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하학적인 정보

Search Result 87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Geometry Reconstruction Using Dictionary Learning of 3D Shape Features (3차원 형태 특징의 사전 학습을 이용한 기하 복원)

  • Hwang, Jung-Min;Yoon, Yeo-Jin;Choi, Soo-Mi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23 no.1
    • /
    • pp.57-65
    • /
    • 2017
  • In this paper, we present a dictionary learning method for reducing errors in point cloud models and reconstructing their geometry. For this, 3D feature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the models which have a similar shape characteristic as the target model. Then a dictionary is constructed and the geometry is reconstructed using the dictionary. The presented method in this paper consists of the following three steps. First, a geometric patch is constructed from a similar model. Second, a morphological 3D feature of the acquired patch is learned. Third, a geometry reconstruction is performed using the learned dictionary. Finally, the error between the original model and the reconstruction result is calculated, and the accuracy of the reconstruction result is checked.

The Recognition of Head Gestures using Face Pose Information (얼굴의 포즈정보를 이용한 헤드 제스처 인식에 관한 연구)

  • 김정연;박형철;전병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463-468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얼굴의 9가지 상태를 인식하고 이를 상태 시퀀스로 생성한 후, 오토마타 기법을 적용하여 13가지(준비, 상측, 하측, 좌측, 우측, 전진, 후퇴, 좌 윙크, 우 윙크, 좌 더블 윙크, 우 더블 윙크, 긍정, 부정) 헤드 제스처를 인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얼굴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에서는 최적의 얼굴색 정보와 적응적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얼굴 영역을 추출한다. 눈의 후보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에서는 소벨 연산자와 투영 기법을 이용한다. 이 때 눈의 후보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눈의 기하학적 정보와 눈은 쌍으로 존재한다는 정보를 이용한다. 얼굴의 상태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계층적인 특징분석 방법을 사용한다. 13가지 헤드 제스처는 얼굴 상태 인식의 처리에서 생성된 상태 시퀀스를 이용한 오토마타 기법에 의해 인식된다. 실험 결과, 93.3%의 헤드제스처 인식률을 얻었다.

  • PDF

Hand-Gesture Algorithm using Morphological Shape Decomposition Elements (형태론적 형태 분해 요소를 이용한 손짓 인식 알고리즘)

  • 김정훈;윤용인;최종수;김태은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06a
    • /
    • pp.103-106
    • /
    • 2001
  • 최근 들어 인간의 의지를 컴퓨터에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컴퓨터 시각기반 방식으로 제스처를 인식하고자 하는 연구가 널리 진행되고 있다. 제스처 인식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실시간 처리로 알고리즘의 단순화와 처리시간의 감소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기하학적 집합론에 근거하고 있는 수학적 형태론을 적용하였다. 형태론적 형상분해를 적용하여 얻은 손짓 형상의 원시형상 요소들의 방향성은 손짓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내포하고 있으며 이러한 특징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주 원시형상 요소와 부 원시형상원소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직선으로부터 특징벡터를 이용한 형태론적 제스처 인식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하여 그 유용성을 증명한다.

  • PDF

비구면렌즈 모델링 및 CAM적용에 관한 연구

  • 김수용;김민주;이승수;박재현;서용권;전언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240-24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광학 기기 전반에 사용되고 있는 비구면 렌즈(aspheric lens)의 모델링과 제작 및 검증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비구면 렌즈는 볼록렌즈, 오목렌즈와 달리 비구면을 사용함으로써, 사물의 원근에 관계없이 하나의 초점에 상을 맺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모델링 정보는 공개되지 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식을 오일러 법(Euler method)을 적용하여 비구면 렌즈의 기하학적 형상을 모델링하였다.(중략)

  • PDF

Detection of Facial Features Using Color and Facial Geometry (색 정보와 기하학적 위치관계를 이용한 얼굴 특징점 검출)

  • 정상현;문인혁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2.06d
    • /
    • pp.57-60
    • /
    • 2002
  • Facial features are often used for human computer interface(HCI).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detect facial features using color and facial geometry information. Face region is first extracted by using color information, and then the pupils are detected by applying a separability filter and facial geometry constraints. Mouth is also extracted from Cr(coded red) component. Experimental results shows that the proposed detection method is robust to a wide range of facial variation in position, scale, color and gaze.

