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긍정적 자아개념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3초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 학업 열정 및 과학 긍정 경험과 과학적 창의성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cademic Passion, Positive Experience about Science and Scientific Creativity in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 강훈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2권3호
    • /
    • pp.455-466
    • /
    • 2023
  • 이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 학업 열정 및 과학 긍정 경험과 과학적 창의성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 3~6학년 과학영재 학생 108명을 선정하여 과학 학업 열정 검사, 과학 긍정경험 검사, 과학적 창의성 검사를 실시한 뒤,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대상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 학업 열정과 과학 긍정 경험은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지만, 과학적 창의성은 비교적 높지 않은 수준이었다. 과학 학업 열정 전체는 과학적 창의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없었지만, 5가지 하위 영역(중요함, 좋아함, 시간/에너지 투자, 조화열정, 강박열정) 중 '강박열정'에서는 과학적 창의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과학 학업 열정의 5가지 하위 영역, 특히 '좋아함', '조화열정', '강박열정'은 과학적 창의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과학 긍정 경험의 5가지 하위 영역(과학 학습 정서, 과학 관련 자아개념, 과학 학습 동기, 과학 관련 진로 포부, 과학 관련 태도)은 과학적 창의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없었을 뿐만 아니라, 과학적 창의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또한 과학 학업 열정 전체와 과학 긍정 경험 전체는 과학적 창의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이 없었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였다.

클립형 콘텐츠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수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th Instruction Using Clip-Type Contents on Elementary Students' Mathematical Learning)

  • 김연경;오영열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57-377
    • /
    • 2014
  • 본 연구는 클립형 콘텐츠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학업성취도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관악구에 소재한 S초등학교의 4학년 2개 반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실험 수업을 실시한 후 사전 사후 학업성취도 및 검사를 실시한 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클립형 콘텐츠를 수학 수업에 적용하였을 때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기 위해서 질적 관찰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클립형 콘텐츠를 활용한 수학 수업은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클립형 콘텐츠를 활용한 수학 수업은 수학적 태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는데, 특히 '교과에 대한 자아개념', '교과에 대한 태도'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클립형 콘텐츠를 적용한 수학 수업에 대한 질적 관찰 결과, 클립형 콘텐츠를 활용한 수학 수업은 문제 해결력 향상,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 신장, 수학 학습 동기 유발, 효과적인 발문 유도, 다양한 교육 내용 활용, 학습 공간의 확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 PDF

고령운전자의 이동성(Mobility)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The Relation between Mobility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derly drivers)

  • 장혜란 ;박선진 ;이순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5권2호
    • /
    • pp.251-271
    • /
    • 2009
  • 본 연구는 이동행동 뿐만 아니라 이동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심리적·신체적 기제를 포함하여 이동성의 개념을 포괄적으로 측정하였다. 그리고 고령운전자를 대상으로 고령운전자의 이동성이 그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 1에서는 만 20세 이상의 운전자 207명을 대상으로 이동성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이동성은 안전운전능력, 이동감소, 사회활동, 상황적응능력이라는 4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2에서는 만 65세 이상의 고령운전자 91명을 대상으로 이동성 질문지와 심리적 안녕감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고령운전자는 일반운전자에 비해 안전운전능력, 상황적응능력이 낮게 나타났으나, 이동감소와 사회활동은 높게 나타났다. 고령운전자의 이동성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고령운전자의 이동수준이 높아질수록 더 행복하고 만족스런 삶을 살고 있었다. 특히, 안전운전능력, 사회활동, 상황적응능력의 점수가 높을수록 더 행복하고 만족스런 삶을 살고 있었다. 고령운전자의 이동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안전운전능력은 자율성과 자아수용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동감소는 자아수용과 긍정적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쳤다. 사회활동은 자아수용, 환경지배력, 긍정적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상황적응능력은 자율성과 환경지배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이 자아탄력성과 정서조절능력 및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eschool Infants' Self-elasticity on Emotional Control, Empathy, and Teacher Efficacy)

  • 최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586-59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이 자아탄력성과 정서조절능력 및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I 소재지의 W대학교 유아교육과 대학생 2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 24.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은 자아탄력성과 정서조절능력 및 공감능력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각의 하위변인에 있어서 자아탄력성에는 긍정성에 정서조절능력에는 자기정서조절능력에 그리고 공감능력에는 인지적 공감능력에 가장 큰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이 자아탄력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변인 중 일반적 자아개념, 자기책임, 개인적인 성실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이 정서조절능력에 있어서는 개인적인 성실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존중감이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자기주장이 공감능력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볼 때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중요성을 재인식하게 되었으며, 교육과정에 있어서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육활동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는 사료가 된다.

