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금호강유역

Search Result 10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Spatio-temporal Change Detection of Forest Landscape in the Geumho River Watershed using Landscape Metrics (경관메트릭스를 이용한 금호강 유역 산림경관의 시·공간적 변화탐지)

  • Oh, Jeong-Hak;Park, Kyung-Hun;Jung, Sung-Gwan;Lee, Jong-W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8 no.2
    • /
    • pp.81-9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applicability of landscape metrics for quantifying and monitoring the landscape structure in the Geumho River watershed, which has undergone heavy environmental disturbances. Landscape metrics were computed from land cover maps(1985, 1999) for the forest patches. The number of variables were reduced from 12 metrics to 3 factors through factor analysis. These factors accounted for above 91% of the variation in the original metrics. We also determined the relative effects of land development on the changes of forest landscape structure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t the forest patches, the conversion of forest to urban areas and agriculture resulted in increased fragmentation. Patch area and patch size decreased. and patch density increased as a result of the conversion of forest to agriculture($R^2=0.696$, p<0.01). The heterogeneity of patch size and complexity of patch shape mainly decreased as a result of the conversion of forest to urban areas($R^2=0.405$, p<0.01). The density of core area and edge showed the tendency increase, but there was no relationship with the conversion of forest to urban area and agriculture The future research will be needed to analyze correlations between landscape structures and specific environmental and socioeconomic landscape functions.

  • PDF

Utilizing th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RUSLE) Technique Comparative Analysis of Soil Erosion Risk in the Geumhogang Riparian Area (범용토양유실공식(RUSLE) 기법을 활용한 금호강 수변지역의 토양유실위험도 비교 분석)

  • Kim, Jeong-Cheol;Yoon, Jung-Do;Park, Jeong-Soo;Choi, Jong-Yun;Yoon, Jong-Hak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4 no.2_1
    • /
    • pp.179-190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risk of soil erosion before and after the maintenance of riparian area using th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RUSLE) model based on GIS and digitizing data. To analysis of soil erosion loss in the study area, land cover maps, topographical maps, soil maps, precipitation and other data were used. After digitizing the riparian area of the Geumhogang, the area is divided into administrative district units, respectively. Amount of soil loss was classified into 5 class according to the degree of loss. Totally, 1 and 5 class were decreased, and 2-4 class were increased. Daegu and Yeongcheon decreased the area of 5 class, and Gyeongsan did not have area of 5 class. The reason for this is thought to be the decrease of the 5 class area due to the park construction, expansion of artificial facilities, and reduction of agricultural land. Simplification of riverside for river dredging and park construction has increased the flow rate of the riverside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amount of soil erosion has increased.

Evaluation of flexible criteria for river flow management with consideration of spatio-temporal flow variation (시·공간적 유량 변화를 고려한 탄력적 하천관리 기준유량 산정 및 평가)

  • Park, Jung Eun;Kim, Han Na;Ryoo, Kyong Sik;Lee, Eul Ra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9 no.8
    • /
    • pp.673-683
    • /
    • 2016
  • An Idea to estimate flexible criteria for river water use permits was proposed that takes the spatio-temporal flow variation along the river into account, which was applied to the Keumho River, one of the tributary of the Nakdong River in Korea. This idea implies the temporal division of four periods with different criteria, combining flood/non-flood seasons and irrigation/non-irrigation periods, while a single one has been applied throughout the year in the current practice. Through flow regime analysis of daily natural flow simulations at Dongchon and Seongseo, the control points of the study area, Q355 and 1Q10 for non-flood and non-irrigation period, Q275 for non-flood and irrigation period, Q185 for flood and irrigation period were suggested respectively. So, those values that subtract instream flow were determined as the flexible criteria in each season. From the comparison of current practice and the proposed method, it was estimated that $10.6\;million\;m^3/year$ is available for more water use permits without additional development of water storage. Therefore, it is conceived that flexible criteria for river water use permission suggested i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improve the national policies for more efficient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the future.

