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반암 분포

Search Result 271,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전라남도 남악 일원에 분포하는 조간대 퇴적층의 전기비저항 연구

  • 김성욱;이현재;최은경;안윤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1.09a
    • /
    • pp.212-215
    • /
    • 2001
  • 남악지역에 분포하는 조간대 퇴적층의 층서구조와 퇴적심도 및 기반암의 단열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전기비저항탐사를 실시하였다. 조간대 퇴적물에서 비저항은 하부로 갈수록 증가하며 대부분 3.0 Ohm-m이하의 비저항으로 고비저항의 기반암의 기반암과 뚜렷한 경계를 보여준다. 퇴적층의 층후는 퇴적지 중앙부에서 30m를 최대로 북쪽 (고해안선)과 남쪽 (영산강)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는데 선행 조사된 시추결과와 일치한다. 일부 지역의 전기비저항 해석단면과 시추단면에서 견고한 점토질 (stiff)의 지층이 분포하는데 이 지층은 북서-남동 방향의 고해안선과 나란하게 분포한다. 이것은 퇴적물을 공급한 흐름의 방향과 조간대의 확장방향이 북서-남동 방향임을 지시한다. 기반암의 단열구조로 판단되는 저비저항대는 조사지역의 동부에 집중되어 있으며 단열대의 연장방향은 북서-남동 방향이 우세하다.

  • PDF

괴산-보은일대 옥천대 분포지역의 지하수 수질 특성 연구

  • 신우식;이병선;문상기;정성욱;김연태;우남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4a
    • /
    • pp.246-249
    • /
    • 2003
  • 충북 괴산군-보은군 일대를 따라 발달된 중부 옥천대의 구룡산층과 운교리층 분포지역에서, 기반암에 따른 지하수의 수질특성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2002년 11월에 18개 지점에서 지하수 시료를 채취하였고, 이를 분석하여 기반암에 따른 지하수의 수질을 분류하였다. 구룡산층 시료와 운교리층 시료 모두 Ca-(HCO$_3$+ CO$_3$) 유형의 수질특성을 보였다. 군집분석의 결과 기반암의 종류에 따라 수질특성이 나됨을 알 수 있었다. 수질 분석결과를 국내 먹는물 수질기준와 비교 하였을때, 질산성 질소 항목만 기준치를 초과하였다. 질산성 질소의 경우, 국내 먹는물 수질기준인 10 mg/L를 초과한 시료는 한 지점이었지만, 인간 활동에 의해 오염된 것으로 여겨지는 2 mg/L이상의 시료는 전체 18개 시료 중 61%인 11개 지점으로 나타나, 이 연구지역에서 인간활동에 의한 질산성 질소의 오염이 진행되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 PDF

충북 금관-월룡지역의 지하수ㆍ지표수 수질에 대한 기반암의 영향

  • 이병선;한원식;문상기;신우식;우남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9a
    • /
    • pp.219-224
    • /
    • 2002
  • 충북 청원군 미원면 금관-원룡리 일대를 따라 발달된 화전리층(상층)과 구룡산층 분포지역에서, 기반암에 따른 지하수 및 지표수의 수질특성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화전리층(상층)지역의 경우 Ca-(HCO$_3$+.CO$_3$) 유형을, 구룡산층 지역의 경우 (Ca,Mg)-SO$_4$ 및 (Ca,Mg)-HCO$_3$ 유형을 보였다. 지하수의 경우, 화전리층(상층) 지역은 주고 탄산염광물의 풍화에 의해, 구룡산층 지역은 주로 규산염광물의 풍화에 의해 수질특성이 결정됨을 보였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분석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지표수의 경우, 한 지점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암반 기원으로 도시되어 기반암의 영향이 수질특성을 좌우하고 있음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하수ㆍ지표수 각각의 수질 특성이 지역적인 기반암 종류에 따름을 확인시켜주는 바, 국가적인 수질관리정책은 지역적인 지질매체의 차이를 고려하면서 수립 ㆍ시행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 PDF

Physical Properties of Major Bedrocks in Chungju-Goesan Area as Aggregates (충주-괴산일대에서 산출되는 주요 기반암의 골재로서의 물성특징)

