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후시나리오

Search Result 1,060, Processing Time 0.04 seconds

Economic Assessment for Flood Control Infrastructure under Climate Change : A Case Study of Imjin River Basin (기후변화를 고려한 홍수방재시설물의 경제성분석 : 임진강 유역사례)

  • Kim, Kyeongseok;Oh, Seungi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8 no.2
    • /
    • pp.81-90
    • /
    • 2017
  • In Imjin River basin, three floods occurred between 1996 and 1999, causing many casualties and economic losses of 900 billion won. In Korea, flood damage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due to climate change. This study used the climate scenarios to estimate future flood damage costs and suggested a real options-based economic assessment method. Using proposed method, the flood control infrastructures in Imjin River basin were selected as a case study site to analyze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investment. Using RCP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climate scenarios, the future flood damage costs were estimated through simulated rainfall data. This study analyzed the flood reduction benefits through investment in the flood control infrastructures. The volatility of flood damage reduction benefits were estimated assuming that the RCP8.5 and RCP4.5 climate scenarios would be realized in the future. In 2071, the project option value would be determined by applying an extension option to invest in an upgrading that would allow the project to adapt to the flood of the 200-year return period. The results of the option values show that the two investment scenarios are economically feasible and the project under RCP8.5 climate scenario has more flood damage reduction benefits than RCP4.5. This study will help government decision makers to consider the uncertainty of climate change in the economic assessment of flood control infrastructures using real options analysis. We also proposed a method to quantify climate risk factors into economic values by using rainfall data provided by climate scenarios.

Sensitivity assessment for climate change on Daecheong Dam Basin stream flow (기후변화에 따른 대청댐 상류유역의 유출 민감도 분석)

  • Seo, Hyeong-Deok;Jeong, Sang-Man;Han, Kyu-Ha;Shin, Kwang-Seob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695-698
    • /
    • 2008
  • The SWAT model was used to assess the impacts of potential future climate change on the hydrology of the Upper Geum River Basin(UGRB). Calibration and validation of SWAT were performed on a monthly basis for 1982-1995 and 1996-2005, respectively. The impact of ten 15-year(1988-2002) scenarios were then analyzed relative to a scenario baseline. Among them, scenario 1-6 were set to show the sensitivity response. A doubling of atmospheric CO2 concentration was predicted to result in an maximum monthly flow increase of 11 percent. Non-linear impacts were predicted among precipitation change scenarios of -42, -17, 17, and 42 percent, which resulted in average annual flow changes in UGRB of -55, -24, 26, and 65 percent.

  • PDF

A Study on Statistical Characteristics for Extreme Rainfall based on CMIP6 SSP scenario - Focused on Busan Metropolitan City (CMIP6 SSP 시나리오 극한 강우량의 통계적 특성 연구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Kim, Sunghun;Kim, Heechul;Kim, Gyobeom;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10-410
    • /
    • 2022
  •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에서는 지난해부터 제6차 평가보고서(Sixth Assessment Report, AR6)를 준비하고 있으며, 최근 Working Group II에서 수행한 기후변화 영향, 적응 및 취약성(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보고서를 공개하였다. 보고서는 기존의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RCP) 시나리오에 사회경제적 조건을 추가로 고려한 Shared Socioeconomic Pathway (SSP) 시나리오를 제시하였고, 세계기후연구프로그램(World Climate Research Programme, WCRP)의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CMIP)에서 제공하는 6단계(Phase 6) 미래 전망 자료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한 미래 극한 강우량의 통계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CMIP6에서 제공하는 General Circulation Models (GCMs) 기반 미래 강우자료를 수집하여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4개의 SSP (SSP126, SSP245, SSP370, SSP585) 시나리오별로 10개 GCMs의 모의 결과를 사용하였다. Gumbel 분포형과 확률가중모멘트법을 이용하여 미래 극한 강우량을 산정하였고, 현재 모의기간(S0, 1983-2014) 대비 미래 전망기간(S1, 2015-2044; S2, 2041-2070; S3, 2071-2100)의 변화를 재현기간(return period, T)별로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 PDF

Projection of Climate Change Impact on Water Environment in Multipurpose Dam Reservoirs according to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따른 다목적댐 저수지의 수환경 취약성 전망)

