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기 판별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36초

스마트폰 JPEG 파일의 출처 식별을 위한 DQT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Building a Database of DQT Information to Identify a Source of the SmartPhone JPEG Image File)

  • 김민식;정두원;이상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359-367
    • /
    • 2016
  •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진 촬영이 보편화됨에 따라 이미지 조작, 기밀 유출로 인한 사건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어 이미지 파일의 위변조 여부와 원본 증명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은 사진 파일을 JPEG 형식의 이미지 파일로 저장하는데 JPEG 이미지의 Header부분에는 이미지의 압축률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DQT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JPEG 내부 Thumbnail 이미지에도 DQT가 존재한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DQT만을 이용해 이미지를 촬영한 장치를 판별하였다. 하지만 이 연구는 장치를 판별하기에는 정확도가 매우 낮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DQT 정보뿐만 아니라 Thumbnail 이미지의 DQT 정보에 대한 실험을 통해 사진을 촬영한 스마트폰 기기와 사진 파일을 편집하고 저장한 애플리케이션을 유추할 수 있도록 JPEG 파일의 DQT 정보 및 Thumbnail 이미지의 DQT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보다 정확한 이미지의 출처 판별을 돕는다.

안드로이드 정상 및 악성 앱 판별을 위한 최적합 머신러닝 기법 (Optimal Machine Learning Model for Detecting Normal and Malicious Android Apps)

  • 이형우;이한성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1-10
    • /
    • 2020
  •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디컴파일이 간단하여 정상 앱과 유사한 악성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으며, 제작된 악성 앱은 안드로이드 서드 파티(third party) 앱 스토어를 통해 배포되고 있다. 이 경우 악성 애플리케이션은 기기 내 개인정보 유출, 프리미엄 SMS 전송, 위치정보와 통화 기록 유출 등의 문제를 유발한다. 따라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머신러닝 기법 중에서 최적의 성능을 제공하는 모델을 선별하여 악성 안드로이드 앱을 자동으로 판별할 수 있는 기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공인 실험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안드로이드 앱의 특징정보를 선별한 후에 총 네 가지의 성능 평가 실험을 통해 안드로이드 악성 앱 판별에 최적의 성능을 제공하는 머신러닝 모델을 제시하였다.

변형된 DenseNet과 HPF를 이용한 카메라 모델 판별 알고리즘 (Camera Model Identification Using Modified DenseNet and HPF)

  • 이수현;김동현;이해연
    •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11-19
    • /
    • 2019
  • 영상 관련 범죄가 증가하고 고도화됨에 따라서 고수준의 디지털 포렌식 기술이 요구된다. 그러나 기존의 특징 기반 기술은 인간이 고안한 특징을 활용함으로서 새로운 기기 특징에 쉽게 대응하기 어렵고, 딥러닝 기반 기술은 정확도 향상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모델 분야의 최신 기술인 DenseNet을 기반으로 카메라 모델 판별을 위한 딥러닝 모델을 제안한다. 카메라의 센서 특징을 획득하기 위해 HPF 특징 추출 필터를 적용하였고, 카메라 판별에 적합하도록 기존 DenseNet에서 계층 반복 수를 조정하였다. 또한 연산량을 줄이기 위한 Bottleneck layer와 압축 연산 처리를 제거하였다. 제안한 모델을 Dresden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성능 분석을 하였고, 14개 카메라 모델에 대해 99.65%의 정확도를 달성하였다. 기존 연구들보다 높은 정확도를 달성하였으며 기존에 동일한 제조사에서 정확도가 낮아지는 단점을 극복하였다.

교통약자를 위한 전동 이동 보조기기 안전 경로 서비스의 개발과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afe Route Service of Electric Personal Assistive Mobility Devices for the Mobility Impaired People)

  • 우제승;홍순기;유상경;김회경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85-96
    • /
    • 2023
  • 본 연구는 최근 이동권 개선을 위해 교통약자들을 중심으로 이용되고 있는 전동 이동 보조기기의 안전 경로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개발하고 평가하였다.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교통약자들과 관련 기관 종사자(부산광역시 내 장애인 자립 생활센터, 장애인 협회 정회원, 전동 이동 보조기기 수리기사, 활동 보조사)들과의 설문을 통해 전동 이동 보조기기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13종의 요인을 도출하였다. 각각의 요인들에 안전성 점수를 부여하고 현장에서 수집된 데이터로 객체 인식 AI 모델을 학습시켜 해당 요인들을 판별한 후, 최적경로 탐색 알고리즘을 통해 전동 이동 보조기기 경로 안내 서비스를 개발하였다. 동일한 출도착 경로를 대상으로 T-map에서 제공하는 일반 경로와 본 연구의 추천 경로를 비교한 결과, 일반 경로에서는 전동 이동 보조기기의 주행에 방해가 되거나 승차감을 불편하게 하는 장애물이 많았고 가파른 경사로 인해 이동이 불편했지만, 본 연구의 추천 경로에서는 상대적으로 장애물이 적었고 경사도 완만하여 전동 이동 보조기기의 주행에 무리가 없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전동 이동 보조기기 이용자의 실시간 위치를 기반으로 경로 안내 서비스를 구현하고 다수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현장 실증테스트를 진행하여 사회적 수용성 평가 및 검증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모폴로지 필터링 기반 센서 패턴 노이즈를 이용한 디지털 동영상 획득 장치 판별 기술 (Digital Video Source Identification Using Sensor Pattern Noise with Morphology Filtering)