  • Byoung-Woon You;Jaehyung Yu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5 no.6
    • /
    • pp.649-659
    • /
    • 2022
  • This study examined the granite, quartzite, phyllite, schist, and gneiss as aggregate resources among the original rock distributed in the Chungju-Goesan area. The granite distributed in the study area is mainly composed of Jurassic biotite granite, and the quartzite layer is from the Daehyangsan quartzite Formation distributed on the upper part of the Gyemyeongsan Formation and the Hyangsan-ri dolomitic limestone Formation. In addition, phyllite is pophyrytic phyllite-schist from the Hwanggangri Formation of the Okcheon group, schist is chlorite schist, from the Munjuri Formation of the Okcheon group, and gneiss is porphyroblastic gneiss which is the upper part of the Seochangri Formation. Aggregate quality evaluation factors of these rocks included fineness modulus, absorption, unit weight, absolute dry density, solid content, porosity, resistance to abrasion, and soundness. In the case of granite, it was found to be partially unsatisfactory in terms of unit weight, solid content, porosity, and resistance to abrasion. Gneiss was found to be out of the standard values in resistance to abrasion and schist in porosity and solid content. As for the overall quality of aggregate resources, it was analyzed that quartzite, gneiss, and phyllite showed excellent quality. Aggregate quality tests are performed simply for each rock, but the rock may vary depending on the morphology of the mineral. Therefore, when analyzing and utilizing the quality evaluation of aggregate resources, it will be possible to use them more efficiently if the rock-mineralological research is performed together.

Influence of Tectonic Uplift on Longitudinal Profiles of Bedrock Rivers: Numerical Simulations (융기가 기반암 하상하천의 종단곡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수리 모형을 통한 연구-)

  • Kim Jong Yeo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9 no.5 s.104
    • /
    • pp.722-734
    • /
    • 2004
  • Longitudinal profiles of bedrock rivers play a fundamental role in landscape history by setting the boundary conditions for landform evolution. Longitudinal profiles are changed with climatic conditions, lithology and tectonic movements. Tectonic movement is an important factor controlling longitudinal profiles, especially in tectonically active area where uplift rates are regarded as a major factor controlling channel gradient. However study on bedrock channel has made little progress, because controls over bedrock river incision are yet to be clarified. Previous numerical simulations have used a simple diffusion model, which links together the overall processes of bedrock channel erosion as in other landform evolution models. In this study, previous bedrock incision models based on physical processes (especially abrasion) are reviewed and new modifications are introduced. Using newly formulated numerical model, the role of spatial pattern and intensity of tectonic uplift on changes in river longitudinal profile was simulated and discussed.

Design of Large-Diameter Drilled Shaft Bearing on Gravel Layer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의 자갈 지지층 적용 설계사례)

  • Lee, Jae-Hoon;Joo, Soo-Il;Ryu, Tae-Ha;Choi, Jae-Ho
    • 기술발표회
    • /
    • s.2006
    • /
    • pp.115-132
    • /
    • 2006
  • 본 글은 부산-김해간 경량전찰 건설공사의 기초설계시 현장타설말뚝 기초의 지지층을 모래자갈층으로 적용한 사례이다. 낙동강 유역은 퇴적층이 발달하여 풍화암 이상의 기반암층이 지표하 60~80m 이후에서 출현하며, 40m 이상의 심도에서 매우 조밀한 상태의 모래자갈층이 10-20m 두께로 분포하고 있어, 모래자갈층을 관통하여 기반암에 말뚝기초를 지지할 경우 기초공사에 상당한 기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시공성과 경제적인 측면에서 매우 불리하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을 N치 50 이상의 조밀한 상태의 모래자갈층에 지지하였으며, 인근현장의 적용사례, 기초 구조물 안전성 검토 및 현장재하시험 등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모래자갈 지지층의 적정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풍화암 이상의 지지지반 출현심도가 60m 이상으로 매우 깊고, 지지지반 상부에 모래자갈층이 두껍게 분포하는 경우에는 모래자갈층을 말뚝기초의 지지층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시공성 및 경제성 측면에서 합리적이라 판단된다.

  • PDF

Tafoni Geomorphic Development in the Western Coast of Dongdo of Dokdo, Korea (독도 동도 서쪽 해안의 타포니 지형 발달)

  • Hwang, Sang-Ill;Park, Kyung-Ge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3 no.4
    • /
    • pp.422-437
    • /
    • 2007
  • Dokdo has historical and political meaning in relation to the territorial problems with Japan. The area can be the main factor to explai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East-Sea as exposure volcanic island at East-Sea with Ulreong-island. Accordingly, it also has an important meaning of physical geography aspects In this research, it is perceived the geomorphological development process of slope due to the salt weathering which i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understand whole geomorphology of Dokdo. And researched how a geomorphology of this sort affects to animal and plants. The peculiar geomorphology is tafoni which is a weathering geomorphology and one of the remarkable geomorphology in preservation of Dokdo. Tafoni at west part of Dongdo is distributed intensively near shoreline which is composed tuff. The shape of tafoni is mainly massive, circle and oval in Massive tuff breccia layer also is formed toward horizontality bedding direction in Bedded lapilli tuff. Tafoni in Dokdo is constituted after middle of Holocene. This fact can be proved by ranging at surface of sea-cliff which is formed wave erosion after middle of Holocene sea-level reaching to present level. Tafoni is also the most contribute factor of geomorphology dissection of Dokdo as it is eroded the bed rock with salt weathering. In bottom part of tafoni it has an important function for habitat of birds. Herbaceous plants are on it. To procrastinate of bed rock dissection by growth of Tafoni, conservation of vegetation and soil are most important factor.

