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긴장증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3초

11세 남아에서 발생된 치사성 긴장증 1례 (A CASE OF LETHAL CATATONIA IN A 11-YEAR-OLD BOY)

  • 조인희;홍성도;정유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0권1호
    • /
    • pp.121-133
    • /
    • 1999
  • 치사성 긴장증은 긴장증의 한 유형이지만 극단적인 임상양상과 높은 치사율로 인하여 따로 분류하여서 하나의 증상군으로 취급되고 있다. 최근 정신 약물학의 발전과 질병 초기에 적절하고 집중적인 치료를 시행함으로써 전세계적으로 치사성 긴장증의 발생율이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본 저자들은 급성으로 발생된 고열, 자율신경계 이상, 다양한 긴장성 증상 및 긴장성 흥분과 혼미상태를 보였던 11세 남아에서의 치사성 긴장증 1례에 대한 매우 드문 경험을 소개하였다. 특히, 본 증례는 전형적인 경과에 비하여 경한 초기증상을 보인 치사성 긴장증에서 초기에 집중적인 대증요법과 정신약물 투여, 전기충격요법의 병행이 성공적인 치료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을 보여준 사례라 할 수 있다.

  • PDF

긴장성 두통 환자에서의 감정표현 불능증 (Alexithymia in Patients with Tension-Type Headache)

  • 신동인;함병주;권호인;박건우;김린;서광윤
    • 수면정신생리
    • /
    • 제9권1호
    • /
    • pp.56-60
    • /
    • 2002
  • 목 적 : 긴장성 두통은 병태생리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심리적인 요소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통증 증후군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두통과 관련된 심리적 요소 중의 하나가 alexithymia이다. 본 연구에서는 긴장성 두통 환자에서의 alexithymia 정도를 정상대조군과 비교하였으며 우울정도와, alexithymia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방 법 : 만 18세 이상의 긴장성 두통 환자 66명을 대상으로, alexithymia의 정도와 우울감을 알아보기 위하여 TAS-20K와 BDI를 시행하였다. 정상대조군에서는 TAS-20K를 시행하였다. 결 과 : TAS-20K는 긴장성 두통 환자군에서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다. 또한 TAS-20K의 점수와 BDI 점수는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 론 : 긴장성 두통 환자들은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alexithymia 수준을 보였다. 또한 Alexithymia의 수준은 우울감과 유의한 연관성을 가진다. 임상의들은 긴장성 두통 환자들의 치료적 접근에서 alexithymia, 우울증과 같은 심리적 요소의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피지이론과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주정중독증 환자의 긴장도 평가 (Estimation of Tension Status for Alcohol Dependent Patients using Biofeedback Training and Fuzzy Theory)

  • 성홍모;시재우;윤영로;윤형로;박진한;신정호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91-198
    • /
    • 1999
  • 바이오피드백은 혈압 심박율, 말초체온, 호흡, 근전도 등과 같이 자율신경에 의해 지배받는 신체 기능들을 훈련을 통해 스스로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자율신경의 이상으로 인한 여러 가지 질병들을 치료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다. 븐 논문에서는 주정중독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실시할 수 있도록 근전도, 호흡, 맥파, 말초체온, 피부전기전도도 등 다섯 가지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바이오피드백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을 이용해 주정중독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실시하였다 이완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실행하였으며 생체신호변화에 대해 퍼지이론을 적용하여 긴장상태를 판단하였다. 8명의 주정중독증 환자들이 실험에 참가하였으며 측정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환자 군은 일반인에 비해서 높은 긴장도 값을 보였다. 2) 환자들의 긴장도 값은 훈련 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 PDF

신생아 긴장성 심막 기종 (Neonatal Tension Pneumopericardium)

  • 손국희;김영삼;백완기;윤용한;김광호;성태정;전용훈;김정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5호
    • /
    • pp.464-466
    • /
    • 2004
  • 신생아에서 발생한 긴장성 심막 기종은 매우 심각하며 즉각적인 치료를 하지 않으면 심장 압전증(cardiac tamponade)에 의해 사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기계 환기 중 발생한 긴장성 심막기종을 조기에 진단하고 개방성 심낭막 개창술로 치료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더불어 보고하는 바이다.

