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비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23초

백하수오(白何首烏) 파종기(播種期)가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eeding Date on the Growth and Yield of Cynanchum wilfordii Hemsley)

  • 최인식;손석룡;조진태;박재성;한동호;정인명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14-118
    • /
    • 1996
  • 중부(中部) 내륙지방(內陸地方)에서 백하수오(白何首烏)의 파종적기(播種適期)를 구명(究明)하고자 충북지방재래종(忠北地方在來種)을 공시(供試)하여 10a당(當) 퇴비(堆肥) 1,000kg, N - P - K=8 - 4 - 4kg을 전량(全量) 기비(基肥)로 시용(施用)하고 파종기(播種期)는 3월(月) 20일(日)부터 10일(日) 간격으로 4월(月) 30일(日)까지 5회(回)에 걸쳐 파종(播種)하여 시험(試驗)을 하였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아(出芽)는 3월(月) 20일(日) 파종시(播種時) 5월(月) 16일(日)로 57일(日)이 소요(所要)되었으나 4월(月) 30일(日) 파종(播種)은 6월(月) 35일(日) 소요(所要)되어 파종(播種)이 늦어질수록 출아(出芽) 일수(日數)가 단축(短縮)되었다. 2. 만장(蔓長)은 3월(月) 20일(日) 파종(播種) 236cm에 비(比)하여 3월(月) 30일(日) 파종(播種)은 5cm 길었으나 엽수(葉數)는 3월(月) 20일(日)의 79매(枚)보다 파종(播種)이 늦어질수록 $5{\sim}16$매(枚)가 적었다. 3. 근장(根長)은 3월(月) 20일(日)은 파종(播種) 21. 8cm보다 3월(月) 30일(日) 파종(播種)은 1. 8cm, 4월(月) 10일(日) 파종(播種)은 1. 4cm, 4월(月) 20일(日)은 0. 9cm가 각각(各各) 길었으나 분근수(分根數)는 파종기간(播種期間)에 큰 차이가 없었다. 4. 제형질간(諸形質間)의 상관(相關)은 출아기(出芽期)와 출아소요일수(出芽所要日數)(r=0.99), 만장(蔓長)(r=0.99), 엽수(葉數)(r=0.96), 출현소요일수(出現所要日數)와 엽수(葉數)(r=0.95), 근장(根長)과 분근수(分根數)(r=0.96), 절수(節數)와 근중(根重)(r=0.89) 등(等)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인정되었다. 5. 10a당(當) 근중(根重)은 3월(月) 20일(日) 파종(播種) 207kg/10a에 비하여 3월(月) 30일(日) 파종(播種)은 18%, 4월(月) 10일(日), 4월(月) 20일(日) 파종(播種)은 10%가 각각(各各) 증수(增收)되었고 4월(月) 30일(日) 파종(播種)은 14%가 감수(減收)되어 중부(中部) 내륙(內陸) 평야지(平野地)에서 백하수오(白何首烏)의 파종적기(播種適期)는 4월(月) 상순(上旬)이 유리(有利)하였다.

  • PDF

질소 시비량, 분시방법 및 유수 형성기의 차광처리에 따른 벼의 영화수 변이 (Variation in Spikelet Number under Different Nitrogen Levels and Shading Treatments during Panicle Formation Stage of Rice)

