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급성간염

Search Result 81, Processing Time 0.013 seconds

간염 virus(1)

  • 서진혜;박병채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 no.3
    • /
    • pp.163-173
    • /
    • 1992
  • 간염바이러스들은 이들의 virology 및 임상적 특징들에 따라 A형, B형, C형, D형 및 E형으로 분류되며, A형 및 E형은 미개발국가들의 약년층에서 흔히 발생하는 급성간염의 원인으로 알려져 왔으나 만성간염 또는 간세포 암의 원인은 되지 않음으로 B형 및 C형에 비해 임상적인 의의는 적다. B형 바이러스는 급성간염 및 간세포 암의 가장 중요한 원인이며 전세계 인구 중에서 3억가량이 HBV에 감염되어 있고 이들의 75%가 아시아인인 것으로 밝혀져 있다. C형 바이러스는 최근에 비A형, 비B형 간염바이러스에 의한 간염의 중요한 원인으로 밝혀졌으며 구미 및 일본에서는 만성간염 및 간세포암의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도 간주되고 있다. D형 간염바이러스는 지중해 연안국가, 북아프리카 및 중동국가들에서 HBV에 의해 이미 감염되어 있는 환자들을 침범함으로써 HBV에 의한 급성 및 만성간염을 악화시키나 HDV 단독으로는 간염의 원인이 될 수는 없다고 알려져 있다. 본지에서는 한국인에게서 임상적인 의의를 갖는 HBV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 PDF

A Case of Hepatitis Developing after Open Heart Surgery used Halothane Anesthesia (개심술 마취후 발생한 급성간염 1례)

  • Koo, Bon-Up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v.5 no.2
    • /
    • pp.183-187
    • /
    • 1988
  • Although halothane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inhalation anesthetics, it may cause postanesthetic complications such as halothane hepatitis. Halothane hepatitis has been reported intermittentely with variable incidence. However it is not easy to prove halothane as a causative agent, because there are many factors causing postoperative hepatic dysfunction. The author had a case of acute hepatitis developing after open heart surgery used halothane. 37-year-old female underwent an open heart surgery for ASD repair under halothane anesthesia On the 14th postoperative day, she developed high fever of 38 C. Liver function tests showed marked elevation of SGOT, SGPT, and bilirubin, followed by gross jaundice. HB, Ag(-) and HB, Ab(+) were reported. She died of acute respiratory, hepatic, and renal failure on the 19th postoperative day Possible causes of the hepatitis were considered halothane, blood transfusion, and drugs.

  • PDF

특이성 떨어지는 진단시약의 문제점 해결

  • Korea Invention Promotion Association
    • 발명특허
    • /
    • v.31 no.4 s.358
    • /
    • pp.54-56
    • /
    • 2006
  • 현재 병원 및 의원에서는 GOT, GPT 등의 간 질환 진단시약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것들은 특이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초기 염증 및 급성간염 진단에 있어서는 유용할 지 모르나 만성간염, 간경변, 간암에 있어서는 수치가 정상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어 오진 및 의료분쟁의 원인이 되기도 하 는 등의 치명적인 오류를 안고 있다. 이렇듯 간의 초기 염증 및 급성간염 진단만 가능하던 현재의 간질환 진단시약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만성간염, 간경변, 간암 등까지도 확실하게 구별할 수 있음은 물론 간질환의 진행상태까지도 판단할 수 있는 세계 유일의 제품을 개발하게 되었다. 이는 간경변, 간암의 경우 9 6 %의 높은 판정비율을 나타낸다.

