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술혁신시스템

Search Result 1,27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한국과 미국기업 경영혁신 작업의 핵심성공요인과 성공인식에 관한 비교 연구

  • 박문규;황현숙;김갑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1998.10a
    • /
    • pp.131-136
    • /
    • 1998
  • 경영혁신 작업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기술적인 측면과 전략적인 측면이 강조되어 왔고 혁신적인 업무처리 과정에 효율적으로 적응하기 위한 기업의 환경에 대해서는 종종 무 시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경영혁신 작업에 영향을 주고 있는 조직·관리적인 요인을 바탕 으로 기존 연구된 한국 및 미국의 핵심 성공요인을 비교 기술한다. 또한, 한국 및 미국기업 경영혁신 작업의 성과를 비교한다. 분석에 사용한 성과 요인들은 업무처리 시간의 단축, 업 무처리 비용의 감소, 직원들이 기술력이나 업무처리 능력의 향상, 양질의 생산처리, 직원들 삶의 질 향상, 고객 만족도 향상 및 요구변화에 대한 적응력 등이다. T-test를 이용하여 분 석한 결과, 모든 작업성과에 대해 미국기업이 한국 기업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기업의 경영혁신 과정은 불필요한 업무들을 과감히 폐기한 후 창의적인 업무처리 과정 의 재설계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Linkage between Business Strategy and Technology Strategy of Korean IT Industry (국내 정보통신업체의 경영전략과 기술전략의 연계성에 관한 실증분석)

  • Song Gi-Uk;Lee Deok-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359-364
    • /
    • 2006
  • 기업의 기술혁신체제는 크게 기술전략의 수립 및 실행과정과 연구개발시스템의 설계 및 관리 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기업이 기술 혁신체제를 확보한다는 것은 곧 변화하는 시장에서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논문은 국내 정보통신업체의 기술혁신체제실태 조사결과를 이용하여, 경영전략과 기술전략과의 연계체제에 관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Exploring Technology Opportunities through Technology Intelligence: Types, the Present and an Integrated Framework (기술 인텔리전스를 활용한 기술기회탐색: 유형화, 현황, 통합체계개발을 중심으로)

  • Yoon, Byungun;Park, Inchae;Lee, Ho-Shin;Coh, Byoung-Youl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4 no.spc
    • /
    • pp.1073-1095
    • /
    • 2011
  • Recently, technology intelligence (TI) activities that support technological and/or market innovation have been important for many organizations to develop their competitiveness in trend of strengthening innovation-led economy. It is required to thorough understanding of TI-related activities and investigating methodology that can support these activities to facilitate technology opportunity exploration activities and increase the possibility of innovation. Thus, this research aims at first, investigating the taxonomy of objectives, information and methodology for technology opportunity development (TOD) through literature survey, second, deriving the TOD needs and current status analysis by conducting interview with various domestic firms, and finally, proposing an integrated framework of TI by synthesizing the results of the aforementioned investig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can suggest the strategic and political implications on TOD activities and moreover, propose a theoretical foundation to develop a supporting system for TI.

  • PDF

특집:자연모사 그린테크놀로지 - 자연모사 지속가능 혁신 기술

  • Kim, Wan-Du;Im, Hyeon-Ui;Kim, Seong-Deok
    • 기계와재료
    • /
    • v.23 no.4
    • /
    • pp.6-15
    • /
    • 2011
  • 자연은 인간이 만들어낸 기술적 해결책들보다 현저히 적은 양의 에너지를 소비하며, 적은 물질로 다양한 구조를 창출해 내는 고효율 최적화 시스템이며, 스스로 정화작용과 선순환을 유지하는 환경 친화적 시스템이다. 이러한 자연에서 영감을 얻어 활용하고 응용하는 기술은 최근 나노-바이오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새롭게 각광받는 융합기술 분야로 부각되고 있다. 나노스케일의 생체물질을 관찰하고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고성능의 장비가 개발되고, 생체 물질을 분자 단위로 조합하고 합성하는 등의 첨단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자연모사기술도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고 있다. 자연 생명체/생태계가 지닌 혁신적인 해결 가능성(Innovation Potentials)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자연모사기술 분야에 좀 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기울여야 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인류가 당면한 에너지 자원 기후변화 환경 문제 등의 글로벌 이슈를 극복하고 선순환의 개념의 자연모사 에코 기술과 지속가능한 혁신 기술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Policies and Strategy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Korea (우리나라 기술혁신의 전략과 정책에 관한 연구)

