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금강비

Search Result 319,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Changes in Natural Antioxidants in Oils Extracted from the Bran and Germ of Keumkang and Dark Northern Spring Wheats During Photo-oxidation (금강밀과 dark northern spring밀의 기울과 배아에서 추출한 기름의 광산화 과정 중 천연산화방지성분의 변화)

  • Choi, Hyun-Ki;Choe, Eun-Ok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2 no.1
    • /
    • pp.14-20
    • /
    • 2010
  • Naturally present antioxidants, tocopherols, carotenoids, and phospholipids in the bran and germ oils from Keumkang (K-WBG oil) and Dark Northern Spring wheats (DNS-WBG oil) were determined during storage under 1700 lux light at $5^{\circ}C$ by HPLC. Oil oxidation was monitored by peroxide values (POV) and conjugated dienoic acid content. The results showed that antioxidants were degraded during storage of the WBG oils under light, with higher degradation rates for carotenoids and phospholipids in the K-WBG oil compared to the DNS-WBG oil. Light increased oil oxidation and the rate of oxidation was higher in K-WBG oil than in the DNS-WBG oil.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POV and residual amounts of antioxidants during photo-oxidation, with phospholipids showing the greatest effects on POV. This study suggests that a higher amount and lower degradation rate of phospholipids in the DNS-WBG oil contributed to its higher photo-oxidative stability compared to the K-WBG oil.

Optimal multireservoir operation under uncertainty in forecasted future inflow (미래 예측유입량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다목적댐 최적 연계운영 모형의 개발)

  • Kim, Min-Seok;Chung, Gun-Hui;Kim, Jo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297-30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비선형계획법을 이용하여 해공간의 비선형성을 적절히 제어하고, 예측유입량의 불확실성을 고려하면서 하나의 최적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다목적댐 최적 연계운영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금강유역에 모형을 적용하고 2020~2021년 이수기에 대해 가상으로 운영하여 보았으며, 적용결과 의사결정평균모형에 비해 향상된 결과를 도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Estimating the non-use values of Gum river estuary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 - by Turnbull nonparametric estimation method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한 금강 하구의 비사용가치 추정 - Turnbull 비모수적 추정 방법을 적용하여)

  • Shin, Youngchul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11
    • /
    • pp.479-485
    • /
    • 2017
  • This study estimated the non-use values of the Gum river estuary which are not related to the direct or indirect use of the Gum river estuary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The non-use values of the Gum river estuary were explained and asked to be evaluated in the CVM questionnaire and estimates of the WTPs(willingness-to-pay) were elicited using the Turnbull nonparametric estimation methods on the dichotomous choice CV data. Results found the Turnbull lower bounded mean WTP per year for non-use value of the Gum river estuary was estimated at 5,822 won (95% C.I. 5,295 ~ 6,349 won) from single dichotomous CV data, and 6,205 won (95% C.I. 5,701 ~ 6,710 won) from double dichotomous CV data. The mean of two WTP estimates, 6,014 won (95% C.I. 5,498 ~ 6,529 won), was used to calculate the annual total non-use value of the Gum river estuary. Therefore, the non-use value of the Gum river estuary was estimated at 220.3 billion won (95% C.I. 201.4 - 239.2 billion won) annually. This non-use value of the Gum river estuary was composed of the bequest value totaling 68.3 billion won (95% C.I. 62.5 - 74.2 billion won), the existence value of 58.0 billion won (95% C.I. 53.0 - 63.0 billion won), the option value of 57.7 billion won (95% C.I. 52.7 - 62.6 billion won), and the vicarious consumption value totaling 36.3 billion won (95% C.I. 33.1 - 39.4 billion won).

Runoff Characteristics Analysis in the Geum River Basin (2007년 금강 지점의 유출특성 분석)

  • Lee, Geum-Young;Park, Seok-Geun;Kim, Dae-Ha;Yoo, Young-Mu;Hwang, Seok-Hwan;Jeong, Se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222-2227
    • /
    • 2008
  • 금강 본류에 위치하고 있는 공주, 금남 지점은 복잡한 하도 형상과 지점특성으로 인하여 수문관측에 어려움이 많은 지점으로 유출분석 결과가 좋지 못하기 때문에 정밀한 유량측정을 통하여 신뢰도 높은 유량값을 제시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지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7년 금남, 공주 지점의 수문관측 자료 및 유량측정성과를 이용하여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고 기존 성과(2006년) 및 상류에 위치하고 있는 갑천, 미호천등의 지점들과 연유출률, 상 하류 유출, 평 저수시 동시유량 등의 유출특성을 검토하였다. 금남 지점의 수위자료는 2007년 1월${\sim}$9월 20일까지의 수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이 기간의 순 유출률은 57.6%이고, 공주 지점의 수위자료는 2007년 수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순 유출률은 58.6%로 적절한 상 하류유출률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금남, 공주 지점의 측정성과를 이용한 유출특성 분석 결과, 기존의 성과에 비하여 좋은 결과를 얻은 것으로 판단되지만, 본 연구에서 수행한 유량측정에서도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였기 때문에 이런 경험과 기술들을 지속적으로 축적한다면 향후 더 정밀한 유량측정성과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효과적인 치수 및 이수계획의 수립 등 수자원 개발에 가장 기초가 되는 정확한 수문분석 자료의 확보를 위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nalysis of hydrological effect by the Daecheong Dam and the Yongdam Dam of the Geum River Basin (금강유역의 대청댐과 용담댐에 의한 수문학적 영향 분석)