분자 유전학적 방법으로 진단된 선천성 근육긴장성 이영양증 환자의 임상 양상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ongenital myotonic dystrophy diagnosed by molecular genetic method)

  • 남숙현;손영배;이보련;이지훈;기창석;이문향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9호
    • /
    • pp.868-874
    • /
    • 2007
  • 목 적 : 선천성 근육긴장성 이영양증(congenital myotonic dystrophy, CDM) 환자의 주산기 병력, 영아기 및 소아기의 증상, 그리고 환자 어머니의 임상양상을 확인하여, 임상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특징적인 소견과, DMPK유전자의 CTG 서열반복 수와 운동발달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1년 1월부터 2006년 9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DMPK 유전자 검사를 통해 CDM으로 확진된 환자 8명(남자 2명, 여자 8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과 DMPK 유전자 검사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진단 시 환자들의 연령은 7일에서 45개월(중앙값: 20.5 개월)이었으며, 환자들은 발달지연, 수유곤란, 그리고 근육긴장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3명의 환자에서 산전 초음파 상 원인 불명의 양수과다증이 확인되었다. 모든 환자에서 운동발달지연이 있었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호전되었다. 모든 환자들의 어머니에서 전형적인 근병증의 모습과 근육긴장증을 확인하였고, 4명의 환자에서는 어머니 형제의 가족력을 확인하였다. DMPK유전자의 CTG 서열반복 수는 1,000-2,083(중앙값: 1,533.5)의 분포를 보였으며, 운동발달 중 혼자 걷기의 지연 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1명의 환자에서 세대간 예견효과를 확인하였다. 결 론 : CDM 환자는 산전초음파에서 양수과다증, 내반첨족, 태동의 저하 등의 소견을 보이고, 출생 후 근육긴장저하와 연관된 호흡곤란, 수유곤란, 그리고 발달지연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모든 환자들의 어머니는 특징적인 근병증의 외양과 근육긴장증을 가지고 있어, 산모에 대해 이러한 소견을 확인하는 것이 산전진단에 중요한 단서가 된다. CDM에서 근육긴장저하와 연관된 증상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호전되며, DMPK 유전자의 CTG 서열반복 수와 운동발달 중 혼자 걷기 시기 간의 유의한 연관은 없었다.

침치료에 대한 환자진료 평가 프로그램-독일 보험회사들의 침효과에 대한 검증-

  • Melchart, Dieter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3-34
    • /
    • 2003
  • 배경: 독일 의사와 보험회사 위원회 (The German Board of Physicians and Insurance Companies:Bundesausschuss der Arzte und Krankenkassen)가 앞으로 일부 적응증에 대한 침치료에 대해 공적 보험회사가 보험료를 지급해야 할 지에 대한 추가 결정을 하기 위해 침의 효과를 평가하기로 했다. 목적: 1) 침치료가 편두통의 예방, 긴장성 두통, 요통, 무릎과 고관절의 골관절염치료에 대조군 침치료보다 효과가 있는지 검증 2) 침치료가 편두통의 예방적 치료에 표준 약물 치료와 비슷하게 효과가 있는지 검증 3) 보건의료 서비스체계 안에서 주어진 조건에 대한 일상적 침치료의 질적인 부분을 서술하고, 안전성을 평가하며, 다른 침술학파간의 임상결과의 차이와 비용의 효용적 활용부분을 평가한다. 4) 위의 적응증에 해당하는 모든 임상실험연구를 찾아내어 기존의 고찰내용을 갱신한다. 방법: 1) 무작위 표본추출 임상 실험, 침치료, 거짓침 치료, 대기자 명단 대조군, 출발시점 4주, 28주 관찰 2) 무작위 표본추출 임상 실험, 침치료, 표준약물치료 대조군, 츨발시점 4주, 28주 관찰 3) 전향적 다중 의료기관 관찰 연구, 두 가지 다른 자료를 활용하여서, 치료 결과를 침 시술자에 의한 모든 환자 평가 자료와, 열 두 명의 환자 가운데 한 명의 환자로부터 직접 받은 평가 자료 (관찰 출발시점, 치료 출발 시점, 치료 시작 후 6 개월) 실험공간: 1) and 2) 높은 수준의 수련을 한 침 시술 의사가 시술하는 병원이나 일차 진료기관의 외래. 3) 보건 의료 서비스내 저급의 침 시술 의사 (140 시간 수강, 학점 이수 필수) 참가자: 1) $4{\times}320$ 편두통의 예방, 긴장성 두통, 요통, 무릎과 고관절의 골관절염 환자 2) 480 편두통 환자(긴장성 두통 환자 추가적) 3) 약 500,000 환자, 2년 반 동안: 대략 한 적응증 당 10,000 환자 치료법: 모든 침치료 자리는 체침만 허용함. 1) 진짜 침은 학파의 지침에 따른 심자, 거짓 침은 비특이적 자리의 표피만 찌르는 자침 (12-15회, 8주): 대기자 대조군은 12주 동안에 아무 치료도 받지 않는다. 2) Group 1(N=240): 최대 15회 치료, 12주 동안: Group II (N=240) 투약 Proponolol (80-240mg), Metoprolol (100-200mg) or Flunarizin (5-10mg) 하루, 16주 이상 3) 치료회수와 침자리의 선정은 참가자가 결정 주된 임상 결과 지표: 1) 군 간의 치료 전 및 치료 진행 도중 4주 마다의 두통을 느낀 날 수의 차이 (평균 혹은 이상의 편두통이나 긴장성 두통) 2) 요통환자 군간의 기능을 측정하는 FFbH-R (Funktionsfragebogen Hannover) 비교 3) 관절염 환자의 군간 WOMAC 지표 비교 4) 군 간의 24주 동안 두통을 느낀 날 수의 차이(평균 혹은 이상의 편두통이나 긴장성 두통) 5) 적응증, 부작용, 성공율에 대한 거시적 평가, 사용한 침수, 환자의 만족도, SES(?). ADS(?) 통증 장애 지표(PDI), 삶의 질 지표(SF36). 예비 결과 위의 결과가 큰 관찰 연구에 초점을 맞추면서 소개될 것임.

