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계적물성

검색결과 1,702건 처리시간 0.037초

RDX 입도에 따른 NEPE계 추진제 특성 연구 (The Study on Properties of NEPE System Propellant to Size of RDX)

  • 장명욱;김태규;한해지;윤재호;손현일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7년도 제48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972-977
    • /
    • 2017
  • 고체 추진기관의 불량 발생 요인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추진제 기공 및 크랙은 추진제의 점도와 물성이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혼합형 고체 추진제의 한 종류인 나이트레이트 폴리이서(Nitrate Ester Polyester; NEPE)계열의 추진제에서 주로 사용되는 RDX의 입도 및 혼합 함량에 따른 추진제 점도, 기계적 물성 및 연소특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RDX 입도와 혼합 함량에 따라 미경화 추진제의 경시적 점도가 크게 변화가 되었으며, 이에 따른 추진제 물성 또한 변화가 있었다. 추진제의 낮은 점도와 안정된 기계적 물성을 동시에 고려할 때, RDX의 입도 및 혼합 함량은 NEPE계 추진제의 주요 인자로 확인할 수 있다.

  • PDF

폐타이어 분말과 고밀도 폴리에틸렌 복합재료의 기계적 물성 (Mechanical Properties of Composites of HDPE and Recycled Tire Crumb)

  • 곽성복;최미애;이성재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6권1호
    • /
    • pp.22-29
    • /
    • 2001
  • 폐타이어를 재활용할 목적으로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수지에 폐타이어 분말을 10-60wt%의 비율로 블렌딩하여 복합재료를 제조하였고, 폐타이어 분말 조성에 따른 인장강도, 파단 신장률, 인장 탄성률,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상용화제로 ethylene-acrylic acid(EAA) 공중합체를 10phr 첨가하여 물성 변화를 측정하였고, 이 때 향상된 충격강도를 나타내는 폐타이어 분말 조성 40wt%에 대해 EAA 공중합체 첨가량을 5-15phr로 바꾸어 가며 물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폐타이어 분말의 조성이 증가했을 때 대부분의 기계적물성은 순수 HDPE에 비해 감소하였지만, 충격강도는 대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상용화제인 EAA 공중합체를 첨가한 경우 충격강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그 밖의 물성은 그다지 향상되지 않았다. 특히, 폐타이어 분말 30wt% 이상의 조성에서는 충격강도에 대한 상용화제의 첨가 영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반면, 폐타이어 분말의 입자 크기에 따른 복합재료의 충격강도는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 PDF

PVC 스크랩의 재활용 촉진을 위한 기계적 물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chanical Properties for Recycling of PVC Scraps)

  • 계형산;이용무;한재명;홍석원;김영수;이동현;배종욱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4권6호
    • /
    • pp.45-53
    • /
    • 2015
  • 수명이 다하거나 용도 폐기에 의해 버려지는 PVC 스크랩은 분쇄 후 저급 제품으로 재생산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발생 원인별 물성에 관한 연구가 적은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의복용, 파이프 및 이음관류, 프로파일, 다양한 경질 PVC 등 수명이 다하여 발생되는 폐 PVC 스크랩을 신재 수지에 투입하되 투입되는 스크랩 함량의 변화에 따른 물성을 관찰하였다. PVC 스크랩의 기계적 물성은 스크랩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인장강도 및 충격강도가 모두 낮아지는 결과를 나타났다. 충격강도는 Cloth insert scrap (CC) > PC (Pipe scrap) > RC (Rigid scrap), 인장강도는 PC > CC > RC, Vicat 연화온도는 경향성이 없음을 나타냈으며, CC 소재는 스크랩 함량이 50 phr일 때 신재 PVC 기계적 물성의 80 %에 이르는 물성을 나타내었고, PC 소재는 스크랩 함량이 50 phr일 때 신재 PVC 인장강도의 50 %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젤리의 기계적 및 관능적 물성 (Instrument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Jelly)

  • 이태휘;이윤형;유명식;이규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36-340
    • /
    • 1991
  • 시판되고 있는 7종의 젤리를 가지고 rheometer를 사용하여 저작실험을 한 결과 관능적 물성인 hardness 및 shortness와 가장 상관제수가 높은 기계적 물성은 maximum force로서 2900-3136($10^3\;dyne$) 범위에서 적당하다고 나타났으며 또한 stickiness는 adhesiveness force와 관능적인 물성 springiness는 기계적 물성값 springiness로 예측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합평가와의 회귀식에서 얻은 적당하다고 계산된 값과는 약간의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종합평가와 결정계수가 가장 높은 기계적 물성은 cohesiveness이었다. 종합평가와 각 기계값과의 관계에서 종합평가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기계값은 cohesiveness, adhesiveness force로 이들의 결정계수는 각각 0.93, 0.89이었으며 종합평가를 종속변수로 하고 cohesiveness 및 adhesiveness를 독립변수로 하여 multiple linear regression 한 결과 종합평가=2.70+6.25(cohesiveness) -0.095(adhesiveness)의 상관식을 얻었으며 이 때의 중상관계수 0.94이었다.