Charactristics of Flood Hydrographs by Time Distribution of Rainfall (강우시간분포모형의 선정에 따른 홍수유출수문곡선 특성)

  • No, Hwang-Won;Choi, Hyun-Yl;Jee, Ho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546-1550
    • /
    • 2009
  • 최근 증가하고 있는 집중호우로 인해 피해 규모가 대형화 되어가고 있는 추세로 수공구조물 설계시 보다 정확한 수문분석을 요구 하고 있다. 강우의 시간분포는 정확한 수공구조물의 설계시 첨두홍수량 산정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의 기상학적, 지형학적 특성에 맞는 적절한 강우분포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금호강권역의 단시간 강우에 대한 시간분포형을 결정하기 위하여 기존 강우의 시간분포방법 중에서 개념상 비교적 단순하면서도 물리적으로 의미를 갖는 Mononobe분포, Yen & Chow분포, Keifer & Chu분포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대상지점은 금호강권역의 가창으로 재현기간 50년의 6시간, 24시간 강우의 시간적 분포특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6시간 확률강우량에서는 Mononobe 분포와 Keifer & Chu 분포의 첨두치가 비교적 크게 나타났고 24시간 확률강우량에서는 Keifer & Chu 분포의 첨두치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Yen & Chow 분포의 경우 6시간 강우의 첨두치에 비해 24시간 강우의 첨두치가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확률강우를 이용해서 홍수유출량을 분석한 결과 6시간, 24시간의 첨두홍수량은 Keifer & Chu 분포가 가장 크게 나오는 것으로 나타났고 첨두시간 역시 Keifer & Chu 분포가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다양한 설계강우의 시간분포 방법들이 실제 강우분포의 특성을 표현하고 있지만 이러한 방법들 중에서 실제로 유역에 가장 적합한 시간분포 방법을 결정하기란 어렵다. 하지만, 첨두홍수량 결정을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법들 중 그 지역을 가장 대표할 수 있는 강우분포 방법을 선택해야만 한다. 따라서 분석지점 이외의 다양한 실제 지점에 대해 설계홍수량을 산정해 봄으로써 다른 설계강우의 시간분포 방법을 이용하여 산정한 결과의 비교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arameter Estimation of VfloTM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by Areal Rainfall Calculation Methods - For Dongchon Watershed of Geumho River - (유역 공간 강우 산정방법에 따른 VfloTM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의 매개변수 평가 - 금호강 동촌 유역을 대상으로 -)

  • Kim, Si Soo;Jung, Chung Gil;Park, Jong Yoon;Jung, Sung Won;Kim, Seong J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55 no.1
    • /
    • pp.9-15
    • /
    • 2013
  •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arameter behavior of VfloTM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by applying 3 kinds of rainfall interpolation methods viz. Inverse Distance Weighting (IDW), Kriging (KRI), and Thiessen network (THI). For the 1,544 $km^2$ Dongcheon watershed of Nakdong river, the model was calibrated using 4 storm events in 2007 and 2009, and validated using 2 storm events in 2010. The model was calibrated with Nash-Sutcliffe model efficiency of 0.97 for IDW, 0.94 for KRI, and 0.95 for THI respectively. For the sensitive parameters, the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K_{sat}$) for IDW, KRI, and THI were 0.33, 0.31, and 0.43 cm/hr, and the soil suction head at the wetting front (${\Psi}_f$) were 4.10, 3.96, and 5.19 cm $H_2O$ respectively. These parameters affected the infiltration process by the spatial distribution of antecedent moisture condition before a storm.

