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후적

Search Result 5,900,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기후변화에 따른 청미천유역의 미래 수문변화 전망

  • Chung, Eun-Sung;Sung, Jang Hyun;Kim, Sang Ug;Son, Mi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27-527
    • /
    • 2015
  •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는 우리 삶에 다양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강수 또는 기온의 비정상성으로 대표되는 기후변화에 따라 수문순환의 변화 역시 자명하게 여겨지고 있다. 기후변화에 따른 수문변화를 전망하기 위한 최우선은 수문상황을 명확하게 이해 진단하는 것이고, 그 다음은 현재기후에 대비하여 미래 변화를 전망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관측의 역사가 짧기 때문에 수문상황의 이해, 진단과 전망을 위해서는 수문모형이 필수적이고, 모형의 관측 재생 능력은 매개변수의 최적화 문제와 직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SWAT 모형과 매개변수 최적화를 위한 SWAT-CUP를 이용하여 현재기후에서의 수문량(유량 및 수질)을 추정하였고, 대표농도경로에 근거한 미래기후에서의 수문량을 전망하였다. 연구결과, 연 최대 일유량은 현재기후에 비하여 21세기 후반에 약 27%(RCP4.5), 50%(RCP8.5) 증가하겠고, 총질소와 총인 역시 미래로 갈수록 부하량이 증가하리라 전망되었다.

  • PDF

Predict of Pollutant Loading Amount Change to Climate Change Using Basin Model Adaptability (기후 변화에 따른 오염부하량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유역모델 적용성 분석)

  • Jang, Yujin;Park, Jongtae;Koo, Youngmin;Seo,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69-273
    • /
    • 2016
  •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와 관련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기후변화에 따른 수문학적 변화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어 진행되고 있지만 오염부하량 변화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또한 모형을 이용한 기후변화 예측에 있어 SWAT 모형이 주를 이루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 시나리오인 RCP시나리오 중 RCP 4.5와 RCP 8.5의 자료를 이용하여 용담댐 유역을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오염부하량을 예측하기 위하여 GWLF, SWAT 및 SWMM 모형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SWAT, GWLF 및 SWMM에 대하여 적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의 오염부하량을 예측한 결과 모델의 특성 등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 PDF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DB Management System for GIS-Based Client/Server Data Sharing in Climate and Environment Fields (GIS기반의 기후·환경 분야 자료 공유를 위한 Client/Server 방식의 통합DB 관리시스템 개발)

  • Choi, Yong-Kuk;Kim, Kye-Hyun;Lee, Chol-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7 no.2
    • /
    • pp.32-43
    • /
    • 2014
  • To identify major causes of the global environment changes arising from extreme and unusual weather patterns occurring these days, and to foresee future environmental changes, it is highly important to shed light on the correlation between climate changes and global environment system.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climate changes and global environment system, it calls for establishing an integrated climate-environment DB for analyzing comparatively the data on climatic changes and global environment system. In the preceding studies, we researched an XML-based integrated climate-environment DB and developed a management system for the DB. However, the existing integrated climate-environment DB, designed and installed only for individual PCs, does not allow multiple users 'simultaneous access. Accordingly, it fails to systematically update and sharing data which is being generated continuingly. Henc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easy-to-use GIS-based integrated DB management system by improving the existing integrated climate-environment DB through the adoption of the client/server model. For this,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climate and environment data prior to designing and building a DBMS-based integrated DB. In addition, in order for multidisciplinary researchers to easily get access and apply the integrated DB, this study designed and developed a GIS-based integrated DB management system using a client/server model which facilitates connections with multiple PCs. The GIS-based integrated climate-environment DB management system makes it easier to efficiently manage and locate scattered climate-environment data.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DB system will bring the effects in saving time and cost by avoiding the overlapping generation of data in the areas of integrated climate-environment research.

A Study on Flood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Considering Climate Change (Case study on Gulpo Stream Basin) (기후변화를 고려한 방재대책 수립 방안 연구 - 굴포천 유역을 대상으로 -)

  • Kang, Na-Rae;Kim, Duck-Gil;Kim, Soo-Jun;Kim, 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44-244
    • /
    • 2011
  •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인한 자연재해의 대규모화는 정상성에 기반한 관측치를 대상으로 설계량을 결정하는 현행 방재기준의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기후변화의 심각성과 기후변화 영향 고려 방법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기후변화를 고려한 방재대책 수립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래 기후변화의 영향을 평가하고 수문사상의 발생 크기에 따라방재대책을 수립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대상유역인 굴포천 유역의 방재시설물을 조사하고 각 시설물의 한계능력을 평가한다. 그리고 기후변화 시나리오 및 기후모형 자료를 수집하여 대상유역으로 규모축소하고 도시유출모형인 SWMM 모형을 이용하여 미래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발생 가능한 수문사상에 따른 홍수량을 산정한다. 또한 홍수피해규모를 다차원법으로 산정하고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방재시설물의 설치 및 개선에 의한 홍수피해 저감 편익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경제성 분석에 기반한 방재대책을 수립하는 방안에 대하여 제시한다. 이러한 방법론은 향후 기후변화를 고려한 방재 대책을 마련하는데 있어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농업단상(斷想) - 기후변화는 미래 아닌 다가온 현실이다