  • 이변우;박동하;최일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479-485
    • /
    • 2002
  • 일반계인 추청벼, 화성벼와 통일계인 남풍벼를 공시하여 질소시비량(6, 12, 18, 24, 30kg/10a), 분시방법(기비-분얼비-수비; 50-25-25%, 30-30-40%) 및 생식생장기의 차광처리 (유수분화 후 15일, 30일 및 출수전 30일간)가 단위면적당 영화수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위면적당 수수는 질소시비량 24kg/10a까지 시비량의 증가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였고 분시방법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생식생장기의 차광처리에 의해 추청벼에서만 수수의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는데, 생식생장기 30일간의 차광처리에서 수수의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2. 수당 1차지경수는 질소시비량 18kg/10a까지 시비량의 증가에 따라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증가폭은 크지 않았으며, 분시방법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단위면적당 1차지경수는 질소시비량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이는 수당 1차지경 증가보다는 단위면적당 수수의 증가가 주원인이었다. 차광에 따라서는 추청벼에서만 단위면적당 1차지경수의 유의한 감소가 있었으며, 이는 수당 1차지경수의 감소에 의한 것이 아니라 단위면적당 수수의 감소에 의한 것이었다. 3. 수당 2차지경 분화수는 질소 12-18kg/10a까지는 시비량의 증가에 따라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2차지경 퇴화수는 분화수가 많아짐에 따라 증가하여 수당 2차지경수는 질소 시비량에 따른 차이는 작았다 생식생장기의 차광처리에 의해 수당 2차지경분화수에는 차이가 없는 반면, 퇴화 2차지경수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 단위면적당 2차지경수는 질소시비량이 18kg/10a까지 증가함에 따라 많아졌으나 분시방법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차광처리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4. 단위면적당 영화수는 18-24 kg/10a까지는 질소시비량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에서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았고, 분시방법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생식생장기 차광에 의해 단위면적당 영화수가 감소되었는데, 유수분화기후 30일간의 차광처리에서 가장 컸고, 수잉기 15일 차광처리에서 감소정도가 가장 적었다. 5. 단위면적당 영화수의 변이에는 영화수 구성요소중 단위면적당 수수와 2차지경상의 영화수의 변이가 기여하는 정도가 가장 컸으며, 1차지경의 기여도가 가장 적었다.

소규모 경작지에서 질소 변량시비가 벼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Site-specific N Application on Rice Grain Yield and Quality in Small Size Paddy Field)

  • 최민규;최원영;박홍규;남정권;백남현;이준희;김상수;김정곤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369-378
    • /
    • 2006
  • 논에 있어서 정밀농업시 변량시비가 벼 생육에 미치는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토양 및 생육정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험전 토양의 변이계수는 EC, 유기물, 전질소, 유효인산 및 칼리는 $11.63{\sim}52.03%$로 10% 이상의 큰 변이를 보였으나 pH는 각각 $1.96{\sim}4.9%$로 적었다. 2. 생육중의 경수는 10%이상의 변이를 보였으나 초장, 엽색 및 쌀수량, 현미중 단백질은 10%이하의 변이를 보였다. 변량시비에 의하여 변이계수가 쌀수량은 8.06%에서 5.22% 및 5.81%로, 현미중 단백질 함량은 4.06%에서 3.40%로 낮아졌다. 3. 공간구조의 강약을 보여주는 Q값은 시험전 토양의 pH, 전질소함량, 유효인산 및 칼리함량은 0.60이상으로 공간의존성이 강하였으며, 엽색, 초장, 쌀수량 및 현미중 단백질함량 등도 0.50이상으로 공간의존성이 강하였으나 유수 형성기 경수는 0.22로 공간 의존성이 약했다. 4. 공간거리를 나타내는 공간의존 거리는 현미중 단백질 함량을 제외하고는 20 m 이상의 공간의존성이 있었다. 5. 시험전 토양의 pH, $SiO_{2}$ 및 초장, 엽색은 기비와 정의 상관을 보였으나 O.M.은 부의상관을 보였다. 수비는 시험 전 토양중 EC, O.M. 및 토양 고저차와는 정의 상관을 보였으나 초장, 경수 및 엽색과는 부의상관을 보였다. 현미중 단백질 함량은 토양중 $SiO_{2}$ 및 엽색, 수량과는 정의 상관을 보였으나 토양중 O.M.과는 부의상관을 보였으며 쌀수량은 초장, 경수 및 엽색과는 정의상관을 토양중 PH와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돈분액비 시용수준이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생육특성, 수량 및 용탈수 중 $NO_3-N$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pplication Level of Swine Slurry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Sorghum$\times$Sudangrass Hybrid and $NO_3-N$ Content in Infiltration Water)