  • PDF

Acute Exacerbation with Severe Jaundice in Chronic Hepatitis B Patient (만성 B형 간질환 환자에서 심한 황달을 동반한 급성 악화)

  • Lee, Heon-Ju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v.14 no.2
    • /
    • pp.483-496
    • /
    • 1997
  • 만성 B형 간염의 경과중 흔히 볼 수 있는 간기능의 이상은 대부분 심한 황달의 동반없이 혈청 AST와 ALT의 증가만 보이면서 악화되는 것이다. 저자는 심한 황달을 동반한 16명의 만성 B형 간염 악화 환자(연구군)와 심한 황달없이 AST와 ALT치만 증가된 13명의 환자(비교군)를 비교관찰하였다. PMC 제재를 복용했던 환자는 연구군에서 11명(68.8%), 대조군에서 1명(7.7.%)으로 나타났으며 PMC를 포함하여 각종 약제 및 알콜 섭취가 저명했던 환자가 연구군에서 15명(93.8%), 대조군에서는 2명(15.4%)이었다. 혈청 HBeAg 양성율은 급성 악화전에는 연구군에서 14명 중 7명(50.0%), 비교군에서는 13명 모두 (100%)에서 양성이었으며, 급성 악화 경과후에는 연구군에서는 변함없었고 비교군에서는 13명중 3명(23.1%)에만 양성이었다. 연구군 중 anti-HBe 양성화는 한 사람도 생기지 않았고 6명이 사망하였으며 대조군에서는 8명의 환자에서 anti-HBe 양성화가 생겼고 아무도 간기능 부전으로 사망하지 않았다. 만성 B형 간질환에서 심한 황달을 동반한 급성 악화와 관련있는 요인은 진행된 만성 활동성 간염, 간경변 등 근본적으로 진행된 간기능 저하와 동반된 부적절한 약제나 알콜 복용이 확실히 관계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간기능 부전도 그리 드물지 않다. 반면에 간경변으로 진행되기 전 상대적으로 진행이 덜 된 비교군의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는 황달의 저명한 증가없이 간기능이 갑자기 악화될 때는 자연적인 혈청 anti-HBe 양성전환의 동반이 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cute Exacerbation with Severe Jaundice in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만성 B형 간질환 환자에서 심한 황달을 동반한 급성 악화)

  • Lee, Heon-Ju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v.14 no.2
    • /
    • pp.329-336
    • /
    • 1997
  • 만성 B형 간염의 경과중 흔히 볼 수 있는 간기능의 이상은 대부분 심한 황달의 동반없이 혈청 AST와 ALT의 증가만 보이면서 악화되는 것이다. 저자는 심한 황달을 동반한 16명의 만성 B형 간염 악화 환자(연구군)와 심한 황달없이 AST와 ALT치만 증가된 13명의 환자(비교군)를 비교관찰하였다. PMC 제재를 복용했던 환자는 연구군에서 11명(68.8%), 대조군에서 1명(7.7%)으로 나타났으며 PMC를 포함하여 각종 약제 및 알콜 섭취가 저명했던 환자가 연구군에서 15명(93.8%), 대조군에서는 2명(15.4%)이었다. 혈청 HBeAg 양성율은 급성 악화전에는 연구군에서 14명 중 7명(50.0%), 비교군에서는 13명 모두(100%)에서 양성이었으며, 급성 악화 경과후에는 연구군에서는 변함없었고 비교군에서는 13명 중 3명(23.1%)에서만 양성이었다. 연구군 중 anti-HBe 양성화는 한 사람도 생기지 않았고 6명이 사망하였으며 대조군에서는 8명의 환자에서 anti-HBe 양성화가 생겼고 아무도 간기능 부전으로 사망하지 않았다. 만성 B형 간질환에서 심한 황달을 동반한 급성 악화와 관련있는 요인은 진행된 만성 활동성 간염, 간경변 등 근본적으로 진행된 간기능 저하와 동반된 부적절한 약제나 알콜 복용이 확실히 관계있을 것으로 사료되면 간기능 부전도 그리 드물지 않다. 반면에 간경변으로 진행되기 전 상대적으로 진행이 덜 된 비교군의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는 황달의 저명한 증가없이 간기능이 갑자기 악화될 때는 자연적인 혈청 anti-HBe 양성 전환의 동반이 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행복+건강한 마음 - 모든 병의 타깃, 만성질환 - '당신의 간은 안녕하십니까?' 바르게 알아야 만성 간질환도 다스릴 수 있다