  • PDF

An Integrating Reasoning of Rule and Case base Using Derivatives and Expansions of Boolean Functions (Bode 함수의 미분 및 전개를 이용한 규칙과 사례의 통합 추론)

  • 박지연;김국보;정환묵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1995.10b
    • /
    • pp.285-292
    • /
    • 1995
  • 최근 규칙베이스 추론과 사례베이스 추론의 통합화에 의한 추론이 다양하게 시도되 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규칙과 사례를 동일한 형태로 표현하고, 규칙베이스와 사례베이스를 통합한 새로운 통합 추론 방법을 제안한다. 지식은 논리의 기하학적 모델을 이용하여 정보 를 논리적으로 해석하며, 동일한 형태로 표현된 규칙과 사례를 Boole 함수의 미분 및 전개 방법을 이용하여 추론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응용예를 통하여 확인하다.

  • PDF

SAR 영상을 이용한 수치표고모형 제작방법에 관한 연구

  • 이창원;문우일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0.04a
    • /
    • pp.85-90
    • /
    • 2000
  • 백두산 지역의 JERS-1 SLC 영상과 볼리비아 지역의 RADARSAT 영상에 대해 각각 interferometry와 radargrammetry를 이용하여 수치표고모형을 제작하였다. Interferometry 는 coregistration, interferogram 작성, phase unwrapping 과정으로 나눠지는데 temporal decorrelation으로 낮은 coherence, 부정확한 궤도정보가 DEM의 정확도를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Radargrammetry는 photogrammetry와 동일한 처리과정, 즉 GCP를 이용한 stereo model 설정, 영상 matching, 고도추출단계로 이루어지지만 광학영상 과는 다른 SAR 영상의 기하학적, 방사적 특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 PDF

A Study on Extraction of Face Region and Facial Characteristics Point (얼굴 영역 및 구성 요소의 특징점 추출에 관한 연구)

  • 김성식;김진태;김동욱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05c
    • /
    • pp.291-294
    • /
    • 2002
  • 본 논문은 얼굴 영역 및 얼굴 구성 요소의 얼굴 특징점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얼굴 특징점은 얼굴 인식을 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자료이다. 얼굴 영역은 객체 단위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얼굴의 고유 영역만을 추출한다. 얼굴의 구성요소는 각 요소간의 기하학적 정보를 이용하여 얼굴 영역 내에서 추출해 간다. 얼굴 구성요소의 특징점은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특징점을 결정한다. 그리고 이런 특징점간의 상호 연관관계를 설정한다.

  • PDF

A Study on Prediction of Wake Distribution by Neuro-Fuzzy System (뉴로퍼지시스템에 의한 반류분포 추정에 관한 연구)

  • Sin, Seo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6.11a
    • /
    • pp.193-196
    • /
    • 2006
  • 프로펠러 회전면에서의 반류분포는 주로 모형시험에 의해서 규명되어 왔다. 이렇게 축적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선박의 기하학적 형상정보와 반류분포 사이의 입출력관계를 모델링할 수 있다. 면 선박 초기설계시 유사선종의 설계에 도움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입출력 사이의 관계를 뉴로퍼지시스템으로 모델링하고 학습한 후 새로운 입력에 대한 출력값의 검토를 통해 그 유용성을 확인한다.

  • PDF

A Method for Text Detection and Enhancement using Spatio-Temporal Information (시공간 정보를 이용한 자막 탐지 및 향상 기법)

  • Jeong, Jong-Mye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4 no.8
    • /
    • pp.43-50
    • /
    • 2009
  • Text information in a digital video provides crucial information to acquire semantic information of the video. In the proposed method. text candidate regions are extracted from input sequence by using characteristics of stroke and text candidate regions are localized by using projection to produce text bounding boxes. Bounding boxes containing text regions are verified geometrically and each bounding box existing same location is tracked by calculating matching measure. which is defined as the mean of absolute difference between bounding boxes in the current frame and previous frames. Finally. text regions are enhanced using temporal redundancy of bounding boxes to produce final results. Experimental results for various videos show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