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후 변화 교육

검색결과 234건 처리시간 0.029초

학교시설 현황분석을 통한 에너지절약설계 개선방향 연구 (A Study on Design for Energy-saving Based on Analysis of Current Situation in School Facilities)

  • 맹준호;김성중;이승민;고현수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7권3호
    • /
    • pp.1-8
    • /
    • 2018
  • 기후변화에 따른 지구 생태계의 변화와 에너지 및 자원고갈 등 전 지구적 대응노력이 절실한 상황에서 정부에서는 탈원전 정책 등 적극적인 정책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다. 특히 공공건물 중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학교시설은 학생수가 감소하는 반면 학교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에너지사용량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시설의 설계현황을 분석하여 에너지절약설계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후변화 교육 방안 개발: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적용가능한 방안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Climate Change Education Plan: Focus on Applicable Plan of Middle School Curriculum)

  • 우정애;남영숙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5권1호
    • /
    • pp.117-133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iddle school science climate change education plan. The detailed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research study was conducted for understanding climate change and the direction and contents of the climate change education were set up. Second, the climate change education plan was prepared. The middle school climate change education plan were arranged through research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rection and contents of the climate change education were arranged. The direction of the climate change education was arranged to reflect the global science education system,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and youth leadership. Second, the middle school climate change education plan was arranged. The middle school climate change education plan includes a course of study and creative experience program. The plan for the course of study focused intensely on scientific study.

  • PDF

항공 살포에 의한 농약 비산 측정 및 평가를 위한 시험 농경지 구축 및 운영 (Establishing and Operating a Test Bench for Assessment of Pesticide Drift by Aerial Application)

  • 박진선;이세연;최락영;;홍세운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23-43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무인 항공 방제기에 의한 농약 비산을 모의하기 위한 시험 농경지 구축과 정량 평가를 위한 실험법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농약 비산 평가에 대한 ISO 22866과 ASABE S561.1과 같은 국제 표준을 분석 및 고찰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국내 실정에 부합하는 시험 농경지를 구축하고, 그 실효성을 평가하였다. 이로써 현장 실험이 복잡하고, 동일 조건을 구현하기 어려웠던 실험 환경 개선 방안을 마련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항공 살포에 의한 농약 비산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고, 공기 중 농약 비산을 정량 평가하고, 저감 방안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자체 기후변화 적응실무 발전방향 연구 - 생태계 분야 기후변화 적응 시행계획 수립 및 이행을 중심으로 - (A Research on the Development Initiative for Public Practices of Local Governmentsin Korea - Focused on the Local Adaptation Planning in Ecosystem Sector -)

  • 여인애;홍승범
    • 환경영향평가
    • /
    • 제29권2호
    • /
    • pp.79-9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생태계 분야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 및 이행 단계에서 정책 실무자에게 주어지는 정보 현황과 수요를 파악하고 향후 생태계 분야 기후변화 지식 발전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우리나라 17개 광역지자체 및 이하 기초지자체 생태계 분야 소관부서에서 적응 실무를 수행하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생태계 분야 기후적응 지식기반 진단 및 정보수요"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무에 활용되는 생태정보활용현황을 분석하고 활용도 증진 방안을 제시하였다. 설문응답자 전체(231명)의 75%(광역 85%, 기초 72%)는 생태정보의 존재 및 활용이 적응사업 수행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적응업무를 포함한 생태계 소관부서 내 업무 전반을 위해 생태정보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광역 82%, 기초 72%). 그러나 실제로 국가 및 지자체에서 생산하는 생태정보를 업무에 활용하는 비율은 크게 낮았다(광역 28%-64명, 기초 18%-42명). 지자체 행정 실무자들이 현업에서 생태정보를 활용할 때 느끼는 주요 한계점은 생태정보의 존재에 대한 인식과 업무 연계방안 등 정보 자체에 대한 사전 지식의 부족이었다. 이에 현존하는 기후변화 지식과 생태정보를 지자체 행정 실무자에게 교육 및 홍보를 통해 전달하는 것이 급선무로 나타났다. 향후 지자체 실무자들에게는 지자체 정책 목적에 따라 생태계 보전 또는 주민생활 지원 사업 등 생태계서비스 증진 측면의 활용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도록 생태계 현황에 대한 기초 정보와 지역개발 및 보전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생태정보가 마련되어야 한다. 정보 활용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생태정보 활용방안에 대해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동시에 이용활성화를 위한 제도의 운영 및 관리가 필요하다. 국가적으로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고 관련 정보에 대한 홍보, 업무 활용방안에 대해서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지자체의 적응지식 및 생태정보 활용역량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시스템 사고에 기반한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기후변화 학습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ystems Thinking Based STEAM Education Program on Climate Change Topics)