  • Kim, Yong Hwan;Lim, Hee-Jung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Industrial Cluster
    • /
    • v.1 no.1
    • /
    • pp.47-66
    • /
    • 2007
  • The progress of digital revolution leads to technology and industry infusion which make new products and new commodity markets in the existing industries. Under the circumstance of new innovation patterns in industries and globalization of the world, innovation firms adapt different evolution processes for different business situations. Technological innovation enhances the competitiveness of fins in the business world. This paper shows the researches on technological innovation which make constant economy growth in the knowledge based economy. And this paper also suggests the policy on technological innovation for the future growth of society. Main focu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theoretical survey on technological innovation is reviewed. Second, the program and the supporting system for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e USA and Europe are investigated. Third, the situation and problems of Korea is analysed. Fourth, strategy and suggestions o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e 21st century knowledge based economy is suggested through the window of cluster and regional economy development.

  • PDF

The Affecting Factos on the Adoption of Object-Oriented Computing : The Case of Programming Experience and Personal Innovativeness (객체지향 컴퓨팅 채택에 미치는 영향요인 : 프로그래밍 경험과 개인혁신성의 경우)

  • Kim, Injai
    • Th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v.10 no.1
    • /
    • pp.243-255
    • /
    • 2001
  • 소프트웨어 기술의 생명주기가 점점 짧아지고 복잡해짐에 따라 그 기술을 이해하기가 힘들어 진다. 객체지향 기술채택을 더욱 잘 이해하는 것이 이 논문의 연구동기이다. 객체지향 기술이 전통적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기술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이기 때문에 프로세스 중심의 구조지향 기술과 같은 기존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의 경험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전의 구조지향 기술의 경험과 기술변화에 대한 개인적인 인식이 미국 기업체에서 객체지향 기술채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제로 조사하는데 있다. 2 X 2 유사 실험계획법이 사용되었다. 구조지향 방법을 사용한 경험과 새로운 기술에 대한 개인적 혁신정도(Personal Innovativeness)가 독립변수로, 객체지향 방법에 대한 사용편이성(Ease of Use)과 유용성(Usefulness)이 종속변수로 선정되었다. 데이터는 구조지향 방법과 객체지향 방법을 모두 사용한 경험이 있는 자료처리 및 관리협회(DPMA: Data Processing and Management Association)에 소속된 정보 시스템 전문가로부터 수집되었다. 연구결과는 구조지향 방법을 사용한 경험은 객체지향 방법의 사용편이성과 유용성에 영향을 주지만 개인적 혁신성은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의 구조지향 방법을 많이 사용하면 할수록 객체지향 방법의 사용편이성 값이 낮게 나타나기 때문에 이전 문헌에서 제시된 구조지향 방법의 객체지향 방법에 대한 지식간섭(Knowledge Interference) 현상이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 마지막에는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에서 지식간섭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Environment, Drivers and Dynamics of Socio-technical System Transition and STI Policy for the Transition Management

  • Park, Sang-Ook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11 no.1
    • /
    • pp.61-88
    • /
    • 2011
  • This paper presents theoretical discussions on socio-techical system transition, by shedding light on the STS context. With a rising attention paid by STI policy researchers, the socio-technical system perspective seems particularly promising in applying to the pursuit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The normative strand in STI policy research has been strongly influenced by the STS tradition that emphasizes active and participatory roles not only of academian but also of science and technology. Throughout reviewing the development of the socio-technical system perspective, its theoretical components of environment, drivers and dynamics are discussed, often being linked to older perspectives. STI policy involves in socio-technical transition in a manner of transition management and governance, which is the final part of this paper.

