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록 서식

검색결과 266건 처리시간 0.022초

짠물새앙쥐벌레속 (카이토노티드목 : 카이토노티드과)의 해양 복모류 (Marine Chaetonotid Gastrotrichs of Genus Halichaetonotus(Chaetonotida: Chaetonotidae) from Korea)

  • Lee, Ji-Min;Chang, Cheon-You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0권1호
    • /
    • pp.55-62
    • /
    • 2004
  • 한국연안의 조간대화 조하대 모래틈에 서식하는 짠물새앙쥐벌레속(Halichaetonotus)의 2종, 바늘짠물새앙쥐벌레(H. aculifer)와 아틀란타짠물새앙쥐벌레(H. atlanticus)를 보고한다. 2종 모두 한국미기록종일뿐 아니라 태평양 해역에서는 처음으로 보고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2종에 대한 도판을 작성하고 재기재하는 한편 분류학적으로 고찰하였다.

남해 연안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에 기생하는 이생흡충류, Pseudolepidapedon kobayashii, 1종에 대한 국내 보고 (Pseudolepidapedon kobayashii (Digenea: Allocreadiidae) from th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of the Korean Southern Sea)

  • 김기홍;권세련;안경진;허성회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3-65
    • /
    • 1999
  • 남해안에 서식하는 넙치의 장에서 이생흡충류에 속하는 Pseudolepidapedon kobayashii 1종을 국내에서 처음 기록하였으며, 넙치는 이 기생충의 새로운 종숙주로 밝혀졌다. 본 논문에서는 P. kobayashii의 형태학적 특징들을 기술하였고 같은 속내의 다른 종들과 형태학적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 PDF

인공신경망 기법을 이용한 하천에서 유량 예측 (Discharge prediction in a stream using ANN technique)

  • 최성욱;강동원;최성욱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116-116
    • /
    • 2022
  • 현재 인공지능은 공학적 문제 해결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매우 친숙하게 활용되고 있다. 특히 하천 분야에서는 시설물 주위 국부세굴 또는 어류 서식처 분석과 같이 관련 변수들의 복잡성으로 적절한 결과를 쉽게 얻어내기 어려운 것들에 적용되고 있다. 그 외에도 인공지능 기법을 적용할 수 있는 분야로 하천에서의 수위를 이용하여 유량을 예측하는 것이 있다. 기존에는 수위-유량 관계 곡선을 만들어 수위를 이용하여 유량을 예측하였으나, 관계곡선 제작에 활용된 수위와 유량 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 과다한 유량으로 계산되는 경우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기법 중 하나인 인공신경망 기법을 사용하여 하천의 유량 예측을 수행하였다. 기존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에 기록된 자료를 활용하여 수위와 유량 자료를ANN에 학습시키고 학습에 활용하지 않은 시기의 자료를 이용하여 전반적인 유량 예측 성능과 루프형 수위-유량 관계 곡선을 생성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또한 학습 범위를 벗어난 홍수량에 대한 측정 결과를 검토하고, 기존 수위-유량 관계곡선과 비교하여 그 성능을 검토하였다.

  • PDF

울릉도의 균류상 (III) -수종의 구멍장이버섯류에 관하여- (Fungal flora of Ullung Island (III) -on some polyporoid fungi-)