  • Go, Gwan-Dal
    • Life and Agrochemicals
    • /
    • s.262
    • /
    • pp.14-17
    • /
    • 2010
  • 기상 이변으로 인한 세계적 식량위기가 닥쳤을 때 우리이게 얼마나 큰 재앙이 될지 상상하기가 두려워진다. 전국적인 병해충 및 잡초에 대한 예찰 및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등 기후변화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려는 범정부적인 차원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 PDF

Understanding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Water Security (지속가능개발과 물 안보)

  • Park, Jihyeon;Hong, Ilp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76-76
    • /
    • 2016
  • 2015년은 국제사회 거버넌스 및 정책 패러다임에 있어 전환점(tipping point)을 맞는다. 2000년 국제사회가 인류의 빈곤 퇴치라는 삶에 가장 절대적인 개발목표로 2015년까지 달성해야 할 빈곤, 의료, 교육 등 사회 환경 현안에서 해결해야 할 단순명료한 목표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2015년 9월 UN 지속가능 세계정상 회의(World Summit on Sustainable Development, WSSD)에서는 지속가능개발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를 채택하여 2030년까지 전 세계가 경제성장, 기후 변화 등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측면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지속가능한 인간정주환경을 조성하자는데 합의를 마쳤다. 17개의 지속가능개발목표와 부속적으로 169개의 타겟이 설정되었으며, SDGs 안에서는 MDGs의 기조를 유지하면서, 인간의 권리 구현과 성평등, 여성과 어린이의 권리 신장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기후변화와 예측이 불확실한 다양한 자연재난, 특히 물과 물 관련 재해가 빈곤 경감, 기후변화 대응, 인간정주의 모든 삶의 영역에 연계요소로 녹아 있다. 기후변화 적응과 물 안보, 특히 위기관리의 맥락이 내재되어 있는 2030년을 목표로 하는 국제사회의 Post-2015 개발의제에서 물 분야는 무엇보다 중요한 관심 분야로 부각이 되어 있다. 17개의 지속가능개발목표에서 SDG6을 "모두를 위한 물과 위생의 지속가능한 관리와 이용(Ensure availability and sustainable management of water and sanitation for all)"으로 하고 수자원관리 및 물과 위생 분야의 중요성을 전세계가 공감하고 함께 해결해 나가야 함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물을 직접적으로 언급한 6번째 목표뿐만 아니라, 빈곤의 근절(SDG1), 기아근절과 지속가능한 농업의 증진(SDG2)을 비롯한 다양한 목표들에서 물 분야가 직접?간접적으로 연계 되어 있으며, 특히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더욱 심각해진 물관련 재해로부터 리질리언스 확보 등, 지속가능개발목표의 전반적인 기조에서 물안보 확보를 읽을 수 있다. 물 분야에서 지속가능개발목표의 이행을 위한 노력은 국제사회의 물 문제 해결에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한 글로벌 동반 성장 지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

  • PDF

Runoff Analysis of Climate Change Scenario in Gangjung Basin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강정천 유역의 유출특성 분석)

  • Lee, Jun Ho;Kee, Yang Sung;Yang, Won Seok;Lee, Gwang 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39-543
    • /
    • 2016
  • 제주도는 수자원의 98% 이상을 지하수에 의존하기 때문에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 영향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한 지역이다. 향후 예상되는 극치사상의 증가와 수자원의 시공간적 불균형은 더욱 취약성을 증가시킬 것으로 보이며, 안정적인 수자원의 공급 및 확보를 위해서는 장기적이고 효율적인 수자원계획이 요구되지만 기후변화로 인해 변동성이 커지게 된다면 수자원확보에 대한 불확실성도 더욱 커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2100년까지 미래 유출량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현재의 유출량 보정에 적용되었던 매개변수를 그대로 적용하였다. 미래의 직접유출율은 28%, 현재의 평균 직접유출율(23%)에 비해 약 22%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접유출의 증가에 가장 큰 영향으로 미래로 갈수록 극치값이 현재보다 자주 발생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 PDF

Implementation Strategy of Global Framework for Climate Service through Global Initiatives in AgroMeteorology for Agriculture and Food Security Sector (선도적 농림기상 국제협력을 통한 농업과 식량안보분야 전지구기후 서비스체계 구축 전략)

