in opioid withdrawal and analgesic tolerance but appropriate caution should be requested when MK-801 is used in combination with opioid because of untoward neurologic signs.

  • PDF

Changes of Specific Activity and Regulation of Nitric Oxide Synthase during Liver Regeneration after Partial Hepatectomy

  • Lee, Young-Jin;Nam, Suk-Woo;Seo, Dong-Wan;An, Sung-Whun;Ko, Young-Kwun;Sung, Dae-Seok;Han, Jung-Whan;Lee, Hyang-Woo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85-185
    • /
    • 1996
  • Nitric oxide synthase(NO Synthase:E.C.1.14.13.39)는 생체내에서 L-arginine을 기질로 하여 citrulline과 nitric oxide(NO)를 생성하는 효소로서, 최근 연구에 의하면 2/3 부분 간 절제술 후 prereplicative phase동안에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생체내에서 NO Synthase에 상경적 길항제인 methylarginine에 관해서도 수년간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들의 생성 기전은 protein methylation에 의해 생성된 methylated protein이 생체 내에서 분해되어 생성된다고 알려져 있으나, 정확한 기전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n vivo 실험을 통해 부분 간 절제술 후 시간대별로 간 조직에서의 NO Synthase 활성도와 혈청에서 NO의 최종 대사물인 Nitrite/Nitrate를 측정하였으며, 또한 NO Synthase 조절에 관여하는 세포내 기질인 arginine과 억제 인자인 methylarginine함량을 간 조직 및 혈청에서 측정하고, 세포 신호 전달체계에 관여하는 cyclic GMP 함량을 측정함으로써, 부분 간 절제술 후 간 재생동안에 NO Synthase 활성도와 methylarginine 및 arginine과의 상관 관계를 규명하고, 간 재생동안, 생성된 nitric oxide의 역할을 연구하려한다.

  • PDF

포도나무 줄기 혹병의 생물학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grapevine crown gall)

  • 정광진;심재섭;정봉구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97-101
    • /
    • 1998
  • 최근에 재배면적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포도에 난방제 병해인 줄기혹병의 길항세균을 선발하여 생물학적 방제의 가능성을 조사한 결과 포도 줄기혹병 이병포장으로부터 채취한 토양에서 길항균 strain 27를 선발하여 in vitro 및 in vivo bioassay결과 biovar 1 병원균인 A. tumefaciens C58과 Ach5, biovar 2 병원균인 A. rhizogenes 13264 및 biovar 3 병원균인 A. vitis 등을 모두 억제시키는 효과를 보였으며, Strain 27의 세균학적 특성은 pAgK84와 비슷한 크기(46 Kb)의 plasmid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국내에서 잠복결핵의 치료 (Treatment of 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in Korea)

  • 심태선;고원중;임재준;류우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5권2호
    • /
    • pp.79-90
    • /
    • 2008
  • 국내에서 아직 잠복결핵 치료 대상 및 치료 방법에 대한 명확한 지침이 부족한 실정이며 이를 위해서는 잠복감염의 재활성화 혹은 새로운 감염이 어느 정도 결핵 발병의 원인이 되는지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렇지만 발병의 위험이 높은 군을 선정하여 잠복결핵의 치료 대상으로 정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며, 현재는 HIV 감염자, 전염성 결핵환자 가족 중 6세 미만의 아동, 중학생 및 고등학생에서의 집단 발병시 감염된 것으로 판정된 학생 및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 TNF) 길항제 사용 예정인 잠복결핵 환자가 잠복결핵의 치료 대상으로 제한되어 있다. 향후에는 잠복결핵 치료 대상자의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치료방법 또한 isoniazid (INH) 단독 요법 이외에 rifampicin (RMP)을 포함하는 단기 요법의 사용도 고려하여야 하겠다. 현재 외국에서 잠복결핵의 치료법으로 권고되고 있는 것은 INH 6~9개월, RMP 4~6개월, INH/RMP 3개월 등이다. 과거부터 잠복결핵의 진단에 사용되어 온투베르쿨린 검사 외에 체외 인터페론감마 검사가 새로이 개발되면서 잠복결핵의 진단이 더 정확해진다면 이에 따라 잠복결핵 치료 방침도 수정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새로운 검사법을 이용한 꾸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식물성 열수 추출물 HX106N이 스코폴라민으로 유도한 생쥐 기억력 저하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Effects of HX106N, a Water-Soluble Botanical Formulation on Scopolamine-Induced Memory Impairment in Mice)