  • 정학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0
    • /
    • 1992
  • 1990년 8월에 5일간, 10월에 4일간, 1991년 7월에 5일간, 9월에 4일간, 도합 4차례에 걸쳐 채집한 100점의 표본과 1989년에 채집한 24점의 표본을 포함 하여 총 124 점의 구멍장이버섯류의 표본을 분류한 결과 이들 표본의 약 3/4이 최종적으로 동정되어 도합 1목, 4과, 22속, 33종으로 확인되었다. 그중 2속은 국내 미기록속 그리고 9종은 국내 미기록종으로 판명되어 우리나라의 균류목록에 새로이 추가되었다. 이들 미기록속 균류는 구멍장이버섯과의 황금구멍버섯속(屬)(신칭(新稱), Auriporia) 과 밀구멍버섯속(屬)(신칭(新稱), Ceriporiopsis)이며 , 미기록종 균류는 소나무비늘버섯과 의 가지진흙버섯(신칭(新稱), Phellinus laevigatus)와 구멍장이버섯과의 순황금구멍버섯(신칭(新稱), Auriporia aurulenta), 밀구멍버섯(신칭(新稱), Ceriporiopsis gilvescens), 큰밀구멍버섯(신칭(新稱), Ceriporiopsis subvermispora), 작은조개버섯(신칭(新稱), GloeoPhyllum trabeum), 큰살색구멍버섯(신칭(新稱), Junghuhnia separabilima), 흰손등버섯(신칭(新稱), Oligoporus stipticus), 구멍흰살버섯(신칭(新稱), Oxyporus similis) 및 검은발구멍장이버섯(신칭(新稱), Polyporus melanopus) 이였다. 또한 한국말 버섯이름 통일 위원회(1978)의 명명규칙에 따라 Antrodia를 구멍주름버섯속(屬)에서 주름구맹버섯(屬)으로 ,A η trodia al- bida 를흰그물송편버섯에서 흰주름구멍버섯으로, Antordia albida를 흰구멍송편버섯에서 흰주름구멍버섯으로, Antrodia sinuosa를 좀털구멍버섯에서 좀털주름구멍버섯으로 각각 개칭(改稱)하였다. 울릉도의 삼림은 칩엽수의 제한된 분포로 대부분의 구멍장이버섯들은 활엽수 특히 너도밤나무(Fagus crenata var. multinervis), 오리나무(Alnus), 그리고 마가목 (Sorbus)의 죽은 나무와 나무가지에 서식하고 있었으며 동정된 표본의 3/4 에 이르는 균류가 이들 활엽수에서 발견되었다. 침엽수 중에서는 소나무(Pinus)가 가장 좋은 기질을 제공하고 있으며 본 조사과정에서는 5종의 균류가 소나무에서 발견되었다. 또한 울릉도에서는 흰구름버섯(Coriolus hirsutus), 구름버섯(c. versicolor) 및 기계충버섯(Irpex lacteus)이 가장 흔한 우점종으로서 울릉도 삼림의 중요한 목재부후균류로 작용하고 있었다. 울릉도의 구멍장이버섯류는 전반적으로 육지의 균류상에 비하여 제한된 균류의 분포상을 보이고 있었으며, 섬의 환경에 잘 적응된 종류가 섬전역을 통하여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반면에 미기록종을 포함한 일부 고유종들이 다수 출현하여 울릉도 균류상의 특정을 규정짓고 있었다.

  • PDF

생물학적 다변수 모델 적용 및 수화학 분석에 의거한 갑천생태계 평가 (Stream Ecosystem Assessments, based on a Biological Multimetric Parameter Model and Water Chemistry Analysis)

  • 배대열;안광국
    • 생태와환경
    • /
    • 제39권2호통권116호
    • /
    • pp.198-208
    • /
    • 2006
  • 본 연구는 어류를 이용한 생물학적 수환경 평가기법 즉, '생물통합지수'라 불리는 다변수 모델기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04년 8월 ${\sim}$ 2005년 9월까지 갑천에서 5개 지점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생물학적 자료와 함께 환경부에서 제공되는 장기간의 수진자료와 물리적 서식지 평가 결과를 비교하였다. 어류 군집에 기반으로 한 하천의 생몰학적 건강도 평가를 위하여 Karr(1981)가 제시한 12메트릭 모델을 국내 실정에 맞게 10메트릭 모델로 변형하여 적용하였다. US EPA(1993)와 Karr(1981)의 기준에 따르면 갑천의 평균 생물학적 건강도 지수는 24.0 (범위: 20 ${\sim}$ 30, n=5)으로 보동${\sim}$악화 상태를 나타내었다. 장마기간에 조사된 4차 조사를 제외한 나머지 조사 중 상류부(SI~S3)와 하류부(S4, S5)의 평균 생물학적 건강도 지수는 26.0${\sim}$24.0으로 나타난 반면 4차 조사는 상류부와 하류부가 각각 21.0과 20.0을 기록하였다. 이는 장마로 인한 교란현상을 시사하며 또한 하류부보다는 상류부가 장마의 영향을 심하게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리적 서식지 평가 지수는 75(보통)${\sim}$148(양호)상태를 보였다. 53은 75점을 기록하여 다른 지점에 비하여 상당히 낮은 수치(P=0.001, n=5)를 보였으며 생물학적 건강도 평가 지수 역시 24를 기록하여 상당히 낮은 수치를 보였다.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화학적 산소요구량, 총인, 총질소의 네 항목은 상류에 비하여 하류에서 3${\sim}$8배 가랑 상승하였으며, 이는 생물학적건강도 지수가 이 ${\cdot}$ 화학적 수질과 물리적 서식지를 모두 반영하는 결과라 사료되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생물학적건강도 평가기법은 하천생태계를 현재를 진단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나아가서 하천생태계와 수질을 회복하는데 핵심도구로 여겨진다.

