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여율 분석

Search Result 783,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The development of DSM after deregulation (전력산업 구조개편후 DSM의 발전방향)

  • Lee, Tae-Yong;Park, Jong-Keun;Choi, Jun-Young;Lee, Sang-S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11b
    • /
    • pp.54-56
    • /
    • 2001
  • 매년 전력사용량은 증가하고 있으나 발전 공급량은 수요의 증가분을 따라가기는 힘들다. 수요관리(DSM)는 소비자의 전기사용 패턴을 합리적인 방향으로 유도함으로써 부하율 향상을 통한 원가절감과 전력수급 안정에 기여한다. 국내의 전력산업 특성상 DSM은 규제에 의한 DSM이었다. 규제된 DSM 덕택으로 부하율 향상과 에너지이용효율향상을 위한 수요관리 프로그램을 전력회사는 꾸준히 추진해 왔다. 그러나 전력산업의 구조개편후 규제가 완화되면서 전력회사는 수지 타산에 맞는 DSM만 선호하게 될 것이다. 전력회사의 이익에 맞지않는 DSM은 구조개편후 경제원리에 의해 사라져야만 하는가? 비록 전력회사에게는 이익이되지 않지만 사회적으로는 많은 편익을 주는 DSM 프로그램도 상당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그러한 프로그램의 대표적인 예제라 할 수 있는 고효율 유도전동기에 대해서 DSM프로그램의 각 참여자 입장에서 비용효과적인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구조개편후 이러한 DSM프로그램이 어떻게 유지되어야 타당한지를 밝히려 한다. 효과분석에서 사용되어지는 소프트웨어 패키지로는 미국의 EPRI연구소에서 개발한 DSManager를 사용하였다.

  • PDF

Compound Noun Analysis Strengthened Unknown Noun Processing (미등록어 처리가 강화된 복합명사 분해)

  • Kim, Eung-Gyun;Seo, Young-Ho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3.10d
    • /
    • pp.40-46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분해 패턴을 이용한 재사용 분해 알고리즘과 외래어 인식, 이름 명사 인식, 지명 인식에 의한 미등록어 추정을 이용한 복합명사 분해 방법을 제안한다. 재사용 분해 알고리즘은 현재 분해되는 음절보다 짧은 길이의 음절에서 사용된 분해 방법을 재사용하여 분해가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외래어 인식에서는 한국어 음절에서 비교적 사용 빈도가 낮은 음절들로 외래어가 구성이 됨을 이용한다. 이름 명사는 한국인의 이름 특성에서 한자 독음을 차용하여 작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정한 수의 음절이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점을 이용하여 인식한다. 지명 인식 방법은 지명이 출현하는 패턴을 분석하여 지명 사전의 검색으로 인식한다. 이와 같이 지명 사전에 의한 지명 인식과 알고리즘에 의한 외래어 및 이름 명사 인식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미등록어 추정에 정확성을 높이고 분해 정확율 향상에 기여한다. 실험 결과 미등록어가 포함된 약 1,500어절에 대해 약 98%의 정확율이 나타났고, 미등록어가 사전에 모두 등재된 후의 실험에서는 약 99%의 정확율을 보였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hecklist for Preventing Fall Accidents in Small and Medium-Sized Construction Sites (중소규모 건설현장 거푸집 공사 추락재해 예방을 위한 체크리스트 적용성 평가)

  • An, Jeong-Peal;Cho, Ye-Rim;Shin, Yoon-Seok;Kim, Gwa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231-232
    • /
    • 2017
  • 건설업은 전체 산업중 두 번째로 높은 재해율을 보이는 산업이다. 그중 거푸집 작업의 재해율은 건설업 재해율의 24%를 차지하고 있다. 거푸집 공사에서 발생하는 재해비율은 추락(30.4%), 물체에 맞음(20.8%), 넘어짐(19.1%), 부딪힘(13.1%), 끼임(8.3%)이다. 이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추락에 대해서 재해요인 분석을 통하여 체크리스트를 개발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체크리스트를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거푸집 공사에 적용한 결과 안전관리의 취약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중소규모 건설현장에 적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안전관리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Flavor Characteristic of Functional Modified-butterfat Synthesized by Lipase-catalyzed Interesterification (효소적 공법을 이용한 기능성 modified-butterfat의 향기성분 특성 분석)

  • Shin, Jung-Ah;Lee, Ki-Teak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 /
    • v.36 no.2
    • /
    • pp.219-224
    • /
    • 2009
  • Two functional modified-butterfats (MF668 and MF866) were synthesized with two blends (6:6:8 and 8:6:6, w/w%) of anhydrous butterfat (ABF), palm stearin (PS) and flaxseed oil (FSO, omega-3) via lipase-catalyzed interesterification reaction. Their flavor characteristic was investigated using electronic nose and SPME-GC/MS analysis. Each flavor pattern of ABF, FSO, MF668 and MF866 was significantly discriminated with first principal component score of 95.16% in PCA plot. In functional modified-butterfats analyzed with SPME-GC/MS, various volatile compounds such as aldehydes, ketones, acids, and alkanes were detected.