지속적 쇼핑동기로서의 개인가치가 할인점 점포연상 평가와 단골의도에 주는 계층적 영향 (The Effects of Personal Values as Enduring Shopping Motives on Attribute Evaluation and Re-patronage Intention to a Discount Store)

  • 구동모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6권1호
    • /
    • pp.45-71
    • /
    • 2006
  • 본연구는 대구 북구에 입지한 테스코 홈플러스, 까르푸, 이마트 고객 287명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 결과를 구조방정식 모형에 대입해, 개인가치가 할인점 점포연상과 할인점 충성도에 주는 인과적 영향관계를 고찰한다. 연구 결과, 개인의 사회소속가치는 점포분위기 연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실현가치는 판매후서비스와 종업원서비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심층 지각개념임을 보여준다. 또 할인점 단골의도에 대해 점포접근성이 가장 큰 영향을 주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실내디자인, 종업원서비스 연상 순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관리적 시사점과 함께 연구단점이 연구 마지막 부분에 논의되고 있다.

  • PDF

상호 또래교수 활동 과정에서 수학 학습부진학생의 정의적 영역 변화 사례 분석 (A Case Study on the Affective Change of Underachieving Students in Mathematics During Reciprocal Peer Tutoring)

  • 김기윤;이봉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221-240
    • /
    • 2019
  • 연구의 목적은 수학 학습부진학생의 수업 결손을 보충하고 학생에게 성공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상호 또래교수 전략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학 학습부진학생을 수학 성취도가 중학교 단계까지 학교에서 중 수준 이상이고 고등학교에 진학하여 상대적으로 낮아진 학생으로 정의하고, 수학 학습부진학생 4명을 대상으로 상호 또래교수 활동 과정에서 나타나는 정의적 영역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상호 또래교수 활동의 장점 및 역할을 살펴보았다. 상호 또래교수 활동은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 및 사전 훈련을 포함하여 약 3개월에 걸쳐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상호 또래교수 활동은 전반적으로 수학 학습부진학생의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연구에 참여한 4명의 학생이 모두 동일한 양상의 변화를 보이지 않고 학생별로 긍정적인 변화의 하위 요소가 다르게 나타났지만, 상호 또래교수 활동은 모든 학생에게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실험실습법에 의한 수행평가가 중학생의 과학성취도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Performance Assessment Based on the Experimental Practice on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and Affective Domain in the Middle School Science)

  • 이지현;남정희;문성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6-74
    • /
    • 2003
  • 이 연구는 현재 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수행평가 가 중학생들의 과학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수행평가의 다양한 방법 중에서도 과학과에서 가장 많이 실시되고 있는 실험실습법에 의한 수행평가의 방법이 중학교 과학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로부터 볼 때, 과학성취도의 평균이 동질한 두 집단에서 수행평가를 적용한 실험집단의 과학 성취도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특히 사전 과학성취도가 중, 하위권인 학생들의 과학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상위권 학생은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성적이 약간 향상되었다. 정의적 영역에서는 실험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에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실험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긍정적으로 변화를 보인 반면, 비교집단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부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였다. 정의적 영역에 대한 실험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를 비교에서 정의적 영역의 하위요소 중 자아개념과 학습습관의 변화는 유의미하게 상승하였으며, 학습에 대한 태도의 변화에는 효과가 없었다. 실험집단의 과학성취도가 상 중 하인 집단 별 정의적 영역점수의 향상정도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고,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비교분석에서는 정의적 영역의 하위요소 중 학습에 대한 태도에서 중, 하위권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으며, 학습습관에 있어서는 하위권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과학과에서 실험실습법에 의한 수행평가의 실시가 중학생들의 과학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의 향상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성적이 중, 하위권인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천문 교구를 활용한 HTE-STEAM 별자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시공간 개념을 통한 미래 사회 핵심역량 함양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HTE-STEAM Constellation Education Program Using Astronomical Teaching Aid: Focused on Cultivating Core Competencies for Future Society through the Concept of Space and Time)