  • Kim, Chul-Gyum;Kim, Nam-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89-389
    • /
    • 2011
  • 과거의 무분별한 수자원 개발에 따른 자연환경파괴로 인해 점차 대규모 다목적댐의 건설과 같은 신규 수자원 개발이 쉽지 않은 상황이지만, 여전히 댐은 유한의 수자원을 적극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가장 대표적인 방법으로서, 안정적인 용수 확보를 통한 물부족의 해소와 효율적인 운영을 통한 홍수와 가뭄 피해 예방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해오고 있다. 댐의 건설로 인해 하류측 본류에서는 과거와 같은 유량의 극심한 계절적인 편차는 감소되었으며, 가뭄이나 홍수에 대한 피해 규모도 저감되었다고 볼 수 있다. 댐 건설에 따른 수문학적 변화에 대한 분석은 실제 댐 건설 전후의 장기적인 관측자료를 비교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방법이나, 대부분 관측자료가 전무하거나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모델링을 통해 장기간의 유출자료를 추정한 후 이를 기반으로 그 영향을 평가하고 있다. 모델링 방법으로는 과거부터 오랫동안 국내 수자원 해석 및 계획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는 TANK 모형을 비롯하여, SSARR, NWS-PC, TOPMODEL, HSPF, PRMS, SLURP, SWAT, MIKE-SHE 등 다양한 모형들이 적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SWAT은 유역의 수문 수질의 시공간적인 해석 및 관리, 그리고 미래 유역환경변화에 따른 영향 평가 등을 위해 국내는 물론 국제적으로도 많이 적용되고 있는 모형이다. 본 연구에서는 SWAT 모형을 국내 유역 특성에 적합하도록 개선한 SWAT-K 모형을 이용하여, 금강유역에서의 대청댐 및 용담댐의 운영과 인위적인 용수 이용에 따른 유출량, 증발산량 및 지하수 함양량 등의 수문성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대청댐의 건설과 유역내 용수 이용으로 인해 하류측 공주지점에서의 유출량은 자연상태에 비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하수 함양량과 증발산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Groundwater Level and the Moving Average of Precipitation in Kum River Watershed (금강유역에서의 지하수위와 강수량 이동평균의 상관관계 분석)

  • Yang, Jeong-Seok;Ahn, Tae-Yeon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8 no.1
    • /
    • pp.1-6
    • /
    • 2008
  • Precipitation and groundwater level data sets from Kum river watershed were analyzed and compared. The correlation between groundwater level and the moving average of precipitation was analyzed. Moving averaging technique is stochastic method and that was used to consider the effect of precipitation events on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Groundwater level generally follows seasonal precipitation pattern and low level occurs from early December to late April. Relatively high groundwater level is appeared in wet spell (July and August). The correlation between groundwater level and the moving average of precipitation to consider precedent precipitation events was analyzed with minimum two-year data sets. When the precipitation and groundwater level data set pair was selected the precipitation gauge station is closely located to groundwater level gauge station in the upstream direction to minimize the non-homogeneous precipitation distribution effect. The maximum correlation was occurred when the averaging periods were from 10 days to 150 days with Kum river watershed data.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are influenced by data quality, missing data periods, or snow melt effect, etc. The maximum coefficient was 0.8886 for Kum river watershed data.

Evaluation of river sediment characteristics and water quality effect (하천 퇴적물 물성 및 수질영향 평가)

