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름치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4초

기름종개과(Family Cobitidae) 어류의 계통분류에 관한 연구 5. 미꾸리속 어류 2종의 유전적 변이 (Systematic Study on the fishes of the Family Cobitidae (Pisces, cypriniformes). 5. Genetic Variations of Two Species of the Genus Misgurnus from Korea.)

  • 양서영;김종범김재흡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52-465
    • /
    • 1994
  • 미꾸리속의 미꾸리(Misgumus anguillicaudatus)와 미꾸라지(M. mizolepis)의 종내 및 종간 유전적 변이와 유전적 차이를 알아보고자 2종 15개집단과 대만산 Paramisgumus김늠bwanus 1개 집단을 대상으로 전기영동법의 의한 동위효소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ongui각caudotus 9개 집단의 평균 유전적 변이정도는 P=34.20%, Ho=0.099, He=0 114였고. M. mizolepgs 6개 집단은 평균 P=35.55%, Ho=0 141, He=0.148이었으며, p연abwonus는 P=45.9%, Ho=0.132. 연e=0.119로서 일반적인 담수어류에 비해 높은 변이를 나타내었다 종간 평균 유전적 근연치를 비교한 결과 M. aneuflISca udatuo와 M. mfzole부랍 사이는 5=0.467이었고. M. angu연흘audatus와 P. dabrvanus 사이는 5=0.475로 비교적 근연관계가 낮았으나 M. mizolep결와 P. dabwanuo 사이는 5=0.834로 매우 가까운 유연관계를 나타냈다 유전적 차이치를 토대로 M. ongu비상라udctus와 M. mfzolep결의 종분화 연대를 산출한 결과 이들은 약 350만년전에 분화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해양유출기름의 확산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I- 폐쇄만에서의 3차원 흐름특성분석 - (Development of Simulation Model for Diffusion of Oil Spill in the Ocean 1 -Three 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irculation in the Nearly Closed Bay-)

  • 이중우;김기철;강신영;도덕희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41-255
    • /
    • 1997
  • 한국의 부산에 위치한 감천만에서의 해수유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3차원 유동모델을 사용하여 계산을 하고 그 결과를 관측치와 비교하였다. 모델은 개방경계에서의 조직, 바람, 화력발전소에서의 온배수에 의해 힘을 받아 해수유동을 재현한다. 난류 혼합계수는 $\kappa-\varepsilon$난류클로즈 모델의 의해 계산하였다. 수온, 염분, 해조류를 현장관측하여 관측자료와 모델결과를 비교하였다. 소용돌이 형태의 흐름이 현장관측자료와 모델결과에서 관측되었는데 이는 약한 조류와 풍성류, 온배수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분석되어진다. 표층과 저층의 흐름은 서로 연관되어 있는데 즉, 표층의 흐름이 강해지는 저츠으이 흐름이 약해지고 반대의 경우도 성립한다.

  • PDF

강원북부지역 소나무림의 식생유형과 임분구조 (Vegetation Type and Stand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 Forests in Kangwon Northern Region in Korea)

  • 이광수;김석권;배상원;이중효;신현철;정문호;문현식;배은지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6호
    • /
    • pp.7-17
    • /
    • 2009
  • 본 연구는 소나무림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경영림으로 발달시키기 위해 우리나라 강원북부지역에 분포하는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식생유형과 임분구조를 분석하였다. 소나무림의 군락유형은 3개군락 5개군 2개소군으로 총 7개 식생단위로 구분되었다. 상재도가 61%이상인 종으로는 소나무, 신갈나무, 생강나무, 큰기름새, 삽주, 진달래, 가는잎그늘사초로 나타났다. 중요치를 분석한 결과, 상층에는 소나무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으나 아교목층 이하에서는 신갈나무를 비롯한 참나무류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하층에서 소나무의 치수가 거의 발견되지 않고 교목성 활엽수와 관목성 수종들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직경생장을 분석한 결과, 소나무에 비해 참나무류의 생장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강원북부지역에서 지속적인 소나무림 유지를 위해서는 각 임분의 특성을 고려하여 중 하층에서 소나무와 경쟁관계에 있는 활엽수들을 제거하는 등 적절한 시업법이 도입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국내산 및 중국산 참기름과 변조 참기름의 지방산 조성에 관한 연구 (Comparative Studies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Korean and Chinese Sesame Oils and Adulterated Sesame Oils with Commercial Edible Oils)