  • 조규동;김형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113-123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시스템 사고와 STEAM의 이론을 고찰해 보고 이 이론을 근거로 기후변화 학습에 맞는 시스템 사고 기반의 STEAM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학교 현장에서의 적용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자와 외부전문가들의 지속적인 전문가 과정을 통해 시스템 사고 기반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8주에 거쳐 시스템 사고 기반 STEAM 프로그램을 과학수업에 적용하였다. 따라서 현장 적용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시스템 사고 검사와 STEAM 소양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학업 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여 시스템 기반 STEAM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스템 사고 분석에서는 시스템 사고의 하위 구인 중 '정신 모델'을 제외한 '시스템 분석', '개인숙련', '공유비전', '팀 학습'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STEAM 소양 검사에서는 '과학', '기술', '공학', '예술', '수학'의 사전 사후에 의한 두 집단 독립표본 t검정의 통계 결과, STEAM 소양의 하위구인들 전체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기후변화에 관한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시스템 기반 STEAM 프로그램이 시스템 사고를 통한 융합적 사고력 배양에 적합하며, 기후변화 과학을 바탕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함으로써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사고 능력을 신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22 개정 교육과정 의미 분석 (Analysis of the Meaning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 윤옥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59-69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교육과정에 관한 의미를 분석하고 다양한 쟁점 및 개선 방향을 종합 정리하여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와 설문조사, 인터뷰이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22 개정 교육과정 추진 배경은 디지털 전환, 기후환경 변화, 학령인구 감소 등에 대응하여 미래 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함양하고 학습자 맞춤형 교육을 강화할 수 있도록 개정되었다. 둘째, 2022 개정 교육과정 특징은 역사상 처음으로 '국민과 함께하는 미래형 교육과정'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셋째, 2022 개정 교육과정 추진 방향은 개별성과 다양성, 분권화와 자율화, 디지털 기반 교육, 공공성과 책무성이다. 넷째, 2022 개정 교육과정 주요 내용은 미래 변화에 대응하는 교육과정 혁신, 학습자의 공동체 가치 함양 및 역량 강화, 초·중·고 학생 디지털·AI 소양 함양 교육 강화, 모두를 위한 교육과정 강화이다.

우리나라 기후 변화 교육의 방향에 관한 고찰 (Thoughts on Climate Change Education In Korea)

  • 김찬국;최돈형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3권1호
    • /
    • pp.1-12
    • /
    • 2010
  • Facing the issue of global climate change, it is important for environmental educators to prepare a person who is able to understand of, communicate about, and make informed decisions on the climate change. Climate change education is to help learners understand of human influence on climate and climate's influence on them and society.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 way to discuss how climate change education could be implemented in Korean context. For this purpose, several documents and research articles on climate change education and communication were analyzed: Climate literacy, guidelines for K-12 global climate change education, and guidelines for effective climate change communication and message and so on. Many of the documents emphasize age appropriateness, positive thinking, participation and empowerment in climate change education while suggesting not to burden young learners with fears. Some documents such as the climate literacy suggest key concepts and/or essential principles of climate change education. Based upon the analysis, several considerations to incorporate the concepts in climate change into educational programs were suggested for further discussions.

  • PDF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국내 산림생태 분야 연구동향(2001-2020) 분석 (A Study on Domestic Research Trends (2001-2020) of Forest Ecology Using Text Mining)

  • 이진규;이창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3호
    • /
    • pp.308-321
    • /
    • 2021
  • 본 연구는 지난 20년(2001~2020)간 국내 산림생태 분야에 관한 전반적인 연구동향과 주요 연구 주제 분석을 통해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으로부터 국내 산림생태 관련 총 1015편의 논문 제목 및 키워드 데이터를 수집하여 빅데이터 분석프로그램 Textom과 UCINET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산림생태 관련 연구 논문수는 2006~2010년과 2011~2015년 사이에 증가율 137.6%를 나타내어 2011년 이후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어빈도, N-gram 분석결과 지난 20년간 산림생태 분야의 주요 연구주제는 종다양성이었으며 2011년 이후 기후변화도 주요 연구주제로 출현하였다. CONCOR 분석결과 산림생태 분야의 주요 연구영역은 종다양성, 환경정책, 기후변화, 운영 관리, 식물분류, 서식지 적합성, 관속식물, 휴양복지로 구분되었다. 특히, 종다양성과 기후변화는 관련 정책 추진 현황을 고려할 때 향후에도 중요 연구주제로 다루어질 것이라 판단되며, 국외 사례를 참고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연구주제의 다양화 및 범위 확대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대한민국 ESCO의 중심에 서다 - 에너지관리공단 조천행 에너지관리본부장

  • ESCO지 편집실
    • ESCO지
    • /
    • 통권56호
    • /
    • pp.50-53
    • /
    • 2009
  • 에너지관리공단은 우리나라의 에너지이용효율 향상과 기후변화협약 대응을 위한 중추적인 기관으로써 온실가스감축진단사업, 자발적협약제도, 에너지사용계획협의, 고효율에너지기자재 인증제도, 신재생에너지개발 및 보급 등 다양한 에너지 관련 사업을 펼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관련된 다양한 교육과 기술이전, 인재양성과 나아가 국민 계도와 홍보에까지 다방면으로 힘을 쓰고 있다. 이렇게 대한민국 에너지 절약의 중심에 서 있는 에너지관리공단의 조천행 에너지관리본부장을 만났다.

  • PDF

환절기 호흡기 질병 차단을 위한 대책

  • 김태주
    • 월간피드저널
    • /
    • 제4권9호통권37호
    • /
    • pp.140-144
    • /
    • 2006
  • 요즘 이상 기온이나 변화무쌍한 기후 조건으로 말미암아 사계절이 무색할 정도의 일교차나 온도차가 심해지고 여러 가지 난해한 돼지 질병들이 늘어나다보니 기본적으로 발생하는 호흡기 질병에는 의외로 무관심해지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다시 말해 막연한 소모성질환 운운 하다보니 오히려 쉽게 포기하려거나 관심 밖의 일로 치부한채 속수무책인 농장들이 많아진 것 같다. 항시 새로운 것만 추구하려거나 한꺼번에 해결하려하지 말고 기존의 문제점이나 쉬운 것부터 한가지씩 해결해 나가는, 그야말고 '가지치기'식으로 접근하길 바란다. 같은 내용이라도 반복된 교육이 필요하고, 알면서도 실행이 잘 안되는 타성 또한 극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호흡기 질병이 발생하거나 PMWS 증상이 있을 때 그 구간에서만 해결하려 하지말고, 농장내 전박적인 문제점을 다시 한번 짚어보아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