한반도 도서지역 나비 종 수에 미치는 생태학적 영향에 관한 연구 -섬 면적, 격리정도, 위도 및 최고 고도의 역할- (Study on the Ecological Influences on the Butterfly Fauna of Islands in Korea - Roles of Island Area, Isolation, Latitude and Maximum Elevation -)

  • 최세웅
    • 환경생물
    • /
    • 제18권2호
    • /
    • pp.237-246
    • /
    • 2000
  • 섬 생물지리학에서 평형설(equilibrium theory)은 섬의 면적과 본토에서 떨어진 거리에 따른 이입율과 절멸율의 작용에 의해 섬에 분포하고 있는 종 수가 결정된다는 이론이다. 본 연구는 한반도 부속도서에서 여러 생태학적인 요인들인 섬의 면적, 격리정도, 위도 및 섬의 최고 고도로 표시한 서식지 다양성과 나비의 종 수에 관한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71개의 섬에서 기록된 나비의 종 수와 이들 요인들 사이의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나비 종 수는 섬 면적($r^2$=0.405, P<0.005) 및 고도로 표시한 서식지 다양성($r^2$=0.341, P<0.005)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본토와의 거리 ($r^2$=0.018, P>0.05)및 섬 위도($r^2$=0.040, P>0.05)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와 이전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한반도 부속도서의 나비 종 수는 섬의 면적, 식생 그리고 최고 고도와 같은 생태적 변수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요약된다.

  • PDF

의료정보 공유기능 향상을 위한 소프트웨어시스템 기반구성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stablishment of Softwaresystem Configuration for Improving Health Information Sharing)

  • 한순화;주세진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1-18
    • /
    • 2014
  • 우리나라는 강점인 초고속 통신망을 기반으로 전국적인 의료정보망을 구축하여 의료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의료서비스의 속성상 의무기록 서식이 병원, 진료 부서마다 특성화 되어 있어 모든 부서, 모든 질병에 사용할 수 있는 공통된 서식 완성이 매우 어려운 난제이다. 본 연구는 이를 개선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우선 의료정보 공유상의 문제인 의료정보시스템(PACS/HIS)간 정보연동 문제, 정보의 호환성, 보안성 문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문제는 3개영역 6개 요구사항으로 정리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의료정보의 효과적 공유를 목적으로 한 소프트웨어시스템 설계가 요구된다. 소프트웨어시스템 설계는 의료정보 이해관계자 도출, 설계 요구사항 분석,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구성, 아키텍처 평가절차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의료정보 표준화 환경 진단을 기반으로 시스템 설계로 새로운 설계사상을 기반으로 프레임워크를 도출하고 기능 메커니즘을 구성했다.

Amblyomma testudinarium 진드기의 국내발견기록(國內發見記錄), 종속동정(種屬同定) 및 웅충(雄蟲)에 대한 형태학적(形態學的) 재기술(再記述) (Amblyomma testudinarium Koch, 1844: Discovery and Record in Korea, and Identification and Redescription of Male Tick)

  • 강영배;서명덕;김용희;변시열;임희웅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65-72
    • /
    • 1981
  • 인디아, 스리랑카, 버마, 타일랜드, 말레이지아, 인도차이나, 필리핀, 타이완 그리고 일본(日本)에 분포(分布)하는 것으로 이미 알려진 바 있는 Amblyomma testudinarium Kcoh, 1844 진드기가 금번(今番)에 우리 나라에서도 처음으로 발견(發見) 되었기에 보고(報告)한다. 제주시(濟州市)로부터 동남방(東南方) 24km 떨어진 지역(地域)인 북제주군 조천면 교래리에 위치(位置)하고 있는 대원목장(牧場)에서 사육중(飼育中)인 홀스타인 육우(乳牛)로부터 채취(採取)된 미포혈(未飽血) 상태(狀態)의 웅충(雄蟲) 1마리를 검사재료(檢査材料)로하여 종속동정(種屬同定)을 하여 본 결과(結果), Amblyomma testudinarium 진드기로 밝히어 졌으며, 이에 그 형태학적(形態學的) 특징(特徵)을 기술(記述)하여 보고(報告)한다. 경(硬)진드기류(類)에 속(屬)하는 Amblyomma 진드기의 국내서식(國內棲息)이 확인(確認)됨에 따라, 국내(國內)에서 발견(發見) 보고(報告)된 진드기의 종류(種類)는 경(軟)진드기인 Argas속(屬), 그리고 경(硬)진드기인 Boophilus속(屬), Dermacentor속(屬), Haemaphysalis속(屬), Hyalomma속(屬), Ixodes속(屬) 등, 경(軟)진드기류(類) 1속(屬), 경(硬)진드기류(類) 6속(屬), 도합(都合) 7속(屬) 18종(種)이 기록(記錄) 되었으며, 지리적(地理的)으로 볼 때, A. testudinarium 진드기의 분포(分布)에 있어서 우리 나라가 동남아세아(東南亞細亞)와 일본(日本)을 연결(連結)해 주는 교량적(橋梁的) 위치(位置)에 놓여 있다는 점(點)과 제주도(濟州道)의 자연환경(自然環境)과 기후조건(氣候條件)은 열대(熱帶) 또는 아열대(亞熱帶) 지역(地域)의 진드기 서식(棲息)에도 적합(適合) 할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소규모 사업장 보건관리 산업간호사의 업무서식과 기록행태 (Type and Contents of Health Records and Recording Tendencies of Nurses in Small-Scale-Enterprises)