두개주변압통과 관련된 긴장성 두통과 측두하악장애에 기인한 두통과의 RDC/TMD Axis II에 따른 비교 (Comparison of Tension Type Headache Associated with Pericranial Tenderness and Headache Attributed to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Using RDC/TMD Axis II)

  • 박형윤;배성제;유상훈;전양현;홍정표;어규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5권2호
    • /
    • pp.123-133
    • /
    • 2010
  • 6개월간 경희대학교 치과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환자 중 두개주변압통과 관련된 긴장성 두통으로 진단된 총 48명(남자 11명, 여자 37명)과 측두하악장애에 기인한 두통으로 진단된 총 37명(남자 4명, 여자 33명)을 대상으로 하여 특징적 통증강도, 기능 제한 점수, 만성통증척도, 우울증 정도, 비특이적 신체 증상 등급, 하악기능과 관련된 기능제한에 대한 설문지(RDC/TMD Axis II한글판)를 통한 조사 후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특징적 통증 강도는 두개주변압통과 관련된 긴장성 두통 군에서 평균 49.937, 측두하악장애에 기인한 두통 군에서 평균 55.577를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2. 기능 제한 점수는 두개주변압통과 관련된 긴장성 두통 군에서 평균 1.77, 측두하악장애에 기인한 두통 군에서 평균 2.32를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3. 만성통증척도는 두개주변압통과 관련된 긴장성 두통 군에서 평균 2.02, 측두하악장애에 기인한 두통 군에서 평균 2.41를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4. 우울증 정도는 두개주변압통과 관련된 긴장성 두통 군에서 평균 1.150, 측두하악장애에 기인한 두통 군에서 평균 1.049를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5. 통증포함 비특이적 신체 증상 등급은 두개주변압통과 관련된 긴장성 두통 군에서 평균 1.117, 측두하악장애에 기인한 두통 군에서 평균 1.095를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6. 통증비포함 비특이적 신체 증상 등급은 두개주변압통과 관련된 긴장성 두통 군에서 평균 0.939, 측두하악장애에 기인한 두통 군에서 평균 0.946을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7. 하악기능과 관련된 기능제한은 두개주변압통과 관련된 긴장성 두통 군에서 평균 0.377, 측두하악장애에 기인한 두통 군에서 평균 0.387을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두개주변압통과 관련된 긴장성 두통군과 측두하악장애에 기인한 두통군의 비교시 집단에 따른 척도점수의 평균에는 두 집단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사함이 관찰되었다. 이는 두개주변압통과 관련된 긴장성 두통과 측두하악장애에 기인한 두통이 임상적으로 유사한 축 II (Axis II)양상을 보인다는 것을 의미하며, 긴장성 두통의 일부분은 측두하악장애와 관련이 있다고 추론된다. 향후 긴장성 두통 진단시 측두하악장애에 대한 접근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특집_당뇨병환자의 감염증 - 당뇨병 환자, 왜감염에 취약한가?