  • 임영철;윤세형;김종근;김원호;최기준;서성;육완방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5-40
    • /
    • 2006
  • 본 시험은 2000년부터 2002년까지 3년간 수행한 결과로 돈분액비 연용시 수수$\times$수단 그라스의 생육, 수량 및 사료가치와 토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축산연구소 조사료자원과 포장에서 무비구, 화학비료(대조구), 돈분액비 100%, 150%, 200%, 돈분액비 100%+화학비료 50%로 처리하여 난괴법 3반복으로 실시하였다. 돈분액비는 전량 기비로 시용하였으며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생육특성은 화학비료구와 액비시용구간에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초기생육은 돈분액비 시용구에서 다소 좋았고, 특히 재생력에서는 추비를 시용한 화학비료구(대조구)와 돈분액비 100%+화학비료 50% 추비구가 우수하였다. 당도는 액비를 시용하므로 다소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건물수량은 화학비료구에 비하여 돈분액비 100, 150% 시용구에서 각각 15, 6% 감소한 반면 돈분액비 200% 시용구에서는 대등하여 다비 조건에서 증수되는 경향이었다. 또한 조단백질 및 ADF, NDF, 건물소화율은 큰 차이가 없어 돈분액비를 시용하여도 사료 가치의 질적인 저하는 없었다. 돈분액비를 시용하고 침투수중 $NO_3-N$ 함량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화학비료에 비하여 돈분액비 150% 수준까지는 대등하였으나 그 이상 시용에서는 용탈수에 $NO_3-N$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조사 시기 간에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 PDF

경운방법과 가축분뇨 시용이 옥수수의 생산성 및 질소의 용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illage System and Livestock Manures on the Silage corn Production and NO3-N Concentration in Leaching Water)

  • 정민웅;조남철;김종근;임영철;최기춘;윤세형;이기원;육완방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11-216
    • /
    • 2009
  • 본 연구는 옥수수 재배지에서 경운방법과 가축분뇨의 시용이 사료용 옥수수의 생산성 및 질소의 용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 시험포장(천안)에서 lysimeter를 이용하여 2008년 4월부터 8월까지 실시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분할구배치법으로 경운방법(경운과 무경운)을 주구로 하였으며, 가축분뇨의 종류(화학비료, 우분퇴비 및 돈분퇴비)를 세구로 하였다. 가축분뇨의 시용은 화학비료구는 표준시용량(N-$P_2O_5-K_2O$)으로 200, 150 및 150kg/ha을 시용하였으며, 우분퇴비와 돈분퇴비의 경우 화학비료구의 질소대비 100%를 전량 기비로 시비하였다. 경운방법에 따른 옥수수의 건물생산성과 뿌리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 경운 처리구에서 무경운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가축분뇨 시용에 따른 옥수수의 건물생산성은 화학비료 > 우분퇴비 > 돈분퇴비 순으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p<0.05), 뿌리 무게는 화학비료구와 우분퇴비구에서 돈분퇴비구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가축분뇨 시용에 따른 경직경, 당도는 화학비료구와 우분퇴비구에서 돈분퇴비구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옥수수의 생산성과 생육특성에 있어 경운방법과 가축분뇨 시용에 따른 유의적인 교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경운방법에 따른 평균 $NO_3$-N의 용탈은 경운 처리구에서 무경운 처리구보다 약간 높았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하지만 가축분뇨 시용에 따른 $NO_3$-N의 용탈은 화학비료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본 시험의 결과 사료작물을 재배에서 경운방법이 옥수수의 생산성 및 $NO_3$-N 용탈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으며, 화학비료의 질소 대비 100%의 가축분뇨를 시비하였을 경우 용탈되는 $NO_3$-N의 농도가 높지 않아 수질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였다.

금강유역 농업지대의 토양 및 수질오염 (Effects of Farming on Soil Contamination and Water Quality in Keum River Districts)