  • PDF

ERP 시스템 주성공요인에 따른 도입특성에 대한 연구

  • 김희철;이대용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1999.12a
    • /
    • pp.345-353
    • /
    • 1999
  • Mega-Competition으로 심화된 경영환경은 기업에 압박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기업은 경영환경변화에 대응하여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BPR을 추진하게 되었다. 그러나 정보기술을 이용해 기업구조를 혁신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은 정보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조직 변화로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었고, 이의 해결책으로 전사적 입장에서 정보기술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ERP시스템이 출현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기업혁신의 추진도구로서 각광받고 있는 ERP 시스템의 기본개념을 정립하고 주성공요인을 식별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 PDF

Sectoral Innovation Studi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Its Implications (한국 산업혁신연구의 현황과 과제)

  • Choung, Jae-Yong;Hwang, Hye-Ran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5 no.3
    • /
    • pp.115-154
    • /
    • 2017
  • This article offers a review of the major literature about sectoral innovation studies of Korea and its implications over the past 30 years. The literature on the sectoral innovation studies in Korea has focused on analysing successful technological catch-up from an evolutionary perspective and most of research has centered on the issues about entry strategies, learning mechanisms. Recently "Emerging economies" like Korea in the 2000s face major challenges as they make a transition from (a) a phase of economic development characterised by 'catching up' with the global technological frontier, involving technological "imitation", to (b) a phase of continuing development based on the development of new knowledge for globally leading (post catch-up) product and process innovation. This paper reviews those bodies of literature of patterns of sectoral innovation, technological capability accumulation and catch-up process, catch-up innovation and institutions, and patterns of growth dynamics. Finally, given the importance of sectoral innovation studies, we suggest that industrial upgrading, transition towards leadership, dark side of catch-up issues are needed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A Comparison of Technological Systems for Industrial Robots in Korea and Sweden

  • Sung, Tae-Kyung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7 no.2
    • /
    • pp.223-255
    • /
    • 2004
  • 이 논문은 Carlsson and Stanklewicz(1991)가 창안한 기술시스템(technological systems)의 개념을 한국과 스웨덴의 산업용로봇에 적용하여, 양자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기술시스템의 개념을 재구축하고, 동태적인 측면에서 시스템의 진화과정을 보강한 다음, 한국과 스웨덴의 산업용로봇에 대한 기존 연구를 활용하여 양 기술시스템의 중요한 특징들을 비교하고 그 성과를 측정하였다. 한국과 스웨덴에 있어서 산업용로봇 기술시스템의 진화과정은 공히 미국, 일본 등 기술선도국을 모방하는 입장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학습기간'이 20여 년 이상 소요됨을 보여주었다. 뿐만 아니라 양 시스템의 진화과정. 특히 태동기(embryo stage)에 있어서 정부의 역할이 매우 컸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기술시스템의 구성요소인 산업네트워크, 기술하부구조, 그리고 제도적하부구조 면에서 강약점 및 특징의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기술시스템의 동태적 성과면에서는 한국의 경우가 스웨덴의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더 우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는 스웨덴 시스템에서는 초기에 우위를 누렸던 기계, 전기, 그리고 메카트로닉스 기술의 우위와 사용자 능력이 점차 약화되어온 반면에 한국의 시스템은 기술하부구조 등이 취약하였지만 해외시스템과의 연계, 재벌 내에서의 기업간 연계, 산학연 협동, 그리고 지역내 연계 등 시스템내의 연계성이 기술적으로 취약한 부분을 보전해 주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어느 한 기술시스템이 자생적으로 생명력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시스템 구성요소의 개별적 형성 및 발전보다는 구성요소간 그리고 시스템내의 다양한 활동주체들의 상호작용과 연계성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