  • 한국당뇨협회
    • 월간당뇨
    • /
    • 통권240호
    • /
    • pp.8-10
    • /
    • 2009
  • 요즘 안팎으로 '신종플루' 때문에 좌불안석이다. 더욱이 당뇨병환자에게 더 위험하다고 하니 긴장하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당뇨병환자가 경계해야할 감염은 신종플루만이 아니다. 혈당이 조절되지 않으면 각종 세균이 그 때를 놓치지 않고 몸 구석구석에 둥지를 튼다. 날이 쌀쌀해 지면서 그 활동력은 커지니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이에 이번 달에는 '당뇨병환자의 감염'에 대해 알아본다.

  • PDF

히스테리성 실성증(失聲症)의 최면 치료 1례 (Hypnotherapy with Hysterical Aphonia)

  • 박희관
    • 정신신체의학
    • /
    • 제5권1호
    • /
    • pp.123-128
    • /
    • 1997
  • 저자는 두부외상후 일시적으로 발생한 전환장애 증상인 히스테리성 실성증 환자 1례를 최면치료를 통해 성공적으로 치료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였다. 최면은 이완반응을 통해 심신의 긴장을 완화시키고 자아를 강화하여 증상통제에 자신감을 갖게 하였다. 저자는 최면치료 첫 시간부터 자기최면을 숙달하도록 하였다. 허용적이고 체면을 세워주는 암시방법으로 히스테리성 실성증이 소멸된 후 10개월이 지난 추적때까지 증상의 재발은 없었다.

  • PDF

세포 증식과 COX 2 발현에 미치는 봉독의 효과 (Effect of bee venom on cell proliferation and cyclooxygenase 2 expression in the dentate gyrus of mice with acetic acid induced hyperalgesia)

  • 류은경;최도영;이재동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0권2호
    • /
    • pp.112-122
    • /
    • 2003
  • 연구 배경 및 목적 : 봉독은 항염증 등의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세포 증식과 관련된 봉독의 효과에 대한 고찰을 위해 본 연구(硏究)에서는, 봉독(蜂毒) 약침(藥鍼) 자극(刺戟)이 아세트산 유발(誘發) 통각(痛覺) 과민증(過敏症)을 가진 쥐의 치상회(齒狀回)에서의 세포(細胞) 증식(增植)과 COX2 발현(發現)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방법 : 대조군, 아세트산 처치군, 아세트산 0.1mg/kg 봉독 처치군, 아세트산 1mg/kg 봉독처치군(n=5 in each group)의 네 군으로 나누고 해당 군에 일벌 봉독(蜂毒)(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을 양측 족삼리 경혈(ST36)에 주입시키고 30분 후 아세트산(100% acetic acid 1% 용액의 0.5ml)을 복강내로 주입하여 복부 긴장 회수를 세었으며, BrdU 양성, COX 2 양성 세포수를 면역 화학 조직법을 수행하여 세어 보았다. 결과 : 아세트산 처치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5 bromo 2' deoxyuridine 양성 세포의 수는 감소(減少)되며, 치상회(齒狀回)에서의 COX 2의 발현(發現)은 증강(增强)되는 것으로 보여졌다. 봉독(蜂毒) 주입(注入)은 아세트산 유발(誘發) 복부(腹部) 긴장(緊張) 횟수와 치상회(齒狀回)에서의 COX2 발현(發現)을 억제(抑制)하여, 치상회(齒狀回)에서의 세포(細胞) 증식(增植)을 증가(增加)시켰다. 결론 : 이번 결과(結果)에서 보면, 치상회(齒狀回)에서의 COX 2의 발현(發現)은 세포(細胞) 증식(增植) 억제(抑制)와 관련(關聯)되며 봉독(蜂毒)은 COX 2 발현(發現) 억제(抑制)를 통해 치상회(齒狀回)에서의 새로운 세포(細胞) 형성(形成)을 증가(增加)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