  • PDF

Ionic composition and pollution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ion in Jeju Island during 2009-2014 (2009-2014년 제주지역 강수의 이온조성 및 오염특성)

  • Bu, Jun Oh;Song, Jung Min;Shin, Su Hyun;Kim, Won Hyung;Kang, Chang Hee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29 no.1
    • /
    • pp.19-28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cidification of precipitation in the Jeju area. Precipitation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Jeju area from 2009-2014, and the major ionic species were analyzed. In th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a comparison of ion balance, electric conductivity, and acid frac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showed a good linear relationship within the range of 0.927~0.983. The volume-weighted means of the pH and electric conductivity were 4.9 and 22.7 µS/cm, respectively. The ionic strength of precipitation was 0.27±0.38 mM, indicating about 35.9 % of total precipitation within the pure precipitation criteria. The volume-weighted mean concentrations (ìeq/L) of the ionic species in the precipitation were in the order of Na+ > Cl > nss-SO42− > NO3 > NH4+ > Mg2+ > H+ > nss-Ca2+ > PO43− > K+ > HCOO > CH3COO > NO2 > F > HCO3 > CH3SO3 . The acidification contributions by sulfuric and nitric acids were 54.5 % and 36.5 %, respectively. Meanwhile the acidification contributions by formic and acetic acids were 4.8 % and 4.2 %, respectively. Thus, it was found that the acidification of the precipitation in the Jeju area was mainly due to the inorganic acids. The neutralization factors by NH3 and CaCO3 were also 33 % and 20 %, respectively.

Current status and trends in estimated intakes and major food groups of vitamin E among Korean adults: Using the 1~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한국 성인의 비타민 E 섭취량 및 급원식품군의 현황 및 추이 : 제 1~6기 국민건강 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Ahn, Seoeun;Jun, Shinyoung;Kim, Seong-Ah;Ha, Kyungho;Joung, Hyojee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50 no.5
    • /
    • pp.483-493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rends in dietary vitamin E intakes and contributing food groups among Korean adult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66,695 subjects aged ${\geq}19years$ who completed a nutrition survey as part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8, 2001, 2005, 2007~2009, 2010~2012, 2013~2015). We estimated individual daily intakes of ${\alpha}-$, ${\beta}-$, ${\gamma}-$, ${\delta}-tocopherol$, and total vitamin E by linking food consumption data with a vitamin E database of commonly consumed foods. Results: Daily vitamin E intake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6.4mg\;{\alpha}-TE/d$ in 1998 to $7.7mg\;{\alpha}-TE/d$ in 2013~2015 (p for trend < 0.0001) among men as well as from $5.4mg\;{\alpha}-TE/d$ in 1998 to $6.5mg\;{\alpha}-TE/d$ in 2013~2015 among women (p for trend < 0.0001). However, the intake of vitamin E was lower than the adequate intake (AI) of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2015 KDRI). In 2013~2015, men consumed 6.5 mg/d of ${\alpha}-tocopherol$, 0.5 mg/d of ${\beta}-tocopherol$, 6.0 mg/d of ${\gamma}-tocopherol$, and 3.9 mg/d of ${\delta}-tocopherol$, whereas women consumed 5.7 mg/d of ${\alpha}-tocopherol$, 0.4 mg/d of ${\beta}-tocopherol$, 4.8 mg/d of ${\gamma}-tocopherol$, and 2.8 mg/d of ${\delta}-tocopherol$. The major food groups contributing to vitamin E intake were vegetables (men: 23.3%, women: 22.7%), grains (men: 14.5%, women: 13.9%), and eggs (men: 13.0%, women: 12.5%).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scientific evidence for vitamin E intake in Korean adults. Since the current intake of vitamin E was lower than the reference intakes set by 2015 KDRI, dietary vitamin E intake should be monitored regularly among Korean adults.

Variation of Yields and Growth-related Characteristics Shown by Different Ecotype of Rice Varieties in the Temperate and Tropical Zones II. Yields and Yield-related Characteristics Variation Shown by Varieties in Temperate and Tropical Zones (온대와 열대에서 생태형이 다른 수도품종의 수량 및 생육형질의 변이 II. 온대와 열대지방간에 품종별 수량 및 수량형질의 변이)

  • ;Eun-Woong Lee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1 no.4
    • /
    • pp.391-402
    • /
    • 1986
  • A total of 16 varieties from Korea and Indonesia were tested in Suwon, Korea (126$^{\circ}$9'E, 37$^{\circ}$16'N, 37m amsl) and Bali, Indonesia (115$^{\circ}$ 14'E, 8$^{\circ}$42' and 10m amsl). Most varieties of Indica and India/Japonica types showed adaptability to both areas. Generally Indica-type showed more number of panicles per hill than that of Indica/Japonica, while Indica/Japonica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spike let number per panicle and 1,000 grain weight than Indica-type varieties.