  • 강치희;박재갑;박정웅;전상수;이승철;하정욱;황용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7-20
    • /
    • 2002
  • 경남 도내에서 유통 중인 국내산 참기름과 중국산 참기름 각각 30건과 콩기름 및 옥수수기름 등의 식용유지를 첨가하여 변조한 참기를 12건에 대한 지방산 함량을 GC에 의한 정량법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국내산 참기름의 주요 지방산 평균 함량은 palmitic acid 8.26$\pm$0.04%, stearic acid 4.57$\pm$0.05%, oleic acid 39.25$\pm$0.05%, linoleic acid 46.82$\pm$0.07, linolenic acid 0.52$\pm$0.02%, arachidic acid 0.58$\pm$0.03% 등으로 나타났으며, 중국산 참기름은 palmitic acid 9.24$\pm$0.03%, stearic acid 5.11$\pm$0.04%, oleic acid 38.65$\pm$0.04%, linoleic acid 46.02$\pm$0.06%, linolenic acid 0.42$\pm$0.04%, arachidic acid 0.56%$\pm$0.04% 등으로 각각 나타났다. 국내산 참기름은 포화 지방산인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가 중국산 참기름보다 적게 함유되어 있었고 불포화 지방산인 linolenic acid는 반대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국내산 참기름에 콩기름을 0%, 3%, 9%씩 첨가했을 때 불포화지방산인 linolenic acid가 각각 0.52$\pm$0.02%, 0.73$\pm$0.05%, 1.25$\pm$0.04%로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옥수수기름을 0%, 5%, 9%씩 첨가했을 때는 불포화지방산인 linoleic acid의 함량이 각각 46.82$\pm$0.07%, 50.22$\pm$0.06%, 51.14$\pm$0.05%로 증가됨이 확인되었다. 참기름의 산지별 확인과 식용유지를 첨가한 변조참기름에 대해서는 각각의 지방산 함량에서 특이성을 보이고 있으나 일부지역에서 구입한 국내산과 중국산 참기름에서 유사한 결과치를 보여 앞으로 국내에서 유통되는 참깨나 참기름에 대하여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강원 남부 삼척과 태백지역 소나무림의 식생유형과 임분구조 (Vegetation Type and Stand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 Forests in Samcheok and Taebaek of Kangwon Southern Region)

  • 이광수;김석권;배상원;이중효;정문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6호
    • /
    • pp.855-862
    • /
    • 2010
  • 본 연구는 소나무림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산림으로 유지하기 위해 우리나라 강원남부지역에 분포하는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식생유형과 임분구조를 분석하였다. 소나무림의 군락유형은 4개군락 2개군으로 총 6개 식생단위로 구분되었으며, 신갈나무, 개옻나무, 생강나무, 조록싸리, 졸참나무, 큰기름새, 참취, 쇠물푸레 등이 상재도가 높은종으로 나타났다. 층위별 중요치를 분석한 결과, 상층에는 소나무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으나 아교목층 이하에서는 소나무보다 경쟁목인 참나무류와 같은 활엽수종들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다. 직경급 분포에서도, 소나무는 주로 대경목에 분포한 반면, 중 소경목은 대부분 활엽수로 나타났다. 소나무와 경쟁 활엽수종의 연간직경생장을 분석한 결과, 지역별, 입지적조건 및 수령과 수종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소나무림 유지를 위해서는 각 임분의 특성을 고려하여 중 하층에서 소나무와 경쟁관계에 있는 활엽수에 대한 적절한 시업법이 도입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동강할미꽃 자생지의 환경 및 생태적 특성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ulsatilla tongkangensis Habitats)

  • 유기억;천경식;장수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39-446
    • /
    • 2009
  • 동강할미꽃 자생지(백운산, 마하리, 귤암리와 덕항산)의 환경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환경요인, 식생 및 토양분석을 실시하였다. 동강할미꽃 자생지는 해발 220-772 m에 위치하고, 경사는 $41-85^{\circ}$로 다양하였으며, 주로 북서사면에 분포하였다. 식생분석결과 10개 방형구내에서 조사된 분류군은 총 27종류였다. 중요치는 동강할미꽃이 9.65%였으며, 산거울(28.93%), 돌양지꽃(16.55%), 돌단풍(7.09%), 기름나물과 그령(4.55%), 큰네잎갈퀴(3.90%) 등 6종류는 중요치가 높게 나타나 이 분류군들은 동강할미꽃과 친화도가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종다양도는 평균 0.75이었고 우점도와 균등도는 각각 0.24와 0.85로 나타났다. 토양의 포장용수량은 평균 19.05%이었으며, 유기물 함량은 10.51%로 나타났고, pH는 7.43으로 자생지간에 비슷하게 나타났다.

공단지역에 우점하고 있는 덩굴식물류의 식생변화 (Vegetation of Liana Dominating in the Vicinity of Onsan Industrial Complex)