  • 한강완;조재영;김성조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9-24
    • /
    • 1997
  • 금강수계 상류 및 남대천 수계, 금강호유역 중에서 비교적 농업 활동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수도작지역과 복합영농지역의 토양 및 수질의 오염실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금강수계 토양의 pH는 비교적 산간지대로서 전형적인 농업지대인 상류와 남대천 수계의 경우 약 $5.56{\sim}7.09$ 수준이었으며, 대전공업단지와 농공단지가 주변에 산재해 있는 금강호 유역의 경우 $5.07{\sim}7.21$ 정도의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다. 2. 호소에서 부영양화를 유발하는 영양염류 중 대표적인 전질소는 상류와 하류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질소질비료 시비시기와 부분적으로 배출되는 축산폐수의 영향을 받았으며, 전인산의 함량도 비슷한 경향이었다. 3. 금강수계 수질의 pH는 $6.59{\sim}7.80$으로 양호한 상태였으며, EC의 경우도 상류 및 남대천 유역의 경우 오염 물질의 유입이 적은 관계로 $15{\mu}S/cm$이하를 유지하고 있었으나, 대전공업단지와 부여${\cdot}$공주지역의 농공단지를 거쳐 하류로 유입되는 지점에서 $50{\mu}S/cm$이상을 유지하는 곳도 있었다. 4. 금강상류 및 남대천 수계의 수질 중 COD는 1.0mg/l이하로 상수원수 1급수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반면 금강호 유역에서는 큰 도시나 농공단지 등에서 배출되는 산업폐수와 생활하수의 유입으로 인하여 부분적으로 약간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대부분 2.0mg/l이하로 상수원수 2급수 수준을 나타내고 있었다. 5. 금강수계 상류와 금강호 유역 수질 중 질소원 함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분얼비와 기비를 시비한 시기에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것으로 보아 질소질비료의 시비시기에 따른 강우에 의한 토양 유출수 중 영양염류의 집중관리가 수계로 유입되는 영양염류의 농도를 감소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6. 금강상류와 금강호 유역 수질 중 인산원의 농도는 전반적으로 0.50mg/l이하였으나, 금강호 유역은 대도시의 형성에 따른 가정하수와 농공단지에서 배출되는 산업폐수가 부분적으로 유입되는 일부 지점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7. 금강수계 상류와 금강호 유역의 토양과 수질 중 중금속함량은 불검출에서 자연함유량 수준으로 아직까지 오염의 우려는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혼합상토 조성과 관수 또는 관비시 배액률이 토마토 접목묘 생장에 미치는 영향 (Performance of Seedling Grafts of Tomato as Influenced by Root Medium Formulations and Leaching Fractions in Irrigation or Fertigation)

  • 최종명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35-243
    • /
    • 2014
  • 관비 또는 관수시 배액률(LF)과 시비농도가 토마토 접목묘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묘 생장 및 근권부 화학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피트모스+버미큘라이트(5:5, v/v, PV) 그리고 코이어 더스트+버미큘라이트(5:5, v/v, CV)를 혼합한 두 종류 상토를 조제하는 과정에서 기비를 혼합하였으며, 비료 혼합 후 50셀(셀 용량 33cc)과 105셀(셀 용량 18cc)에 충전하였다. 충전 후 대목인 'J3B Strong'은 50셀, 접수인 'Sunmyung'을 105셀 트레이에 파종한 후 재배하였다. 파종 31일 후 대목과 접수를 절단하고 단근삽접한 후 접목묘('Sunmyung' scion/'J3B Strong' rootstock)는 두 종류 상토가 충전된 50셀 플러그 트레이에 정식하였다. 접목 후 플러그 트레이를 광도를 조절한 플라스틱 터널 내부에 7일간 위치시켜 접목 부위의 활착과 새로운 부정근 형성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N 기준 0, 50, 100 그리고 $200mg{\cdot}L^{-1}$로 농도를 조절한 비료 용액을 매주 1회 관비하였다. 파종 31일 후 대목의 생장을 조사한 결과 두 종류 상토 모두 LF를 0.75로 조절한 처리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유묘당 지상부 생체중이 PV는 8.96g 그리고 CV는 7.11g으로 조사되었고, 이들 처리의 전기전도도는 각각 0.93 and $1.09dS{\cdot}m^{-1}$로 측정되었다. 파종 31일 후 조사한 접수의 평균 생체중은 PV와 CV 혼합상토의 0.50 LF 처리에서 각각 4.29g과 3.13g으로 조사되어 가장 무거웠고, 이들 두 처리의 EC는 각각 0.76과 $1.34dS{\cdot}m^{-1}$로 측정되었다. 접목 31일 후 추비농도에 영향을 받은 접목묘의 생체중은 두 종류 상토 모두 $100mg{\cdot}L^{-1}$의 시비구에서 가장 무거웠다. 생체중이 가장 무거웠던 처리의 EC는 PV 및 CV 상토가 각각 0.98과 $1.93dS{\cdot}m^{-1}$였으며 접목묘 생장을 위한 적절한 EC 범위는 CV 상토가 PV 상토 보다 높음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는 접목묘 생장을 위한 적절한 EC범위가 상토에 따라 다르므로 소질이 우수한 접목묘를 생산하기 위하여 배액률도 상토별로 다르게 조절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대맥(大麥)에 대(對)한 맥기비용(麥基肥用) 신개발(新開發) 복합비료(複合肥料)의 비효에 관(關)한 연구(硏究) (Sudies on the Effect of a New Compound Fertilizer for Application for Barely)