  • PDF

An Analysis on the Water Quality of Limestone Cave System in Danyang region (단양지역에 분포한 석회암동굴계의 수질에 대한 분석)

  • 임종호;홍시환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3 no.34
    • /
    • pp.7-22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단양지역에 분포한 석회암동굴계의 수질에 대한 주요 원소와 미량 원소 그리고 오염실태를 살펴보았다. 풍화물에 존재하는 미량 원소가 기반암보다 수 배 내지 수 백배 이상 부하되어 있었다. TSD와 EC 등은 화강암의 지하수 보다 높은 경향이 있었고 pH는 중성 내지 알칼리성이었다. Ca와 Mg은 기반암에서 용탈되어 지하수로 용존된 것으로 50ppm이상을 함유하고 있다. Fe과 K은 다른 주요 원소보다 현저히 낮은 경향이 있었다. 주요 음이온인 F$^{-}$ , Cl$^{-}$ , NO$_3$$^{-}$ , SO$_4$$^{-}$ 등은 환경기준치 보다도 현저히 낮은 상태이며, 따라서 오염이 안된 상태로 볼 수 있다. 미량 원소중 Al, Sr, Ba등이 높은 반면에 Co, Mo, Sb, Cs, W, Pb, U, Mn 등은 매우 극소량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지역 중 온달굴, 고수굴, 천동, 노동 등지는 오염이 거의 안된 상태로 매우 양호한 편이나 천동굴은 관광객으로 인하여 일부 원소가 오염되어 있는 실정이다.

  • PDF

경주시 감산사단층 부근에서의 탄성파 굴절법 조사

  • Kim, Gi-Yeong;Kim, Dong-Hun
    • Journal of the Korean Geophysical Society
    • /
    • v.5 no.1
    • /
    • pp.41-50
    • /
    • 2002
  • In order to delineate distribution of the basement in the vicinity of a Quaternary fault outcrop near the Gamsansa temple in Gyeongju, we conducted a seismic refraction survey along a 188 m profile with a 4 m receiver interval. Through tomographic inversion, we define four layers with refraction velocities of approximately 350 m/s, 600 m/s, 1,100 m/s and 2,400 m/s, respectively. We depict a reversed fault at a location of 40 m apart from the base station of the profile and interpret a fracture zone related to fault movements in the NNW of the profile.

  • PDF

A Seismic Refraction Study on the Basement near the Chonbuk Ranch in Gyeongju (탄성파 굴절법을 이용한 경주시 천북목장 부근의 기반암 분포 연구)

  • Lee, Kwang-Ja;Kim, Ki-Young
    • Journal of the Korean Geophysical Society
    • /
    • v.3 no.4
    • /
    • pp.215-226
    • /
    • 2000
  • In order to map the acoustic basement and to locate fracture zones in the Galgok fault, seismic refraction data were acquired near the Chonbuk ranch in Gyeongju. Along three profiles of 72m(Line 1), 72m(Line 2), and 36m(Line 3) long, seismic signals were generated by a 5kg hammer. The refraction data were collected by employing twelve 8 Hz geophones at an interval of 3m and recording time of 192ms at a sampling rate of 0.2ms. The data are interpreted using GRM method. The top layer (Layer 1) is characterized as the velocity of approximately250 m/s and thickness of approximately 2.1m. This layer is regarded as a soil layer. Underneath Layer 1 lies unconsolidated layer (Layer 2) whose refraction velocity is determined to be $1,030{\sim}1,400m/s$. Layer 2 is approximately 4.6m thick and is regarded as a Quaternary gravel layer. The third layer (Layer 3) has the mean refraction velocity of $2,100{\sim}2,200m/s$ and is interpreted to be the acoustic basement. In some parts of Lines 1 and 3, the difference in depth to the top of Layer 2 is greater than 20 cm indicating the possibility of existence of Quaternary faults. Along Line 3 and the eastern part of Line 1, refracted energy from the acoustic basement was not recorded. This may highly indicate that a relatively large scale fault exists under the western part of Line 1.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