Improving Water Balance Analysis Method for Water Supply and Demand Assessment (물수급 평가를 위한 물수지 분석 방법 개선)

  • Jeon, Kyeong Soo;Hwang, Ju Ha;Muhammad, Azam;Maeng, Seung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62-262
    • /
    • 2016
  • 최근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 여러 국가에서 지구온난화와 기상이변의 이유로 홍수 및 이상가뭄이 빈발하고 있다. 이러한 기상변화에 의한 물순환의 변동은 미래 가용수자원량을 변화시키고, 이에 따라 장래 용수공급역량을 예측하고 다양한 물수요에 대해 충족 가능여부를 파악하는 여러가지 방법들 중 물수급 분석은 장기수자원계획 수립의 핵심요소이자 그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금호강 유역을 대상으로 기존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 제시하고 있는 중권역단위 물수지 분석을 행정구역단위로 세분화하여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 사용했던 물수급 네트워크 모형인 K-WEAP 모형에 의한 물수지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중권역 단위 물수지 결과와 행정구역단위 물수지 결과를 비교하여 분석 기본 유역 단위에 따른 물수급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 적용 결과, 생공용수의 경우 최대갈수기에도 물부족이 발생하지 않았지만 농업용수의 경우는 포항시에서 시나리오별 2016년에는 $548,000m^3$, 2020년에는 $547,000m^3$, 2525년에는 $497,000m^3$ 물부족량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기존의 선행 물수급 전망 방법론을 적용한 경우와 비교했을 때는 다른 산정결과를 보여줌으로써 미래의 수자원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PDF

Construction of hydraulic flood prediction model for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 수계 수리학적 홍수예측 모형 구축)

  • Lee, Jae Yeong;Kim, Ji Sung;Kim, Tae Hyung;Choi, Kyu Hyun;Kim, Chang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94-394
    • /
    • 2020
  • 최근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슈퍼 태풍과 집중호우로 인해 크고 작은 침수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4대강 사업을 통해 주요 국가하천에 대한 정비를 마친 바 있으나 이후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하천 환경에 대한 홍수예측 모형의 반영은 미비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본류 및 지류의 최신 단면자료를 수집하여 수리학적 홍수예측모형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존의 모형에 비해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적용성을 검증하고 이를 반영한 수리학적 홍수예측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본류 및 주요 지류에 대한 최신 횡단면 측량자료를 활용하여 1차원 수리학적 홍수예측 모형을 구축하고 2012년 태풍 산바 사상에 대한 검보정을 실시하였다. 대상구간은 안동조정지댐으로부터 낙동강 하구둑 하류 8km지점이며, 상류단 경계조건은 안동조정지댐 방류량을 입력하고 하류단 경계조건은 가덕도 조위관측소의 조위를 활용하였다. 또한, 반변천, 내성천, 위천, 감천, 금호강, 황강, 남강 등 7개 지류에 대한 하도를 하도추적이 가능한 네트워크 모형으로 구축함으로써 지류에 대한 홍수예보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낙동강 본류의 하도 길이는 340km, 824개의 단면으로 구성하였으며, 지류를 포함한 전체 하도 길이는 572km, 1,570개의 단면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낙동강 본류에 위치한 8개의 다기능보와 지류에 위치한 횡단구조물의 반영을 위해 다기능보의 제원 및 하천기본계획을 참고하여 내부경계조건으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낙동강 본류 및 지류의 수리학적 홍수예측 모형을 낙동강 유역에 대한 홍수주의보 및 홍수경보 등 홍수특보 발령 업무에 활용함으로써 정확한 홍수예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Seasonal Pre-reserved Planning of Water Resources in Korea (수자원의 계절별 적기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 Heo, Jun-Haeng;Song, Jae-U;Lee, Gil-Chun
    • Water for future
    • /
    • v.16 no.2
    • /
    • pp.111-122
    • /
    • 1983
  • The water demand has been rapidly increased by the growth of population, industrialization, unbanization, water pollution and so on. This study carried out the seasonal pre-reserved planning for the five zones, comparing the water demand with the available water resources up to the goal year, 2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t is principle that the monthly water demand is supplied by the surface and ground water as the increasing tendency of it, and the deficit of water is supplemented by the water supplying capacity of dam. And water demand should be completely reserved before supplying the deficit of water. 2) The monthly and seasonal maximum deficit of water demand take place in June and summer. 3) The periods when the deficit of water demand exceeds the water supplying capacity of dam are 1984-1990, 1994-2001 in zone III. 4) To reserve the deficit of water demand in zone III, we would like to pre-construct Masan-Keumbo estuary barrage from 2001 to 1991 in Seomjin river basin, the deficit of water demand is supplied by the diversion of water from Yeongsan river basin with the developments of the ground water and small reservoirs until 1986.