  • 김광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1-36
    • /
    • 1978
  • 용성연비(熔成憐肥)를 함유(含有)하는 입상(粒狀) 신복합비료(新複合肥料)의 보리 기비(基肥)로서의 효과(效果)를 시판(市販) 비종(肥種)들과 비교(比較)하기 위하여 토양중(土壤中) 유효인산(有效燐酸) 함량(含量)이 약(約)50ppm인 식양토(埴壤土) 포장(圃場)에 보리를 공시(供試)하여 1976년(年) 11월(月)부터 1977년(年) 6월(月)까지 실시(實施)한 시험(試驗)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혹한(酷寒)으로 인(因)하여 전국(全國) 공(共)히 심(甚)한 한해(寒害)를 입었으나 처리간(處理間) 생육상(生育狀)과 수량(收量)의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됐다. 2. 초장(草長)과 식물체(植物體) 건물중(乾物重)의 경시적(經時的) 변동양상(變動樣相)으로 볼 때 함용성연비(含熔成憐肥) 신복합비료(新複合肥料)는 초기(初期) 생육(生育)보다는 후기(後期) 생육(生育)을 양호(良好)하게 하는 효과(效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수량(收量)과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로 볼 때에도 위의 추리(推理)를 확인(確認)할 수 있었다. 즉(卽) 함용성연비(含熔成憐肥) 신복비구(新複肥區)의 수량(收量)은 중과석구(重過石區)나 용연구(熔憐區)보다 높았으며 이삭당 알수와 등숙률(登熟率)이 높은 것이 증수(增收)의 원인(原因)으로 나타났다. 4. 식물체(植物體) 분석(分析)을 통(通)한 인산(燐酸) 흡수량(吸收量)으로 볼 때 함용연(含熔憐) 신복비(新複肥)는 후기인산(後期燐酸) 공급(供給)을 원활(圓滑)케 한 것 같다. 그러나 본시험(本試驗) 조건하(條件下)에서는 이 비료(肥料)에 함유(含有)된 고토(苦土)나 규산(珪酸)은 별다른 효과(效果)를 나타내지 않았다. 5. 본(本) 시험성적(試驗成績)은 비정상적(非正常的)으로 혹한(酷寒)이란 조건하(條件下)에서 얻어진 것이며 신비료(新肥料)의 토양중(土壤中)에서의 화학적(化學的) 행동(行動)에 관(關)한 연구결과(硏究結果)가 없으므로 본(本) 시험결과(試驗結果)에서 얻어진 신비료(新肥料)의 우수성(優秀性)은 확정적(確定的)인 것으로 보기는 현재(現在)로서는 어렵다.

  • PDF

신개간 및 기경작 초지토양간 목초의 생산성과 무기양분 함량 비교 III. 인산 사용에 따른 토양특성, 목초의 초기 생육, 수량 및 무기양분 함량 변화 (Comparisons of the Forage Productivity and Mineral Contents between the Newly Reclaimed and Arable Hilly Soils III. Changes in the soil properties, seedling vigour, yield, and mineral contents of forage by phosphorus application)