  • 박은희;김종갑;이정환;조현서;민재기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6호
    • /
    • pp.335-345
    • /
    • 2004
  • 우리나라 공업단지 중 화학비료를 생산하고 있는 온산공단주변의 해송림이 쇠퇴된 이후 그곳에 덩굴식물류의 우점현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하층식생에 덩굴식물류의 중요치는 청미래덩굴(Smilax china)이 13.2로 가장 높았으며, 인동(Lonicera japonica)이 11.7, 계요등(Paederia scandens) 11.5, 댕댕이덩굴(Cocclus trilobus)이 7.7의 순으로 높아 대기오염으로 인한 생태계 훼손지역의 1차 식생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각 조사지별 목본류의 종수와 종다양도, 최대종다양도, 균재도, 우점도를 층위별로 나타낸 결과상층, 중층 식생에서는 종수, 종다양도, 최대종다양도, 균재도, 우점도가 산림지역이 공단지 역보다 높게 나타나 공단 주변 식생의 단순함을 보였으며, 하층 식생에서는 공단지역이 산림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덩굴식물이 차지하고 있는 비율이 높은 것이 원인인 것 같다. 초본류 조사에서는 총 59종이 출현하였으며, 고사리, 기름새, 닭의장풀, 미국자리공, 멍석딸기, 억새, 실새풀 등에서 중요치가 높아 대기오염지역의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종수, 종다양도, 최대종다양도, 균재도, 우점도에서는 지역간의 구분이 뚜렷하게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공단지역이 산림지역보다는 덩굴식물의 분포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인접한 경기화학의 영향으로 상층식생의 쇠퇴에 따른 광조건에 의하여 열대성 식물인 덩굴식물이 우점종으로 나타나 생태계의 교란으로 인한 사막화 현상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신 IMO 협약에 따른 에멀젼 분리형 선박용 유수분리기 영향인자에 관한 연구 (Study of factor of Bilge Separator for oily water emulsion conforming with new IMO regulation)

  • 임재동;박선정;박상호;김인수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103-108
    • /
    • 2006
  • 새롭게 적용되는 IMO 규정에 적합한 선박의 15ppm Bilge Separator를 개발하기 위하여 Bilge 폐수에 함유된 Emulsion 의 처리가 매우 중요하다. 에멀젼의 경우 그 안정성으로 인해 육상에서도 처리하기가 매우 까다로운데 본 연구에서는 화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Emulsion의 안정성을 파괴하여 처리하고자 하였다 파괴된 기름 입자는 서로 응집하여 부상처리 되는데, 선박은 특성상 장치의 설치장소가 협소하기 때문에 Bilge 폐수의 처리에 시간이 충분치 않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과 화학적 처리에 가장 기본이 되는 응집제의 선정과 기본적인 환경요인들을 결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국내 제품 중의 응집제를 선정하였고 가장 응집 효과가 좋은 pH 영역과 응집제의 투여량을 결정하였으며 기초 실험을 통해 최적효율을 나타내는 부상방법을 결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Pilot Plant를 제작하여 에멀젼 함유 Bilge 폐수를 처리한 결과 IMO에서 정한 기준을 만족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비슬산 계류의 어류상과 군집구조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of the Mountain Streams in the Mt. Biseul)

  • 채병수;남명모;김한순;강영훈
    • 생태와환경
    • /
    • 제38권3호통권113호
    • /
    • pp.289-296
    • /
    • 2005
  • 2003년 6월부터 2004년 5월까지 비슬산 일대의 계류의 20개 조사지점에서 담수어류상과 군집구조를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9과 25속 29종의 어류가 채집 확인되었다. 잉어과 어류가 14종 (48.3%), 미꾸리과 어류는 4종 (13.8%) 이었으며, 한국고유종은 참몰개, 긴몰개, 치리, 기름종개, 미유기, 자가사리, 동사리의 6종 (22.2%)이었고, 외래도입종으로 베스와 블루길이 조사되었다. 기세곡천과 신천에서는 버들치가 우점종이고, 금포천은 참붕어, 현풍천은 피라미, 차천은 끄리가 우점종이었다. 낙동강본류의 영향을 받는 기세곡천, 금포천, 현풍천 그리고 차천의 하류역은 우리나라의 다른 수계에서 이입된 육식성 어종인 끄리의 밀도가 높게 나타나, 어류군집이 교란된 것으로 판단된다. 비슬산 일대의 소하천의 다양도지수는 금포천, 차천, 현풍천이 각각 0.936, 0.954, 1.023으로 신천과 기세곡천의 0.553과 0.727보다 높게 나타나 상대적으로 안정된 군집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중 닭튀김의 구성 지방산 조성 (Evaluation of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Fried-chicken Sold in the Market)

  • 김영주;이기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600-605
    • /
    • 2009
  • 본 연구는 시판되는 닭튀김류의 지방함량과 지방산 조성, 트랜스 지방산함량 및 산가를 조사하기 위해 총 20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종의 닭튀김에서 추출된 지방함량은 $4.94{\sim}18.06%$의 다양한 범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지방함량의 분포는 닭 자체의 지방함량이나 닭을 튀긴 기름의 종류, 튀김온도, 시간, 튀김옷의 성분차이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한 차이라고 생각된다. 조사된 닭튀김의 주요 지방산 조성은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등이었다. 포화 지방산 중에서 palmitic acid($10.67{\sim}25.43%$)가 불포화지방산 중에서는 oleic acid($29.78{\sim}67.85%$)와 linoleic acid($8.42{\sim}39.54%$)가 가장 많았다. 식품 100 g당 함유되어 있는 트랜스 지방산 함량은 0.1 g 이하의 낮은 함량을 보여주었으며 닭튀김에 함유된 지방을 추출하여 산가를 측정한 결과 20종의 닭튀김의 결과치는 식품공전상 튀김식품의 산가 규격을 초과하지 않는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