  • PDF

The Sensitivity Analysis of Urban Runoff Models to Variations of Pipe Roughness Coefficient (조도계수 변화에 따른 도시유출모형의 민감도 분석)

  • Won, Changyeon;Park, Jongpyo;Ko, Taekjo;Keum, Ho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49-249
    • /
    • 2021
  • 도시지역의 우수유출해석 모형인 SWMM 모형의 매개변수는 유역유출관련 매개변수와 우수관로 매개변수로 구분이 된다. 이중 우수관로내 수리거동에 영향을 대표적인 매개변수는 조도계수가 있다. 우수관로 조도계수는 우수관로의 규격 및 재료에 따라 적용범위가 제시되어 있지만 현상태 관로내 퇴적 및 협잡물 등에 의한 조도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수관로 조도계수의 변화에 따른 유량의 민감도를 검토하고 모니터링 유량과 비교를 통한 연구 대상지역의 최적 조도계수를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지역은 울산광역시 삼호동 일대이며 대상지역 내 발생한 우수유출은 최종적으로 태화강으로 방류되는 구조를 갖고 있는 배수분구이다. 조도계수 민감도 분석에 적용한 조도계수의 범위는 일반적인 원형 우수관로의 조도계수 0.013을 기준으로 하고 0.002씩 증감을 시켜 총 6개 CASE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모의 유량의 비교군이 되는 관측 유량의 경우는 초음파 유량계로 관측한 총 3개 지점의 유량자료를 이용하여 민감도 분석에 활용하였다. 조도계수 민감도 분석결과 조도계수 증가에 따라 첨두유량은 감소하게 된다. 각 지점별 첨두유량 변화 폭은 지점 4, 5, 6에 각각 7.0% (-3.4~3.6%), 14.3% (-7.5~6.8%), 15.6% (-7.7~7.9%) 증감 폭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유역의 하류부로 갈수록 변동 폭이 커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계열 수문곡선 비교결과 지점 4에서는 조도계수 0.011, 지점 5는 0.013, 지점 7은 0.015를 적용하는 것이 실측치와의 상관계수가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유역의 관 흐름 상태의 변화는 관로의 퇴적, 부유물, 폐유부착 등의 유지관리 상태에 따라 달라지며 특히 유역의 하류부로 갈수록 퇴적, 부유물 등의 축척이 누적되어 조도계수를 상류부 보다 기준 값보다 크게 적용해야 관측치 유량과 유사하게 모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도시유출해석 모형에서의 조도계수 적용은 우수관로의 유지관리 상태 등을 고려하여 우수관로별 적용 값 다르게 입력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lassification of Micro-Landform on the Alluvial Plain Using Landsat TM Image: The Case of the Kum-ho River Basin Area (Landsat TM 영상(映像)을 이용한 충적평가(沖積平野) 미지형(微地形) 분류(分類) -금호강(琴湖江) 유역평야(流域平野)를 대상으로-)

  • Jo, Myung-Hee;Jo, Wha-Ry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 no.2
    • /
    • pp.197-204
    • /
    • 1996
  • We attempt to classifing method of micro-landform on the alluvial plain, such as natural-levee, backmarsh and alluvial fan, using false color composite of Landsat Thematic Mapper image. The study area is Kumho River Basin o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 peninsula. The most effective image for micro-landform classification is the false color composite of band 2, 3 and 4 with blue, green and red filtering. The most favorable time is the middle third of November, because of the density differentiation of green vegetation in most great. In this time the paddy field on the back-marsh is bare by rice harvesting. But on the natural levee the green vegetation, such as vegetables and lower herbs under fruit tree, remain relatively more. On the alluvial fan, the green vegetation condition is medium. For the verification of the micro-landform classification, we employed the field survey and grain size analysis of the deposition of each micro-landform on the sample area. It is clarified that the classification method of micro-landform on the alluvial plain using the Landsat TM image is relatively usefu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