  • PDF

소형 IoT 기기 제작을 위한 FDM 프린팅 공정에서의 내부채움에 따른 물성치 변화 연구 (A Study for the Mechanical Properties with Infill Rate in FDM Process to Fabricate the Small IoT Device)

  • 안일혁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75-80
    • /
    • 2020
  • 최근의 IoT 센서의 소형화와 센서의 소형화로 인하여 다른 센서 및 구조물들과의 간섭 및 견고성을 고려하여 더욱 복잡해 지고 있다. 최근 3D 프린팅 기술은 센서 직접 제작이나, 센서 소자를 포함하는 기구를 만드는 분야에 다양하게 적용이 되고 있다. 그 중에서, fused deposition modeling(FDM) 기술은 장비 및 소재의 가격이 상당히 저렴하며, IoT 기기의 제작이 활용이 가능한 가장 유력한 기술중에 하나이다. 그런 FDM 프린팅 기술은 플라스틱 소재 기반의 필라멘트를 녹여서 적층하여 3D 형상을 만들어 내는 기술이며, 최근에 특허 종료와 아울러 오픈 소스 기반의 저가형 프린터가 개발됨으로 일반인들에게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런 FDM 기술을 이용하여 출력된 출력물에 있어서 기계적 물성치는 소재의 종류와 다양한 공정 변수들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그 중에서도 내부 채움(infill)은 기계적 물성치에도 큰 영향을 주면, 출력 시간에도 영향을 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내부 채움과 기계적 물성치 및 출력 시간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여, 기계 기구물을 제작할 때 출력 시간과 기계적 물성치를 고려한 최적의 내부 채움 조건 선정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시된 방법을 증명하고자, 다른 공정은 모두 고정하고, 내부 채움 조건만을 변경한 인장 시편을 제작하고, 제작된 시편을 인장 실험을 통하여 내부 채움에 따른 출력물의 기계적 물성치를 비교 분석하였다.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와 폴리락타이드 복합체에서 특수 상호작용력의 도입과 기계적 물성

  • 이준근;이원기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529-53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생체 적합성이 뛰어난 HA와 생분해성고분자인 PLLA와의 낮은 혼합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HA를 화학적으로 개질하여 PLLA와의 특정 상호 작용력을 부여함으로서 HA/PLLA 복합체의 기계적 물성을 높이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TGA분석으로부터 개질된 HA은 6wt% lactic acid 와 7 wt% DLA가 반응하였으며 HA에 비하여 유기용매에 대한 분산안정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매-비용매 방법으로 제조된 HAAD/PLLA 복합체는 DSC측정으로부터 개질된 HA의 DLA 사슬과 PLLA의 LLA사이에 스테레오 콤플렉스를 형성에 의하여 HA가 PLLA사이에 균일하게 분산되었고 상분리 구조의 미개질 HA/PLLA 복합체에 비하여 기계적 물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사출성형법으로 제작된 MWNT/PMMA 복합재의 기계적 물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chanical Properties of MWNT/PMMA Nanocomposites Fabricated by Injectiion Molding)

  • 이원준;이상의;김천곤
    • Composites Research
    • /
    • 제17권4호
    • /
    • pp.47-52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사출성형법과 용매를 이용한 필름 캐스팅 방법을 혼용하여 MWNT/PMMA 나노복합재료의 제작방법을 확립하였다. 본 제작법을 이용하여, PMMA 모재 내에서 MWNTs의 분산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고 또한 분산상을 유지하면서 복합재료를 제작할 수 있었다. 제작된 복합재료의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였고, 주사현미경 사진을 이용하여 파단면에서의 분산도를 확인해 보았다. 아울러 계면활성제가 MWNTs의 분산도 향상 및 기계적 물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카본블랙 표면의 산-염기 특성변화가 카본블랙/EPDM 복합재료의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id-Base Characteristics of Carbon Black Surfaces on Mechanical Behaviors of EPDM Matrix Composites)

  • 박수진;강진영;홍성권
    • 폴리머
    • /
    • 제29권2호
    • /
    • pp.151-155
    • /
    • 2005
  • 카본블랙의 산-염기 표면처리에 따른 카본블랙/고무 복합재료의 기계적 물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산-염기 표면처리에 의한 카본블랙 표면특성은 pH,표면 산${\cdot}$염기도와 표면자유에너지를 통해 알아보았으며, 카본블랙/고무 복합재료의 기계적 물성은 가교밀도$(V_e)$와 인열에너지(T) 등을 통해 살펴보았다. 카본블랙을 산성용액으로 처리한 경우는 표면자유에너지의 극성 요소$({\gamma}s^{sp})$증가로, 카본블랙/고무 복합재료의 기계적 물성이 감소하였다. 반면에, 염기성 용액으로 처리한 경우는 산성 용액으로 처리한 경우 또는 표면처리를 시행하지 않은 경우보다 표면자유에너지의 비극성 요소$({\gamma}s^L)$ 증가와 충전제-고무의 상호작용 증가로 인하여 카본블랙/EPDM 복합재료의 가교밀도와 기계적 물성이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산-염기 표면처리에 의한 카본블랙의 표면특성이 고무 매트릭스 복합재료의 물리적 거동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자전거 프레임용 원추형 복합재 튜브의 굽힘 거동 분석 (An Evaluation on Bending Behaviors of Conical Composite Tubes for Bicycle Frames)

  • 황상균;이정우;황희윤
    • Composites Research
    • /
    • 제29권6호
    • /
    • pp.358-362
    • /
    • 2016
  • 원추형 복합재 튜브는 우주 항공, 비행체, 잠수함 등 큰 구조물뿐만 아니라 자전거 프레임, 낚시대, 골프채 등 레저용품에도 적용이 되면서 정적-동적 거동에서의 기계적 물성 예측의 중요한 연구 분야로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원추형 복합재 튜브의 기계적 물성 예측은 진동, 굽힘, 좌굴에 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복합재료의 섬유 배향 각이 일정하다고 가정하고 기계적 거동을 분석한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섬유 배향 각이 원추형 복합재 튜브 구조물의 기계적 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섬유 배향 각을 고려한 원추형 복합재료 튜브의 정적 거동에 따른 기계적 물성을 예측하기 위해 수식을 도출하고, 자전거 프레임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설계 파라메터의 영향을 고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