  • Lee, Yosang;Lee, Seungyoon;Yi, Hye-suk;Chong, Sun-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81-481
    • /
    • 2016
  • 하천퇴적물은 물의 순환과정에서 유역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질에 따라 조성이 변하게 된다. 특히 입자가 작은 토양과 유기성 물질들은 물순환과정에 이동성이 크게 나타나며, 인간에 의해 개발된 지역은 자연상태에 비해 이동하는 물질이 많이 나타나곤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에 건설된 보에 대한 퇴적물 조사를 실시함으로서 향후 수질관리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금강과 낙동강에 건설된 보의 주요지점에 대한 퇴적물 조사를 실시하고 수질영향을 평가하였다. 조사는 홍수기전과 홍수기후로 구분하여 2회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물리적 성상과 화학적 항목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입도분석 결과 금강 주요 10개 지점의 퇴적물 조성은 Sand, Silt와 Clay 성분이 혼합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삼각좌표 분류법에 의한 토성은 대부분의 지점이 실트질양토(SiL)로 평가되었다. 완전연소가능량은 0.35~1.37로 전 지점에서 하천 호소 퇴적물 오염평가 기준의 유기물 함량기준 13%보다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홍수기 전 후에도 거의 유사하였다. 금강에서는 중금속뿐만 아니라 유기물 및 영양염류도 기준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모든 항목에서 환경부예규인 하천 호소퇴적물 오염평가 기준보다 낮게 평가되었다. 하상 퇴적물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용출실험에서도 유기물 및 중금속 모두 수질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낙동강 주요 26지점의 입도분석 결과 퇴적물 조성은 대부분 Sand로 구성되어 삼각좌표 분류법에 의한 토성은 사토(S)로 평가되었다. 홍수기 전 후에 조사한 결과 완전연소가능량은 0.27~2.85으로 전 지점에서 하천 호소 퇴적물 오염평가 기준의 유기물 함량 기준보다 낮았으며 홍수기 전 후에도 거의 유사하였다. 화학적 성상 분석 결과 모든 항목에서 환경부예규인 하천 호소퇴적물 오염평가 기준보다 낮게 평가되었으며, 용출실험에서도 유기물 및 중금속 모두 수질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번 조사는 4대강 건설 후 하상이 안정화 되지 않은 상태로 인해 지점간 특별한 경향성은 확인할 수 없었으며 보다 정확한 결과 도출을 위해서는 장기적인 조사를 통해 평가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Quantitative Analysis of Vegetation Types in Pinus densiflora for. erecta Forest (금강송림의 식생구조에 관한 정량적 분석)

  • Yun, Chung-Weon;Hong, Sung-Cheo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3 no.3
    • /
    • pp.281-291
    • /
    • 2000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lassify quantitatively vegetational types of P. densiflora for. erecta forest.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CCA), variables such as topography, altitude, available P/sub 2/O/sub 5/, and Mg/sup 2+/were highly correlated on three axes. Based on the correlations between vegetation units and environmental factors, Rhododendron micranthum community tended to be more distributed in the such situations of high altitude, upper topography, high C/N ratio, low level of Mg/sup 2+/and Ca/sup 2+/. Vaccinium koreanum community tended to be more distributed in the such conditions of high altitude, upper topography, high level of Ca/sup 2+/and Ma/sup 2+/. 2) According to the results of importance value analysis, Tree layer and Subtree layer in study areas showed high Ⅳ along with P. densiflora for. erecta, Quercus mongonlica, Q. variabilis, Q. serrata, Fraxinus rhychophylla and shrub layer indicated that Ⅳ of P. densiflora for, erecta in Sokwang-ri area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areas. Therefore, it was considered that P. densiflora for. erecta forest of Sokwang-ri area could be naturally regenerated. 3) According to results of species diversity, the species diversity of Uljin region showed the least low value as 0.6622, other regions appeared about 0.7. In the diversity by vegetation types, Acer pseudosieboldianum community showed high value. 4)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ommunity similarity, Sokwang-Ri region was lowly correlated with Uljin region, while the index among the other areas appeared above 0.6. 5)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interspecific association, it was divided into 2 groups. The species of first group were mainly involved in character species, and the species of second group were involved in differential species groups.

  • PDF

A Study on the Water Rel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oybean Shoots through the Pressure Chamber Technique (Pressure Chamber Technique에 의한 대두경엽의 수분특성 연구)

  • E-Hun Kim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28 no.1
    • /
    • pp.128-132
    • /
    • 1983
  • The water relations parameters such as original osmotic pressure $(\Pi_0)$, osmotic pressure $(\Pi_p)$, at the incipient plasmolysis, the volume of osmotic water $(V_o)$ at the full turgor, the relative water content $(RWC^*)$ at the incipient plasmolysis, the volume of osmotic water$(V_p)$ at the incipient plasmolysis, the volume of symplasmic and apoplastic water$(w_s)$ at the maximum turgor, $V_pV_o, \; V_oW_s, \; W_sD_w, \; V_oF_w$ and the elastic modulus were measured through the pressure chamber (DIK-PC-40 Model) technique with the Williams and Geumgangdaerip soybean cultivar shoots. The original osmotic pressure$(\P $i_{0}$ )$, of the both cultivars shoots were appeared insignificant differences as 8.1 bar and 7.8 bar respectively. The osmotic pressure($\pi$$_{p}$ ) at the incipient plasmolysis was 9.0 bar in Williams and 10.4 bar in Geumgangdaerip. The relative water content(RW $C^{*}$) at the incipient plasmolysis was 86.0 per cent in Geumgangdaerip and 92.6 per cent in Williams. The ratio of volume of osmotic water( $V_{p}$ ) at the incipient plasmolysis to total symplasmic water$(V_o)$ , i.e., $V_p/V_o$ was 83.4 per cent in Geumgangdaerip and 90.4 per cent in Williams. The elastic modulus of Geumgangdaerip shoots showed higher value than Williams$(8.5 $\times$ 10^2bar)$ as $1.6 \times10^5$ bar.r.

  • PDF