  • 정연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3-22
    • /
    • 2003
  • 동일한 토양종류(토양명: 송정통)에서 서로 인접한 신개간 및 기변작 초지토괴간 비파저 특성의 차이와 시비처리별 orchardgrass 목초의 초기생육상, 수양과 부기양분 함량의 차이를 비교 . 검토하고자 기초시험으로 pot 시험을 수행하였다. 금지토양의 비담도 개량과 크게 연관된 자비(I보), 석회(II보) 및 인산(III보)의 시용 효과를 단계별로 검토하였다. 본 III보에서는 질소, 가리 및 고토를 동일하게 기본시비를 한 조건에서 1) 인산 무비구($P_{0}$; control), 2) 인산 보비구($P_1$; 1.25g), 3) 인산 배비구($P_2$; 2,50g), 4) 인산 다비구($P_3$; 3.75g $P_2$$O_{5}$ pot)를 처리 내용으로 한 두 토양간 인산의 비효를 비교.검토하였다. 1. 시험전 신개간 및 기경작 초지토양간 토양의 화학성(비담도)에 큰 차이를 보였다. 초지토양 비담도 등금기준(불량-보통-양호)에 기준 한 각 화학성을 대비하여 보면 일반적으로 신개간 토양은 불량~보통, 기경작 초지토괴은 보통~양호 수준을 보였다. 2. 기경작 토양보다는 신개간 토양에서 인산시비량 증가에 따른 뮤효인산의 함량 증가가 뚜렷하였고, 이 특성은 기비와 병행 시비를 한경우 더 긍정적이였고, 석회와 병행 시비를 한경우는 오히려 부정적인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기경작 토양에서논 신개간 토양에 비해서 인산 시비량 증가에 따른 유효인산 함량 증가폭이 경미하였고, 석광의 부정적 효과는 더 경감되었다. 3. 신개간 토양에서 연초의 초기생육상과 수양성은 기경작 토양의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더 불량하였고, 특히 인산 무비구($P_{0}$ )에서는 목차의 정착과 수양성이 매우 불량하였다. 이는 인산 시비로 개선되었으나 시비된 수준간 차이는 경미하였다. 신개간 토양에서 철비와 병행 시비를 한 경우 이들 특성이 더 양호하였으며, 인산 무비구(P$_{0}$)의 불량한 초기생육상과 수양성은 크게 개선되었다. 반면에 기경작 토양에서는 인산 무비구($P_{0}$ /)에서도 이들 특성들이 양호하였으며 인산 시비수준간 차이는 경미하였다. 4. 기경작 토양은 신개간 토양보다 목초 중 무기양분 Ca, Mg 및 P 함량이 상대적으로 양호하였다. 그러나 K 함량은 두 토양간 비슷한 함량을 보였다. 획비와 병행 시용 한 경우 신개간 토양에서만 목초 중 Mg과 P 함량이 다소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다.

미량원소복합제가 혼합된 각종 상토에서 고토석회의 시비수준이 매리골드 플러그 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olomite Levels in Various Root Media Containing Micronutrient Mixes on Growth of Marigold Plug Seedlings)

  • 최종명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17-224
    • /
    • 2006
  • 세 종류의 입상형 미량원소복합제(MF1, MF2, 및 MF3)를 조제하여 세 종류 상토에 혼합할 경우 고토석회의 시비수준이 매리골드 'Orange Boy' 플러그 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피트모스+부숙수피(1:1, v/v) 혼합 상토에 MF 1을 기비로 혼합한 경우 고토석회 무처리구에서 생육이 가장 우수하였고, 고토석회의 혼합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생육이 저조하였다. MF 2를 혼합한 경우에는 $3.0g{\cdot}L^{-1}$ 처리에서 건물중이 식물체 0.133g으로 가장 무거웠으나 생체중은 $6.0g{\cdot}L^{-1}$ 처리에서 0.686g으로 가장 무거웠다. MF 3를 혼합한 처리와 대조구에서는 각각 $3.0g{\cdot}L^{-1}$$6.0g{\cdot}L^{-1}$ 처리에서 생체중 및 건물중이 무거워 생육이 우수한 고토석회 시비량이 달랐다. 피트모스+부숙왕겨(1:1, v/v) 혼합상토에 미량원소복합제를 혼합한 경우, 고토석회의 혼합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생육이 저조하였데 그 정도는 MF 3이 혼합된 경우 가장 뚜렷하였다. 피트모스+부숙통밥(1:1, v/v) 혼합상토에 MF 1과 MF 3을 혼합한 경우 고토석회 3.0과 $6.0g{\cdot}L^{-1}$ 처리에서 생육이 우수하였으나, MF 2와 대조구에서는 고토석회의 시비량이 높아질 경우 생육이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에서 상토의 종류나 미량원소복합제에 따라 최대생육을 보인 고토석회의 처리량이 달랐으며, 작물재배시 이를 반영하여야 최대생육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