  • Kang, Boo-Sik;Kim, Seong-Joon;Chung, Se-Woong;Kim, Young-Do;Shin, Jae-K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247-247
    • /
    • 2012
  • 기후변화로 나타나게 될 댐 저수지의 수질 및 생태환경 변화에 대한 분석은 국가 수자원관리 측면에서 우선적으로 대비해야할 중요한 문제로써, 수자원을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관리 및 활용하기 위해서 기후변화로 인한 댐 저수지의 수환경 변화의 정확한 분석과 취약성 평가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기후변화로 인한 신뢰성 있는 영향평가를 위해서는 기후변화시나리오 분석, 댐 유역의 오염물질 유출을 시 공간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유역 모델과 댐저수지로 유입된 이후 오염물질 거동 분석을 위한 저수지 모델이 필요하며, 특히 다양한 기후변화 시나리오하에서의 미래 전망과 발생가능한 취약성을 예측 및 평가하는 기술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총 7개의 다목적댐 유역과 저수지에 대하여 기후변화로 인한 신뢰성이 있는 영향평가를 위해서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상세화를 통한 상세지역의 기후예측, 댐 유역 모형에서의 유출, 토사 및 오염물질예측과 저수지모형을 통한 미래의 저수지내 오염/영양물질순환 및 분포예측을 통해 기후변화에 의한 다목적댐 취약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총 7개의 다목적댐 유역의 기후변화 시나리오 적용에 따른 유출변화 및 하천수질 전망을 위해 인공신경망 방법에 의해 상세화된 기후자료를 검보정된 SWAT 모형에 적용하였다. 이때, 기준년에 해당하는 Baseline 기간은 인공신경망 학습기간(1990-2010)과 동일하게 모의하였으며, 미래 분석기간 역시 마찬가지로 2011-2040, 2041-2070, 2071-2100의 3개 기간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미래 전망결과에 대한 분석은 각 30년 일별 모의결과에 대한 월 평균, 계절 평균으로 분석하였다. 유출변화 전망은 댐유역별 월별 총유입량 변화와 함께 유황분석을 통해 미래 댐유입량에 대한 규모 및 변동성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하천수질 변화 전망을 위해 호소유입 하천의 Sediment, TN, TP 월별 오염부하량 변화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댐유입 총량에 대한 변동성을 분석한 후, 저수지수질모델의 입력경계조건에 해당하는 각 댐저수지 유입 하천의 미래 유출량 및 수질농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 PDF

Strategies for future flood risk reduction in mid-size basins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중권역 홍수 피해 저감 방안)

  • Kim, Myojeong;Kim, Gwangseob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85-385
    • /
    • 2019
  •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아 평균 기온 및 강수량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로 인하여 홍수로 인한 피해 강도와 발생 빈도가 증가한다. 선진국을 중심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예측은 기후변화 시나리오로 분석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라 기온 상승률 및 강수량의 증가량, 극한 강우사상의 발생 빈도 및 발생 강도가 다르게 결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위험관리 대응이 필요한 유역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하천 개수율 개선, 하수도보급률 개선, 양수량 증가, 유수지 용량 증가로 치수 대책을 개선하였으며, 치수 대책 개선으로 인한 홍수 위험 지수 및 위험관리 대응 필요유역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치수 대책 개선은 홍수 위험 지수 및 위험관리 대응 필요유역의 감소 형태가 뚜렷이 나타난다.

  • PDF

Calculation and Analysis of Pollutant Loading by Climate Change in Geum River Basin (기후변화에 따른 금강 유역의 오염 부하량 산정 및 분석)

  • Park, Jongtae;Jang, Yujin;Koo, Youngmin;Seo,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75-279
    • /
    • 2016
  • 기후변화에 따른 강수량변화와 기온변화에 의한 영향이 수질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하천, 호소 등 취수원의 상수도 질적 저하, 나아가 잠재적인 공중보건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IPCC 에서 발표한 지구기후모형 GCMs의 시나리오 자료를 바탕으로 기상청이 운영하는 기후변화센터의 RCP 시나리오 4.5, 8.5의 데이터 중 금강유역에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를 이용하여 GWLF 모형을 사용하여 금강 유역의 갑천 및 논산천, 대청댐 등 소유역의 2000년부터 2100년까지의 미래 오염 부하량을 모의 하였으며, 연구 결과 RCP 4.5의 경우 오염 부하량이 2100년 까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RCP 8.5의 경우 2100년까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 PDF

Development of Extreme Event Analysis Tool Base on Spatial Information Using Climate Change Scenarios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한 공간정보 기반 극단적 기후사상 분석 도구(EEAT) 개발)