  • PDF

Recent changes in springtime discharge and nutrient fluxes to the vicinity of the Korean Peninsula (2012-2021) (봄철 한반도 연안으로 유입되는 하천 유량과 영양염류 유출량 변화량 (2012-2021))

  • Ye Na Kim;Jong Hun K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45-145
    • /
    • 2023
  • 육지의 영양염류는 강수를 통해 강을 따라 바다로 흐른다. 연안 수질과 생태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수계를 통해 연안으로 배출되는 육상 영양염류 유출의 변화를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제한적인 수량과 수질 동시 관측자료로 인해 한반도 연안으로 유입되는 영양염량 변화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내륙에서 주변 연안 지역으로 유출되는 영양염류의 유출량과 그 변화량을 추정 및 분석하고 유출량에 대한 수량과 수질 변화의 기여도를 정량적으로 조사하였다. 2012-2021년 봄철(3-5월)에 한반도 연안 주변의 75개의 하천 지점에서 측정된 수질 농도 및 유량 관측 데이터와 한반도 연안 375지점에서 측정된 해양 수질 농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더불어 22개의 해안지역 하천 유량 관측소와 근접한 수질 관측자료를 통해, 총 질소(TN), 총 인(TP), 클로로필a의 봄철 영양염류 유출 총량을 추정하고 그 변화량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영양염류 유출 변화량을 모델 수식으로 분해하여 유출 총량 변화량에 대한 하천 유량과 영양염류 농도 변화의 상대적인 기여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연간 봄철 TN, TP, 클로로필a 유출 총량의 변화율이 영양염류의 농도 (각각 19%, 48%, 5%)보다는 하천 유량 (각각 84%, 51%, 91%)에서 더 많은 영향을 받았음을 보여주었다. 한반도 연안을 서해, 남해, 동해로 나누어 영양염류 유출 총량을 분석한 결과, 한반도 전체 유출량에서 서해의 가장 큰 기여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한반도 내륙에서 유출된 영양염류 총량이 연안의 수질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내륙 하천과 연안의 수질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간접적으로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적인 접근을 통해 하천과 연안 수질 환경에서 수문학적인 연결고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영양염류 유출 변화가 해안에 서식하는 생태계와 양식산업 생산성에 미치는 잠재적인 영향을 강조하였다.

  • PDF

A Study of Skin Reflectance Using Kubelka-Munk Model (Kubelka-Munk 모델을 이용한 피부 분광반사율 연구)

  • Cho, A Ra;Kim, Su Ji;Lee, Jun Bae;Sim, Geon Young;Back, Min;Cho, Eun Seul;Jang, Ji Hui;Jang, Eunseon;Kim, Youn Joon;Yoo, Kweon Jong;Han, Jeong Woo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 /
    • v.42 no.1
    • /
    • pp.45-55
    • /
    • 2016
  • Light shows various optical behaviors such as reflection, absorption, and scattering on skin for individuals. In particular, reflection of light from the skin has been widely used as the brightness index of the skin of individuals through the measurement of the physical quantity of spectral reflectance. Therefore, the study of light behavior on skin would be useful for the preparation of new evaluation method in the development stage of make-up products. In this study, multi-dimensional analysis for spectral reflectance behavior of light on individual skin was performed using Kubelka-Munk model. Also, we analyzed the contribution of skin parameters such as skin thickness and hemoglobin, which could affect the spectral reflectance, using above model and literature information. Base on this, we calculated the theoretical reflectance of normal women for visual light, which showed good agreement with the measured reflectance. Our study of light propagation in skin based on Kubelka-Munk model provides useful insight for the development of personalized cosmetic in the near future.

Poverty Reduction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Social Security Benefits (사회보장급여의 빈곤완화 효과성 및 효율성)

  • Noh, Hye-J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6
    • /
    • pp.237-247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social security benefits to poverty alleviation.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poverty alleviation effect of public pension, basic pension, child-rearing allowance, disability allowance, basic living security subsidy, EITC, and other government subsidies using 2019 Household Financial Welfare Survey.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security benefits lowered the poverty rate by 6.8%p. Second, in terms of the poverty gap reduction effect, the public pension for the elderly male households, the basic pension for the elderly female householder, and the basic guarantee for the working female householder contributed the most. Finally, in terms of poverty alleviation efficiency, about 33% of social security benefits contribute to narrowing the poverty gap. Social security benefits for female heads of households were found to serve as a function of alleviating poverty gap and for male heads of households to supplement household incom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discovery of various poverty states, expansion of basic security for the female elderly,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purpose of social security benefits and key targ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