  • 이두석;정재균;김선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673-677
    • /
    • 2014
  • HX106N은 용안육, 맥문동, 단삼 및 천마 등의 4가지 식물로 구성된 추출물로서, 선행 연구에서 amyloid ${\beta}$ peptide에 의한 생쥐의 기억력 저하 및 산화 손상을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에서는 HX106N이 비선택적 무스카린 수용체 길항제로 잘 알려진 스코폴라민(scopolamine)으로 유도한 콜린성 건망증(cholinergic amnesia)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평가하였다. ICR 생쥐에게 스코폴라민(1 mg/kg body weight, i.p.)을 주입하기 1시간 전에 HX106N(100 mg/kg body weight, p.o.)을 투여하였다. 30분 후 수행한 Y-미로 시험(Y-maze test) 및 수동 회피 시험(passive avoidance test)에서 HX106N는 스코폴라민에 의해 감소되는 자발적 변경 행동(spontaneous alternation) 및 지체시간(step-through latency)을 유의미하게 억제하여 건망증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HX106N을 투약 1시간 후 생쥐의 해마와 대뇌피질 부위의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acetylcholinesterase; AChE)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도의 활성 감소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할 때 HX106N은 AD에서 관찰되는 콜린성신경전달 장애로 인한 기억력 저하 억제에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것으로 판단된다.

자외선 B조사시 p53와 glycogen synthase kinase-3에 의한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alpha의 발현조절 (Regulation of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alpha in Ultraviolet B Responses Involves the Cooperation of p53 and Glycogen Synthase Kinase-3)

  • 윤경실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0권3호
    • /
    • pp.229-235
    • /
    • 2005
  • 태양광선,특히 자외선 B에 대한 환경적 노출은 편평세포암과 기저세포암을 포함하는 흑색선종 이외의 피부암과 크게 관련된다고 알려져 있다. 염기 류신 지퍼계 전사조절인자인 CChAT/enhancer binding protein-alpha는 표피 각질형성세포에서 다량으로 발현되었고, 각질형성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며 피부암 발생을 억제하는 유전자로서의 역할이 암시된 바 있다. 최근 자외선 B가 각질형성세포에서 p53에 의한 CCAAT/enhanrer binding protein-alpha의 발현을 강력하게 유도한다는 것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alpha 단백질 발현의 유도는 세포 성장 억제 세포고사와 함께 일어났다. 이 연구는 glycogen synthase kinase-3 길항제가 자외선 B에 의한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alpha 유도를 억제하며 변이 kinase-불활성 GSK의 강제 발현은 자외선 B가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alpha전사조절부위 활성의 증가를 억제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즉 자외선 B에 의한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alpha의 유도가 p53과 활성 glycogen synthase kinase-3에 의한 것이라는 것을 증명하였다.

흰쥐에서 Adriamycin-유발 신독성에 대한 Thromboxane $A_2$ 수용체 길항제인 KT2-962의 효과 (Effects of Selective Thromboxane $A_2$-Receptor Antagonist, KT2-962 on Adriamycin-induced Nephrotoxicity in Rats)

  • 문삼영;이순복;신현진;고현철;엄애선;강주섭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8권3호
    • /
    • pp.241-247
    • /
    • 2000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protective effect of a selective thromboxane $A_2$ receptor antagonist, KT2-962 (KT2) and possible mechanisms of adriamycin(AD)-induced nephrotoxicity in rats. The male Wistar rats were given either of AD (7.5 mg/kg, i.v.) alone in the AD-group (n=5) or in KT2+AD- group (n=5) which is a combination of AD and KT2 (30 mg/kg/day, i.p.) for 10 days from 3 days before and 7 days after AD injection. The body weight, 24-hours urine volume, urine protein and urinary N-acetyl-$\beta$-D-glu-cosaminidase (NAG) activity were measured with an interval of 2 days during 1 week. BUN, serum creatinine and creatinine clearance were measured on the 7th day. KT2 has significantly suppressed AD-induced change of body weight, 24-hours urine volume, urine protein and urinary NAG activity in the KT2+AD-group. The change of BUN, serum creatinine and creatinine clearance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in the B7T2+AD-group.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KT2 prevents AD-induced nephrotoxicity and suggests that endogenous thromboxane A2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AD-induced nephrotoxicity in rats.

  • PDF

항고혈압 치료제 로사탄에 의해 인산화 되는 단백질 발굴 (Identification of Phosphoproteins Induced by AT1 Receptor Blocker Losartan)

  • 이창우;김미진;장세헌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7호
    • /
    • pp.918-923
    • /
    • 2008
  • 안지오텐신II 수용체(AT1 수용체)는 혈관수축과 체내 전해질이온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AT1 수용체 길항제(ARB)는 고혈압 치료에 이용되며 최근에는 당뇨병을 포함한 대사질환에 효능이 있음이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ARB 처리 후 세포 내 인산화단백질에 인산화가 일어나는지를 antibody array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아미노산세린 및 트레오닌에 인산화되는 단백질 6개, 티로신에 인산화되는 단백질 12개에 대한 항체를 선정하여 nitrocellulose membrane에 부착시켰다. AT1 수용체를 발현한 COS-1 세포에 로사틴(losartan)을 처리하였을 때 small GTPase인 RhoA의 세린 잔기에 인산화가 20%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RhoA는 세포골격의 재배열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세린 잔기에 인산화가 되면 활성이 억제된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ARB가 AT1 수용체에 의한 혈관수축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세포 신호룰 생성함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