  • Lee, Byong-Lyol;Rossi, Federica;Motha, Raymond;Stefanski, Robert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5 no.2
    • /
    • pp.109-117
    • /
    • 2013
  • The Global Framework on Climate Services (GFCS) will guide the development of climate services that link science-based climate information and predictions with climate-risk management and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GFCS structure is made up of 5 pillars; Observations/Monitoring (OBS), Research/ Modeling/ Prediction (RES), Climate Services Information System (CSIS) and User Interface Platform (UIP) which are all supplemented with Capacity Development (CD). Corresponding to each GFCS pillar, the Commission for Agricultural Meteorology (CAgM) has been proposing "Global Initiatives in AgroMeteorology" (GIAM) in order to facilitate GFCS implementation scheme from the perspective of AgroMeteorology - Global AgroMeteorological Outlook System (GAMOS) for OBS, Global AgroMeteorological Pilot Projects (GAMPP) for RES, Global Federation of AgroMeteorological Society (GFAMS) for UIP/RES, WAMIS next phase for CSIS/UIP, and Global Centers of Research and Excellence in AgroMeteorology (GCREAM) for CD, through which next generation experts will be brought up as virtuous cycle for human resource procurements. The World AgroMeteorological Information Service (WAMIS) is a dedicated web server in which agrometeorological bulletins and advisories from members are placed. CAgM is about to extend its service into a Grid portal to share computer resources, information and human resources with user communities as a part of GFCS. To facilitate ICT resources sharing, a specialized or dedicated Data Center or Production Center (DCPC) of WMO Information System for WAMIS is under implementation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CAgM will provide land surface information to support LDAS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 of next generation Earth System as an information provider.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Agricultural Meteorology (INSAM) is an Internet market place for agrometeorologists. In an effort to strengthen INSAM as UIP for research community in AgroMeteorology, it was proposed by CAgM to establish Global Federation of AgroMeteorological Society (GFAMS). CAgM will try to encourage the next generation agrometeorological experts through Global Center of Excellence in Research and Education in AgroMeteorology (GCREAM) including graduate programmes under the framework of GENRI as a governing hub of Global Initiatives in AgroMeteorology (GIAM of CAgM). It would be coordinated under the framework of GENRI as a governing hub for all global initiatives such as GFAMS, GAMPP, GAPON including WAMIS II, primarily targeting on GFCS implementations.

Analysis of Future Bioclimatic Zones Using Multi-climate Models (다중기후모형을 활용한 동북아시아의 미래 생물기후권역 변화분석)

  • Choi, Yuyoung;Lim, Chul-Hee;Ryu, Jieun;Jeon, Seongwoo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7 no.5
    • /
    • pp.489-508
    • /
    • 2018
  • As climate changes, it is necessary to predict changes in the habitat environment in order to establish more aggressive adaptation strategies. The bioclimatic classification which clusters of areas with similar habitats can provide a useful ecosystem management framework. Therefore, in this study, biological habitat environment of Northeast Asia was identifi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bioclimatic zones, and the impac of climate change on the biological habitat was analyzed. An ISODATA clustering was used to classify Northeast Asia (NEA)into 15 bioclimatic zones, and climate change impacts were predicted by projecting the future spatial distribution of bioclimatic zones based upon an ensemble of 17 GCMs across RCP4.5 and 8.5 scenarios for 2050s, and 2070s. Results demonstrated that significant changes in bioclimatic conditions can be expected throughout the NEA by 2050s and 2070s. The overall zones moved upward, and some zones were predicted to be greatly expanded or shrunk where we suggested as regions requiring intensive management. This analysis provides the basis for understanding potential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biodiversity and ecosystem. Also, this could be used more effectively to support decision making on climate change adaptation.

Development of Web-Based Supporting Tool (VESTAP) for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ment in Lower and Municipal-Level Local Governments (기초 및 광역지자체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를 위한 웹기반 지원 도구(VESTAP) 개발)

  • OH, Kwan-Young;LEE, Moung-Jin;HAN, Do-E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9 no.1
    • /
    • pp.1-11
    • /
    • 2016
  • Climate change is the issue that attracts the most attention in the field of environment, as well as the most challenging task faced by the human race. There are various ways to resolve this issue. South Korea has established the primary and secondary national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s at the national level, and is making it compulsory for each local government (lower and municipal-level) to establish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s.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 plays an essential role in establishing climate change adaptation action plans. However, vulnerability assessment has a difficulty performing individual assessments since the results are produced through complex calculations of multiple impact factors. Accordingly, this study developed a web-based supporting tool(VESTAP) for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ment that can be used by lower and municipal-level local governments. The VESTAP consists of impact DB and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display tool. The index DB includes total 455 impacts of future climate data simulated with RCP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4.5 and 8.5, atmospheric environment data, other humanities and social statistics, and metadata. The display tool has maximized convenience by providing various analytical functions such as spatial distribution, bias and schematization of each vulnerability assessment result. A pilot test of health vulnerability assessment by particulate matters in Sejong Metropolitan Autonomous City was performed using the VESTAP, and Bukang-myeon showed the highest vulnerability. By using the developed tool, each local government is expected to be able to establish climate change adaptation action plans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based on scientific evid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