  • Lee, Hyeon-Ung
    • 건강소식
    • /
    • v.35 no.1
    • /
    • pp.16-17
    • /
    • 2011
  • 최근에 국내에서 사회적인 문제가 되었던 급성 A형 간염은 염증이 생긴지 1~6개월 이내에 회복되는 질환이다. 그러나 A형 간염과는 달리 염증이 6개월 이상 낫지 않고 지속되는 경우를 만성간염이라 정의한다. 만성간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 PDF

A Clinical Study of HBV Markers in Various Liver Diseases Carriers and Controls (간기능 검사상 이상을 보인 환자에서의 HBV 표식자 발현 양상)

  • Choi, Jung-Kyu;Lee, Yong-Won;Choi, Jin-Myung;Chung, Moon-Kwan;Lee, Heon-Ju;Kim, Chong-Suhl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v.2 no.1
    • /
    • pp.211-220
    • /
    • 1985
  • Serum HBsAg, AntiHBs, HBeAg, AntiHBe and AntiHBc were detected by radioimmunoassay in 39 patients with acute viral hepatitis, 79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30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16 patients with primary hepatocellular carcinoma, 14 patients of HBsAg carriers and 129 cases of controls:78 cases of normal level of SGOT, SGPT, and 51 cases of elevated level of SGOT, SGPT.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HBsAg was detected in 66.7% of acute viral hepatitis, 63.3% of chronic hepatitis, 36.7% of liver cirrhosis, 81.3% of primary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27.1% of controls. 2. AntiHBs was positive in 0% of acute viral hepatitis, 21.5% of chronic hepatitis, 36.7% of liver cirrhosis, 31.3% of primary hepatocellular carcinoma, 0% of carrier and 44.2% of controls. 3. HBeAg was detected in 45.6% of chronic hepatitis, 23.3% of liver cirrhosis and 31.3% of primary hepatocellular carcinoma. 4. Among chronic liver diseases, antiHBe was positive in 56.3% of primary hepatocellular carcinoma, 23.3% of liver cirrhosis and 20.3% of chronic hepatitis. 5. AntiHBc was detected in most of all examines and the significance of presence of AntiHBc does not seem to represent liver disease itself but the evidence of infection of HBV. 6. Among 14 HBV carriers, 6 cases presented with abnormal SGOT, SGPT. 7. All HBV markers were negative in 5.1% of acute viral hepatitis, 5.1% of chronic hepatitis and 14.7% of controls: 17.6% of subjects with abnormal SGOT, SGPT and 12.8% of subjects with normal SGOT, SGPT. 8. Beside of HBV, other causes, such as non A, non B virus, Delta-agent, other viruses or related factors should be excluded among the patients with evidence of HBV infection associated with elevation of SGOT & SGPT.

  • PDF

Two Patients of Acute Liver Damage following the Ingestion of a Sea Hare Eggs (군소 알을 섭취한 후 발생한 급성 독선간염 2예)

  • Lee, Won-Jae;Lim, Hyun-Sul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30 no.2
    • /
    • pp.241-249
    • /
    • 2005
  • Herein, two patients of acute toxic hepatitis occurred to persons had eaten Aplysia kurodai and their eggs. The authors report 2 patients of acute toxic hepatitis with reviews of the clinical features. One patient had gathered Aplysia kurodai and it's eggs from Ulleungdo sea shore on May 17, 2003. He ate with boiling the eggs. This patient developed acute toxic hepatitis and symptoms of aplysianin poisoning, such as abdominal pain, nausea, vomiting and watery diarrhea about 10 and half hours after ingestion. The other patient had gathered Aplysia kurodai and its egg from Ulleungdo sea shore on 16 May 2004, which were consumed without boiling the eggs. This patient developed acute toxic hepatitis and symptoms of aplysianin poisoning, such as abdominal pain, nausea, vomiting and watery diarrhea, about 10 and half hours after ingestion. This patient complained of jaundice and pruritus, about 10 days after ingestion. The 2 patients all improved within 15~25 days with conservative treatment. This is the first significant report of acute toxic hepatitis caused by aplysianin poisoning following the consumption of Aplysia kurodai and their eggs in Korea. The clinical features, management and preventive counterplan of acute toxic hepatitis caused by aplysianin poisoning are also presen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