  • 조아라;김용기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4-48
    • /
    • 2024
  • 세계적으로 역량중심 교육이 주목됨에 따라, 교육부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창의융합형 인재가 갖춰야 할 미래 사회 핵심역량 6가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미래 사회 핵심역량을 함양하고, 천문 영역 실험·실습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HTE-STEAM 별자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그 효율성을 파일럿 테스트를 통해 확인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학교 밖 교육 현장인, 충청북도 청주시 소재의 G 도서관에서 초등 3~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HTE-STEAM 별자리 교육 프로그램은 STEAM 태도 검사의 '자아 개념'을 제외한 모든 구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이공계 진로선택', '배려', '소통'에서 높은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미래 사회 핵심역량 중 '창의적 사고 역량'과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의 함양에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둘째, HTE-STEAM 별자리 교육 프로그램은 시공간이라는 어려운 개념을 다루었으나, 수업 내용의 난이도가 쉽다고 응답한 학생들이 많고, 배운 공간개념을 응용하여 교구를 활용한 것으로 보아, 학생들의 하늘과 우주의 공간 구조에 대한 이해에 효과적이었다. 덧붙여, 본 프로그램은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가된 하늘의 공간적 구조에 대한 성취기준을 충족하는 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HTE-STEAM을 기반으로 한 별자리 교육 프로그램은 미래 사회 핵심 역량의 함양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며, 학교 환경에서 천문 영역의 야간 관측 실습을 보완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발달학적 측면에서의 효(孝)의 기능과 의미 (MEANINGS AND FUNCTIONS OF HYAO IN DEVELOPMENTAL PERSPECTIVE)

  • 홍강의;박선자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권1호
    • /
    • pp.176-182
    • /
    • 1991
  • 한국의 전통사상중에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효(孝)의 개념과 기능을 발달학적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효(孝)란 부모-자녀의 상호의존적인 관계로서 사랑을 주고 받는 애착의 관계로 볼 수 있으며, 공격성을 적절히 조절하고 oedipus complex를 해결하는 기능이 있고, 자녀는 부모를 존경하는 한편 부모는 자녀에게 긍정적 동일시(positive identification)의 model이 되어 자녀로 하여금 자아를 실현하도록 도와주는, 일생을 통해 인격형성 전반에 걸쳐 영향을 주는 역동의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겠다.

  • PDF

다문화가정 아동의 심리적 적응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의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for Psychological Adaptation of Children within Multicultural Families)

  • 김현옥
    • 산업진흥연구
    • /
    • 제5권1호
    • /
    • pp.63-72
    • /
    • 2020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성장과정에서 필요한 심리적 적응에 집단미술치료가 필요하다고 보며, 집단미술치료를 연구하여 그 효과를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아동은 미술작업경험과 연구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점차 자유롭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었으며, 자신의 감정과 생각 그리고 내면의 욕구를 미술적 표현을 통해 객관화하고 수용 및 해소하는 경험을 하였다. 둘째, 다문화가정 아동은 능동적인 자기표현, 자발성, 정서표현을 촉진하는 비구조적인 집단미술치료 환경가운데 자신에 대해 새롭게 인식할 수 있었으며, 점차 능동적인 태도 즉, 자발성을 회복하는 경험을 하였다. 셋째, 다문화가정 아동은 집단미술치료 경험의 과정에서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키울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미술치료가 갖고 있는 고유의 독특한 측면들을 통해 다문화가정 아동의 심리적 적응에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아동에게 서로 언어만으로는 할 수 없었던 방식으로 이야기를 나누는 장을 마련해 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