  • Han, Kuk-Jin;Lee, Moung-Ji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6 no.3
    • /
    • pp.475-486
    • /
    • 2020
  • Climate change scenarios are the basis of research to cope with climate change, and consist of large-scale spatio-temporal data. From the data point of view, one scenario has a large capacity of about 83 gigabytes or more, and the data format is semi-structured, making it difficult to utilize the data through means such as search, extraction, archiving and analysis. In this study, a tool for analyzing extreme climate events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is developed to improve the usability of large-scale, multi-period climate change scenarios. In addition, a pilot analysis is conducted on the time and space in which the heavy rain thresholds that occurred in the past can occur in the future, by applying the developed tool to the RCP8.5 climate change scenario. As a result, the days with a cumulative rainfall of more than 587.6 mm over three days would account for about 76 days in the 2080s, and localized heavy rains would occur. The developed analysis tool was designed to facilitate the entire process from the initial setting through to deriving analysis results on a single platform, and enabl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o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ats without using specific commercial software: web document format (HTML), image (PNG), climate change scenario (ESR), statistics (XLS). Therefore, the utilization of this analysis tool is considered to be useful for determining future prospects for climate change or vulnerability assessment, etc., and it is expected to be used to develop an analysis tool for climate change scenarios based on climate change reports to be presented in the future.

Simulation of Suspended Sediment Load Following a Climate Change Scenario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부유사량 변화 모의)

  • Kim, Min-Seok;Paik, Kyung-Rock;Kim, Joong-Hoon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103.1-103.1
    • /
    • 2010
  • 기후변화가 가속됨에 따라 이에 따른 수문환경의 변화 예측이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경안천 유역의 부유사량 변화를 모의하였다. SRES A1B 시나리오를 채택하고 이 시나리오에서의 강수량 변화를 10개 GCM을 이용해 모의하였다. 샘플링 오차를 줄이기 위해 BMA(Bayesian model averaging)기법을 사용해 10개 GCM의 결과를 앙상블했다. 부유사량의 모의를 위해 SWAT 모형이 이용되었다. 모의 결과, 경안천 유역의 경우 강수량과 부유사량 모두 상당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정하도를 위한 구조물 설계시, 이러한 변화를 고려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streamflow variability on five large basin using A2 senario (A2 시나리오를 활용한 5대강수계 유출변동성 분석)

  • Jung, Il-Won;Koo, Bo-Young;Bae, Deq-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501-1505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적으로 이슈화되고 있는 기후변화가 국내 유역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상연구소에서 구축한 고해상도의 A2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국내 5대강 수계에 대해 유출시나리오를 생산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국내 유역을 139개의 단위유역으로 구분하고 LARS-WG 모형을 적용하여 유역별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생산하였다. 지역화방법을 적용하여 유역별 장기유출분석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PRMS 모형을 이용하여 총 120년에 대해 유출시나리오를 생산하고 과거 30년(1971-2000년) 동안에 대해 미래 세 기간(2001-2030년, 2031-2060년, 2061-2090년)에 대한 수자원의 변동성을 분석하였다. 각 유역에서의 기준기간에 대한 유출량의 변화율은 2015s 기간에서는 $-12%\sim14%$, 2045s 기간에서는 $-23%{\sim}16%$, 2075s 기간에서는 $-14%{\sim}20%$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강권역에서는 평균적으로 5%(2015s), 0.1%(2045s), 6%(2075s)로 다소 증가될 것으로 분석되었고, 낙동강권역에서는 0.1%(2015s), -10%(2045s), -3%(2075s)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섬영과 금강도 예측기간에 대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Generation of High Resolution Scenarios for Climate Change Impacts on Water Resources (II): Runoff Scenarios on Each Sub-basins (수자원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위한 고해상도 시나리오 생산(II): 유역별 유출시나리오 구축)

  • Jung, Il-Won;Bae, Deg-Hyo;Im, Eun-So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0 no.3
    • /
    • pp.205-214
    • /
    • 200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generate the regional scale runoff scenarios by using IPCC SRES A2 climate change scenario for analyzing the spatial variation of water resources in Korea. The PRMS model was adopted to simulate long-term stream discharge. To estimate the PRMS model parameters on each sub-basin, the streamflow data at 6 dam sites and Rosenbrock's scheme are used for model parameter calibration and those parameters are translated to ungauged catchments by regionalization method. The other 3 dam sites are selected for the verification of the adequateness of regionalized model parameters in ungagued catchments. The statistical results show that the simulated flows by using regionalized parameters well agree with observed ones. The generated runoff scenarios by climate change are compared with observed data on 4 dam sites for the reference period. The consequences show that the selection of climate station for generating climate scenario affects the reliability of climate scenario at sub-basin. The comparison results of the stream flows between the 30-year baseline period (1971-2000) and future 90-year (2001-2030, 2031-2060, 2061-2090) show that the long-term mean annual runoff in the Han River has increasing trend, while the Nakdong, the Gum, the Youngsan and the Sumjin Rivers have decreasing tr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