  • 이상형;김동현;오태우;김기범;이해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6권1호
    • /
    • pp.15-22
    • /
    • 2017
  • 인터넷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서 다양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들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스마트 기기들이 발전함에 따라서 소셜 네트워크 상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넘쳐나고 있다. 그러나 불법적 목적을 가진 사용자에 의해 발생하는 범죄도 증가하면서 멀티미디어 포렌식을 이용한 콘텐츠 보호 및 불법 사용 차단의 필요성이 사회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포렌식 기술의 하나로 디지털 동영상 획득 장치 판별을 위한 포렌식 기술을 제안한다. 먼저 모폴로지 필터링을 이용한 센서 패턴 노이즈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이용하여 참조 장치에서 촬영한 참조 동영상의 센서 패턴 노이즈를 추정하고, 검사 동영상에서 센서 패턴 노이즈를 추출한다. 그리고 두 센서 패턴 노이즈 사이의 유사성 계산을 통하여 검사 동영상이 참조 장치로 촬영을 했는지 판별을 수행한다. 제안한 기술의 성능 분석을 위하여 DSLR 카메라, 콤팩트 카메라, 캠코더, 액션캠 및 스마트폰 등을 포함한 총 30대의 장치에 대하여 개발한 알고리즘에 대한 정량적 성능 분석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 96%의 판별 정확도를 달성하였다.

스마트 홈에서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사용자 동적 접근제어 (User Dynamic Access Control for Privacy Protection in Smart Home)

  • 조도은;김시정
    •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 /
    • 제6권3호
    • /
    • pp.17-22
    • /
    • 2018
  • 스마트 홈이란 집 안의 냉난방에서부터 조명, 주방, 보안에 이르기까지 가정에 있는 다양한 장치들을 네트워크에 연결해서 집안의 모든 정보를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 스마트 홈 기술의 발전으로 집안 기기의 사용은 편리 해졌지만 반면 정보보안 측면의 해저드가 공존한다. 권한이 없는 방문자가 집안의 기기에 임의로 접근해서 정보 조회나 기기를 제어하는 프라이버시 및 보안 문제는 스마트 홈에 있어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홈에서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사용자 동적 접근 제어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스마트 홈서비스 사용자의 상황정보를 자동 판별하여 사용자의 역할을 정의하고 서비스 접근 범위를 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고 스마트 디바이스 간의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안된 스마트 홈에서의 동적 접근 제어 방법은 스마트 홈 기기에 대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향상된 보안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레이저 오류 주입 공격 성공률 향상을 위한 전자파 및 열 정보 활용 시스템 (Electromagnetic and Thermal Information Utilization System to Improve The Success Rate of Laser Fault Injection Attack)

  • 문혜원;지재덕;한동국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2권5호
    • /
    • pp.965-973
    • /
    • 2022
  • IoT(Internet of Things) 기기가 보편화됨에 따라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알고리즘들이 많이 개발되었다. 이를 위협하는 레이저 오류 주입 공격은 기기의 외부에 레이저 빔을 의도적으로 주입하여시스템의 비밀 정보 또는 비정상 권한을 획득하는 부채널 분석이다. 필요한 오류 주입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오류 주입의 타이밍을 결정하는 연구들은 많이 진행되었지만, 오류를 주입할 위치는 기기 전체에 대해 반복적으로 탐색하는 것에 그친다. 그러나 만약 공격자가 알고리즘과 무관한 영역에 레이저 오류 주입을 수행한다면 공격자는 의도한 오류문을 획득하거나 인증 우회를 시도할 수 없으므로, 오류 주입에 취약하여 공격을 수행할 영역을 탐색하는 것은 높은 공격 성공률을 달성하는 중요한 고려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기의 칩에서 발생한 전자파와 열 정보를 활용하여 오류 주입 취약 영역을 판별하면 100%의 공격 성공률을 달성할 수 있음을 보이고, 이를 토대로 효율적인 오류 주입 공격 시스템을 제안한다.