  • 유경혜;강은홍;차남현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4-92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types of health documents for nurses, the content of informations in the documents, and writing behaviors of occupational health nurses. Health documents were collected from 7 nurses who were working in 7 group occupational health agencies (GOHA) located at Seoul and Inchon area in Korea. The collected health documents written in January to June 1999 were analyzed, and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1) The occupational health nurses were using 9 to 18 different types of health documents. The contents of the documents were considered quite similar to each other with slightly different headings and items to record. Among different types of health documents. Health Management Card for Workplace', Nursing performance sheet and Workplace environmental checklist were in common among nurses and were used for content analysis. 2) The 'Health Management Card for Workplace' was the only formal sheet of small-scale-enterprises (SSE) for health management, in which health and safety related information was recorded. The information on nursing services were recorded on the Nursing performance sheet, which has slightly different names on each type with similar contents. The Workplace environment checklist was for the information on general work environment management and mainly status of workplace hygiene. This checklist is to be used by or with nurses among the 3 types health professional team such as doctor, hygienist, and nurse, but it seemed not being used frequently by nurses. 3) Analysis on recording tendencies of nurses revealed that the writing styles of occupational health nurses were associated with 'memo' using a few number of words and short sentences. The amount of information by this kind of recording style was considered not enough for health management situation. The possible reasons for nurses to use this writing style might be insufficient time for recording and improper designed format of health documents. Because nurses working in SSE spend more time on the roads to visit workplaces, nurses may not found enough time for recording properly within their working time. In addition, the health records were designed to focus on the frequency of nurse's performance in certain types of work rather than on the method they used to deal with health problem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some steps are necessary to develop health documents and recording system which is appropriate to occupational health nurses. The educational need for nurses on appropriate recording behavior is also recommended.

  • PDF

한국 특산식물 변산바람꽃 자생지의 환경 특성과 식생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of the Natural Habitats of Korean Endemic Plant Eranthis byunsanensis B.Y. Sun)

  • 김현지;정혜란;구자정;최경;박광우;조도순
    • 환경생물
    • /
    • 제30권2호
    • /
    • pp.90-97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 특산식물인 변산바람꽃(Eranthis byunsanensis B.Y. Sun)의 분포현황 및 서식지에 대한 생태적 특성과 식생에 대해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향후 자생식물을 활용한 자원화 및 보전과 복원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조사는 2010년 2월부터 7월까지 변산, 여수, 거제, 울산, 경주, 제주, 안양 등 7개 지역에서 수행되었다. 각 지역에 $1m{\times}1m$의 방형구를 총 59개 설치하고 방형구 내에 분포하는 모든 종의 피도와 빈도를 기록하였고, 상층부 교목의 우점종을 기록하고 서식지의 환경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변산바람꽃은 해발 84m~585 m 사이에 분포하였고, 총 59개 방형구 중 43개의 방형구가 북동사면에 위치하였다. 또한 경사 $10{\sim}20^{\circ}$의 계곡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분포하였으며 토양분석결과 유기물은 평균 9.6%, pH는 4.9로 대부분 약산성이며 토양수분함량은 평균 16.5%로 나타났다. 고도에 대해 경사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 고도가 낮아질수록 경사가 완만해지며, 토양은 산성을 띄는 경향을 보였다. pH와 토양수분 함량, 변산바람꽃의 분포와 유기물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 수분이 풍부하고, 영양분의 공급이 원활한 지역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59개 방형구에서 144개 분류군이 나타났으며 서식지 주변의 교목으로서 고로쇠나무와 까치박달나무, 비목나무, 서어나무 등이 높은 빈도로 출현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한국 특산식물인 변산바람꽃의 자생지 보전 및 복원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변산바람꽃을 활용한 분화용 소재개발 및 재배 시 최적의 서식환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