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금속이온 봉쇄능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효소(酵素)에 의한 단백질(蛋白質) 가수분해물(加水分解物)의 항산화작용(抗酸化作用) (Antioxidative Effects of Food Protein Hydrolysates by Protease)

  • 김선봉;염동민;여생규;지청일;이용우;박영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92-497
    • /
    • 1989
  • 천연식품성분에 의한 항산화기작을 해명하기 위하여 어육단백질, 탈지대두박, egg albumin 및 casein등의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사용하여 linoleic acid 와의 모델계 반응을 통하여 이들의 항산화능과 ${\alpha}-tocopherol$과의 상승작용 및 금속이온 봉쇄능 등에 대하여 연구 검토하였는데 그 결과 각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항산화능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egg albumin가수분해물의 항산화능이 매우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천연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과의 상승작용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단백질 가수분해물간의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속이온 봉쇄능 또한 높게 나타났으며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금속이온 봉쇄능은 금속이온의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붉나무 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추출특성과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 (Extrac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of Rhus javanica Bark)

  • 노정숙;박선이;정갑섭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555-561
    • /
    • 2017
  • 붉나무의 유용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붉나무 수피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물의 몇 가지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물의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은 73.5 mg/100g, 당도는 $17.8^{\circ}Brix$로 측정되었으며, 총방향족 화합물,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총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각각 흡광도 0.508, 49.88 mg/100g 및 296.6 mg/100g으로 측정되었다. 추출물의 환원력은 대조구로서 추출물의 가용성 고형분과 동량의 ascorbic acid의 27.5 %로 측정되었으나, 철환원력은 ascorbic acid와 유사하게 측정되었다. 추출물의 DPPH라디칼 소거능은 95.16 %로서 ascorbic acid와 거의 유사하였고, 금속이온 봉쇄능은 ascorbic acid의 74.73 %보다 높은 81.58 %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pH 2에서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51.76 %로 측정되었으며, Rancimat test에 의한 대두유 산화 억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붉나무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과 아질산염 소거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Japanese Sumac Extracts)

  • 노정숙;정갑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527-534
    • /
    • 2019
  • 야산에 자생하는 붉나무(Japanese sumac)의 천연자원으로서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잎, 열매 및 수피 등 세부위를 열수로 추출하고, 이들 추출물의 몇 가지 추출특성과 아질산염 소거능 등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물의 수율은 부위에 따라 6.62~13.84%의 범위였고, 유리 아미노산은 잎, 열매, 수피에서 각각 24종 37.9 mg/100g, 23종 27.0 mg/100g 및 27종 39.0 mg/100g의 함량이었으며, 7종의 필수 아미노산이 잎>수피>열매의 순으로 측정되었다. Naringin 상당량으로 구한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수피>열매>잎의 순으로 379.9~587.2 mg/100g이었으며, gallic acid 상당량으로 구한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잎>열매>수피의 순으로 80.4~111.2 mg/100g이었다. 붉나무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에서 수피 61.93%>열매 57.38%>잎 55.49%의 순으로 측정되었으며, BHT (butylated hydroxytoluene) 소거능의 78.1~100%에 대응되었다.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열매 47.38%>잎 43.06%>수피 38.55%로서 각각 BHT의 65.6%, 58.8% 및 53.6%의 활성으로 비교되었다. 붉나무의 잎, 열매 및 수피 추출물의 환원력은 대조구로 사용한 BHT의 환원력에 비하여 각각 37%, 43% 및 46% 더 높게 평가되었으며, 금속이온 봉쇄능은 수피 27.3%>잎 20.6%>열매 11.2%의 순으로 상당히 낮게 측정되었다.

복령(Poria cocos) 균사체의 항산화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oria cocos)

  • 김대곤;손동화;최웅규;조영석;김수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097-1101
    • /
    • 2002
  • 복령 균사체의 항산화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알아보고자 복령균사체와 복령쌀을 열수와 에탄올로 추출하여 fish oil에 대한 지방산화도를 측정한 결과 대조구에 비하여 복령균사체 및 복령쌀 첨가구가 낮은 TBARS값을 나타내었다. 복령균사체 및 복령쌀 추출물은 합성항산화제인 BHA보다는 약간 높은 TBARS값을 나타내었으나, 저장 24시간째 BHA첨가구0.22MDA ppm에 비하여 복령균사체의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이 각각 0.43 MDA ppm,0.3,3 tfl)A ppm을 나타내어 BHA 첨가구와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나. 복령균사체 및 쌀의 Fe$^{2+}$, Cu$^{2+}$ 대한 금속이온 봉쇄작용은 복령 쌀보다는 복령균사체에서 높은 활성이 나타났다. 전자공여능은 복령쌀에서는 25% 미만인 반면 복령균사체에서는 열수와 에탄을 추출물에서 각각 76.8, 79.9%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SOD유사활성은 모든 처리구에 서 25% 미만의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BHA에서는SOD유사찰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아질산염의 소거작용은 열수추출보다는 에탄을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복령균사체 에탄을 추출물이 가장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멸치육 단백질 효소가수분해물의 항산화작용 (Antioxidative Activity of Enzymatic Hydrolysates Derived from Anchovy Muscle Protein)

  • 염동민;이태기;박영호;김선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42-849
    • /
    • 1997
  • Pepsin, trypsin, $\alpha-chymotrypsin$, papain, bromelain, 복합효소, Novozym 89, Neutrase 0.51., Protamex 및 Alcalase 0.6L 등으로 가수분해하여 얻은 멸치육 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의 항산화작용을 살펴본 결과, 항산화작용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생체내 소화효소의 하나인 pepsin과 식품가공용 단백분해효소인 Protamex에 의한 가수분해물의 항산화작용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다른 항산화제와의 상승작용에 있어서는 $\alpha-tocopherol$과는 상승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BHT에 대해서는 BHT 자체의 강한 항산화능으로 상승작용을 확인할 수 없었다. 금속이온 $(Fe^{3+},\;Cu^{2+})$에 대한 봉쇄작용 또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pepsin, $\alpha-chymotrypsin$ 및 papain유래 가수분해물이 $Cu^{2+}$이온에 대하여 높은 억제작용을 나타내었다. Pepsin유래 멸치육 단백질 효소가수분해물을 이온교환크로마토그래피 및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분획하고 얻어진 획분별 항산화작용은 P-2 (fraction No. $26\~31$)획분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 가수분해전후 및 활성획분의 아미노산조성은 aspartic acid와 glutamic acid가 증가한 반면 alanine, cysteine, tyrosine 및 phenylalanine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