Iterative Calculation을 이용한 UWB 위치측정에서의 오차감소 기법 (Location Error Reduction method using Iterative Calculation in UWB system)

  • 장성진;황재호;최낙현;김재명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5권12호
    • /
    • pp.105-113
    • /
    • 2008
  • 유비쿼터스 사회에서는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갖고 있는 기기에 대한 정밀한 위치측정을 필요로 한다. 위치 측정은 송수신기간에 신호의 전송을 기반으로 한 거리측정을 통해 이뤄지기 때문에 위치측정의 오차는 거리측정의 오차로부터 발생한다. 신호가 전송되는 기기 간에 장애물이 존재하게 되면 LoS(Line of Sight)신호 성분이 줄어들게 되어 NLoS(Non-Line of Sight) 채널이 발생하게 되고 정확한 시점에서 신호를 검출할 수 없게 되어 거리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인 위치측정 알고리즘은 참조기기(Reference Device)의 거리측정 성능에 관계없이 참조기기와 목표기기(Target Device)간의 거리측정 값을 위치 계산에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거리측정 값으로부터 발생되는 오차가 위치 계산에 더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각 참조기기가 속해 있는 채널특성을 판별하고 NLoS채널로부터 계산된 거리와 LoS채널로부터 계산된 거리를 다른 비율로 적용하여 위치측정의 오차를 줄이는 Iterative Calculation 기법을 제안한다. 참조기기는 수신된 신호의 Kurtosis, Mean, Excess Delay, RMS Delay spread를 통해 NLoS와 LoS 채널을 구분한다. 이를 통해 구분된 채널마다 각기 다른 비율로 랜덤 거리를 계산된 거리에 더하여 위치를 계산하는 것을 반복적으로 수행한 뒤 평균값을 계산하여 확률적으로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목표기기의 위치를 찾아감으로써 NLoS채널로부터 계산된 거리오차가 위치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는 방법을 제안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존의 방식과 비교했을 때 성능향상을 확인하였다.

Capillary electrophoresis 및 근적외선분광분석기를 이용한 황기의 원산지 판별 (Discrimination of Geographical Origin for Astragalus Root (Astragalus membranaceus)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and Near-Infrared Spectroscopy)

  • 김은영;김정현;이남윤;김수정;류미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818-824
    • /
    • 2003
  • 외국농산물의 국내 유입증가와 이에 따른 신속한 원산지 판별법 확립이 요구되는 가운데 최근 수입이 급증한 품목 중 하나인 황기를 선택, CE 및 NIRS를 이용하여 분석조건을 확립하고 원산지판별에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CE를 이용하여 분석 시 추출은 methanol: 0.1M phosphate buffer(pH 2.5)(3:7)를 사용하였으며 uncoated fused silica capillary$(50\;{\mu}m\;I.D.{\times}27cm)$를 이용하여 $45^{\circ}C$, 14 kV로 분석, 200 nm에서 검출하였다. 분석 buffer는 0.1 M phosphate buffer(pH 2.5)에 20% methoxy ethanol과 40 mM HSA를 첨가하여 사용하였으며, 8초간 pressure injection 하였다. Peak의 재현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시료 주입 전 분석 buffer를 1분간 분석 시와 같은 방향으로(F) 흘려주고 0.1 M phosphoric acid와 1 M sodium hydroxide는 각각 4분, 5분간 반대방향으로(R) 홀려주었다. 증류수를 다시 1분간 흘려주고(R) 분석 buffer로 2분간 평형화(F) 시킨 후 시료를 주입하였다. 이상의 조건으로 국내산(97점)과 수입(113점) 황기를 분석한 결과 전체 peak의 양상은 유사하였으나 약 $11{\sim}13$분에 용출되는 2개의 peak(peak am-1, am-2)의 면적 비율에서 차이가 나타나 국산은 peak am-2가 peak am-1의 약 4배인 반면, 수입 산은 10배로 나타나 원산지 판별이 가능하였으며, 약 80%의 편별율을 나타내었다. NIRS는 국산 및 수입산 황기 raw 스펙트럼의 2차 미분 스펙트럼 R값이 0.915로 비교적 안정된 값을 얻을 수 있었고, SEP는 약 14.3%로 나타났다. 이를 국산과 수입산 황기에 적용 시 전체 판별율이 약 97%로 비교적 높은 판별율을 보였다. 또한 NIRS로 판별이 불가능한 시료가 CE로는 판별이 가능하여 이 두 기기를 함께 사용 시 상호보완하여 신속 정확한 원산지 판별법의 개발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전력품질 향상을 위한 전력품질 진단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Power Quality Diagnosis System for Power Quality Improvement)

  • 서장철;정주환;이진호;최종웅;원동준;문승일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력기술부문
    • /
    • pp.221-223
    • /
    • 2002
  • 최근 정보통신산업의 발전 및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정보통신기기, 정밀제어기기 등의 보급이 확산되면서 안정적이면서도 신뢰성을 갖춘 양질의 전력에 대한 수용가 측의 관심 및 요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이에 파라 전력품질 모니터링. 진단 향상 시스템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LG산전과 서울대학교가 공동 개발한 전력품질 모니터링 시스템에 연계되어 전력품질 오염위치 추정, 오염원 판별 통계적 추이 분석, 전력품질 인덱싱, 확률론적 분석을 수행하는 전력품질 진단시스템에 대해 소개한다. 전 세계적으로 상용화되어 있는 전력품질 진단시스템을 살펴보고, 현재 LG산전과 서울대학교가 공동 개발하고 있는 전력품질 진단시스템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해 소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